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30305363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8-06-25
책 소개
목차
서문 i
제1부 환대와 공생의 이론과 사상
제1장 환대의 윤리와 평화 [최진우]
1. 서론 5
2. 타자, 타자성, 타자화 8
3. 배제, 차별, 동화, 관용, 그리고 인정 12
4. 환대의 윤리를 향하여 19
5. 결론 27
제2장 민족적 민주주의의 위기 그리고 새로운 공동체의 계기들 [홍태영]
1. 들어가는 말 35
2. 근대 국민국가와 민족적 민주주의 형성과 발전 38
3.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민족적 민주주의 위기 43
1)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국민국가의 후퇴 44
2) 국민국가의 민족주의에서 ‘민족 없는 민족주의’ 48
4. 민족적 민주주의를 넘어서 56
5. 글을 맺으며 66
제3장 환대의 정치적 긴장성: 데리다의 고대정치철학적 해석과 사유를 중심으로 [이상원]
1. 서론: 환대와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 73
2. 문제로서의 환대: 이방인에 대해 묻는다는 것의 의미 75
3. 소크라테스: 인간 존재의 이방인성 80
4. 오이디푸스: 이방인과 주인의 모호한 관계 89
5. 고전적 문제의 지속: 현대기술사회에 있어서 이방인과 환대 94
6. 결론: 환대 윤리의 정치적 긴장성 100
제4장 정체성 정치를 넘어서 [김현경]
1. 들어가며 109
2. 정체성 정치와 그 한계에 대한 비판 112
1) ‘정체성 정치’(identity politics)란 무엇인가? 112
2) 한계와 비판 115
3. ‘인정’의 재해석 117
1) 프레이저의 난점―신분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118
2) 호네트의 난점―인간에 대한 선험적 가정이 필요한가? 124
4. 나가며: 차이에 대해 말하지 말아야 할까? 128
제2부 환대와 공생의 현실
제5장 분단의 마음과 환대의 윤리: ‘태극기’집회 참가자와 탈북자를 중심으로 [김성경]
1. 지체된 시간성과 ‘태극기’ 139
2. 탈북자의 장소 146
3. 분단의 마음 153
4. 환대의 윤리와 연대의 가능성 160
제6장 미디어, 일상, 환대: 매개된 타자와 ‘적절한 거리’ 만들기 [채석진]
1. 미디어, 일상, 환대 173
2. ‘적절한 거리’: 레비나스를 통한 디지털 미디어 윤리론 178
1) 상호 존중과 인정을 위한 윤리적 거리 179
2) 애매성(ambiguity)을 인식하기: 윤리적 주체의 복원 184
3) 목소리와 인정 186
3. 세 여성들의 이야기 188
1) 적대적 사회에서 가난하게 존재한다는 것 190
2) 인정을 찾아서 194
3) 미디어, 인정, 적절한 거리 202
4. ‘적절한 거리’ 만들기 209
제7장 영화를 통해서 살펴본 탈북자들의 ‘인정투정’의 양상: <무산일기>와 <댄스타운>을 중심으로 [모춘흥ㆍ김수철]
1. 들어가는 글 221
2.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 224
1) 인정투쟁과 정체성의 재구성 224
2) 인정투쟁의 양상과 현대사회 인정관계 구조 228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230
3. 영화에 나타난 탈북자들의 인정 투쟁의 양상 232
1) <무산일기>: 자본주의적 위계질서 속에서의 인정투쟁 234
2) <댄스타운>: 사회적 연대를 위한 인정투쟁 242
4. 나오며 250
제3부 환대와 공생의 정책
제8장 환대 개념과 이민정책: 이론적 모색 [이병하]
1. 서론 259
2. 세계화와 이민의 사회경제적 영향 262
1) 이민정책에 있어 세계화의 영향 262
2) 이민의 사회경제적 영향 264
3. 이민통제와 환대 개념 268
4. 이민자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조건적 환대와 무조건적 환대 274
5. 결론 283
제9장 ‘환대’ 개념의 국제정치학에의 적용과 한계: 이방인에 대한 존재의 윤리와 정치적 전략 [도종윤]
1. 들어가는 말 291
1) 문제 제기 291
2) 방법론 및 글의 전개 방식 294
2. 국제정치적 삶 속에서 이방인의 문제 299
1) 타자 299
2) 침략자, 소외된 자 혹은 저주의 부메랑 305
3) 경계인으로서 이방인 309
3. 이방인에 대한 환대의 문제 314
1) 정치적 도덕률로서의 환대 314
2) 타자에 대한 윤리 317
3) 윤리를 넘어선 환대 321
4. 국제정치에서 환대의 문제와 정치적 전략 323
1) 정치적 의미에서 환대의 전제: 인간안보 323
2) 정치적 과제로서 환대 전략 325
5. 나가며 328
제10장 공생과 타자: 초국가 이주 시대에 도시 공간 이론에 관한 재고찰 [김수철]
1. 서론 337
2. 다문화주의의 위기: 내적 위기와 외적 위기 340
3. 공생: 도시 공간에서 타자의 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찾기 348
4. 네그리 & 하트의 공통적인 것의 저장고로서의 메트로폴리스 354
5. 리차드 세넷의 ‘투과 도시(porous city)’ 362
6. 결론에 대신하여: 한국 사회에 주는 함의 371
집필진 약력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