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럽과 전쟁

유럽과 전쟁

최진우, 김남국, 김종법, 양오석, 윤기석, 이재승, 임종헌, 정병기, 전혜원 (지은이)
인간사랑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550원 -5% 0원
830원
26,7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럽과 전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럽과 전쟁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88974183721
· 쪽수 : 455쪽
· 출판일 : 2017-11-30

책 소개

유럽통합은 시대적 요청에 대한 응답이었다. 민족주의 이념으로 무장한 국가 단위의 국제정치질서 하에서 고질적으로 반복됐던 국가들 간의 적대적 관계를 극복하고 정치적 평화와 경제적 번영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 유럽통합은 따라서 20세기 후반 평화의 아이콘이었던 것이다.

목차

서론-EU와 전쟁?최진우 11
Ⅰ. 탈냉전과 국제질서의 변화 11
Ⅱ. EU 외교안보정책 결정의 구조적 요인 16
Ⅲ. EU의 외교안보적 정체성 19
Ⅳ. 연구의 틀과 이론적 시각 27
Ⅴ. 연구의 개요 30


1부 전쟁에 대한 유럽의 관점과 대응 41

1장 이라크전과 EU의 대응?임종헌 43
Ⅰ. 서론 43
Ⅱ. 유럽공동체 자체의 공동외교안보정책의 발전과정 44
Ⅲ. 미국의 이라크 공격에 대한 유럽의 분열된 입장 50
Ⅳ. 이라크 전쟁에 대한 유럽연합의 대응 53
Ⅴ. 나토, 서유럽동맹, 유럽안전보장기구, 유럽연합 59
Ⅵ. 결론 64

2장 대테러전쟁에 관한 초국가적 관점: 정책 설정자로서의 유럽의회
?전혜원 69
Ⅰ. EU와 대테러전쟁 69
Ⅱ. 대외안보정책과 대내안보정책 74
Ⅲ. 정책설정자로서의 유럽의회 80
Ⅳ. 사례연구: 탑승객 정보공유 협정(PNR: Passenger Name Record) 93
Ⅴ. 결론: 유럽의회와 대테러전 99

3장 아프간전과 이라크전을 통해 살펴본 유럽연합과 미국의 대서양
동맹의 변화?김종법 105
Ⅰ. 서론: 새로운 국제분쟁 개념의 등장 105
Ⅱ. 유럽 공동외교안보정책의 부상과 배경 110
Ⅲ. 아프간전과 이라크전에서 EU의 대응과 미국의 입장 118
Ⅳ. 대서양동맹의 결과물로서 NATO와 그 변화 123
Ⅴ. 결론: 탈냉전 이후 변화된 대서양동맹의 의미 131

4장 걸프전을 통한 유럽 공동안보방위정책의 변화와 전망?윤기석 141
Ⅰ. 서론 141
Ⅱ. 탈냉전 국제질서의 변화와 걸프전의 발발 144
Ⅲ. 걸프전과 유럽 국가들의 대응, 공동외교안보체제의 모색 148
Ⅳ. 유럽 공동안보방위정책의 형성과 과제 156
Ⅴ. 결론 163

5장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통해 본 유럽연합(EU)의 국제분쟁 대응과
독자적 안보전략의 부침?정병기 171
Ⅰ. 서론 171
Ⅱ. 냉전 종식 후 유럽의 안보환경과 안보개념 변화 177
Ⅲ. 유럽연합의 안보정책 변화와 아프가니스탄 전쟁 대응 177
Ⅳ. 종전 후 유럽연합의 아프가니스탄 대책과 안보정책적 의미 186
Ⅴ. 결론 191

6장 유럽전략문화의 변화와 외교안보정책 결정의 담론 채널
?양오석 197
Ⅰ. 서론 197
Ⅱ. 외교안보정책분석을 위한 인식틀의 재구성과 유럽전략문화 비교 200
Ⅲ. 배치국면과 제도국면에서 본 외교안보정책에 대한 대안적·
보충적 설명 214
Ⅳ. 결론을 대신하여 235

7장 유럽연합(EU)의 인권정책: 전쟁, 난민 그리고 정체성?김남국 245
Ⅰ. 서론: 유고 내전과 EU인권 정책의 전환 245
Ⅱ. 임시 보호(Temporary Protection) 정책의 등장과 발전 250
Ⅲ. 난민 및 망명 정책에 관한 주요 지침(Directive)의 내용들 256
Ⅳ. 유럽연합의 규범 권력적 성격과 전략적 이익 262
Ⅴ. 유럽연합의 규범 권력적 성격과 민주주의의 결여 269
Ⅵ. 국민국가의 주권 대 세계주의적 인권 272
Ⅶ. 결론 277


2부 국가와 전쟁 그리고 전략 285


8장 영국과 이라크 전쟁: 영미 특수 관계와 블레어 수상의 리더십
?최진우 287
Ⅰ. 서론 287
Ⅱ. 영?미 ‘특수 관계’와 이라크 전쟁 294
Ⅲ. 토니 블레어 수상의 개인적 성향과 이라크 전쟁 305
Ⅳ. 토론 및 결론 311
9장 독일 안보정책의 변화: 콜 정부와 슈뢰더 정부의 비교?임종헌 319
Ⅰ. 서론 319
Ⅱ. 환경조건의 변화와 안보정치상의 위험요소 320
Ⅲ. 콜 정부의 안보정책 324
Ⅳ. 슈뢰더 정부의 안보정책 339
Ⅴ. 결론 346

10장 프랑스와 이라크 전쟁?이재승 351
Ⅰ. 서론 351
Ⅱ. 테러와의 전쟁과 프랑스의 입장 354
Ⅲ. 반이라크전에 대한 이념적 기반 360
Ⅳ. 프랑스의 국가이익과 이라크 전쟁 367
Ⅴ. 결론 372

11장 정치적 전환기의 이탈리아 대외정책: 걸프전과 보스니아/
코소보전을 통해 본 대외정책을 중심으로?김종법 381
Ⅰ. 서론 381
Ⅱ. 탈냉전 이후 이탈리아의 국내정치적 상황 387
Ⅲ. 걸프전 발발과 이탈리아의 대응과 입장 391
Ⅳ. 보스니아/코소보전의 발발과 이탈리아의 대응 및 입장 400
Ⅴ. 결론: 이탈리아의 국내정치와 대외정책의 상관성 409

12장 국제 분쟁에 대한 동유럽 국가들의 관점과 대응?정병기 417
Ⅰ. 서론 417
Ⅱ. 이론적 배경과 접근방법: 관료적 노동사회 블록의 체제전환 420
Ⅲ. 관료적 노동사회와 블록체제로서의 현실사회주의와 전쟁관 426
Ⅳ. 관료적 노동사회와 사회주의 블록체제로부터의 전환과 전쟁 대응 430
Ⅴ. 결론 437


결론-EU의 공동외교안보정책 향방?이재승 445
Ⅰ. EU와 전쟁, 그리고 새로운 안보의 도전 445
Ⅱ. 끝나지 않은 도전: 유럽 공동안보정책의 과제 449
Ⅲ. 한국 외교안보정책에의 함의 450
Ⅳ. 맺음말 452


저자 소개 453

저자소개

김종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대 이탈리아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 이탈리아 토리노 대학 정치학부에 입학해 4년간 라우레아Laurea 과정을 밟았다. 2000년 국가연구박사Dottorato di Ricerca의 정치사상사 및 정치기구 과정에 동양인으로는 처음 합격했고, 2003년 「한국적 연구를 통해 본 그람시 헤게모니 개념에 대한 일고」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한국외대, 중앙대, 서강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와 연구를 했으며, 2012년 서울대 국제대학원 EU연구센터 HK연구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대전대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안또니오 그람쉬』, 『남부 문제에 대한 몇 가지 주제들 외』, 『나는 무관심을 증오한다』 등의 번역서와 『현대 이탈리아 정치사회』, 『천의 얼굴을 가진 이탈리아』, 『그람시의 군주론』, 『그람시와 한국 지배계급 분석』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정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과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강의교수(2004∼2007) 및 연구교수(2007∼2009)를 역임했다. 시인 및 영화평론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포퓰리즘』(2021), 『정당체제와 선거연합: 유럽과 한국』(2018), 『표준의 통합 효과와 표준화 거버넌스』(2016) 등 50여 권의 정치학 단행본과 『엔딩 크레디트』(2024) 등 5권의 시집, 『사랑과 예술, 아모르파티』(2023) 등 2권의 영화평론·분석집이 있으며, 1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최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소장, (前) 한국정치학회 회장, (前) 한국유럽학회 회장 미국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정치학 박사 전공 분야: 국제정치, 유럽정치, 비교정치 대표 논저: “What Kind of Power is the EU? The EU’s Policies toward North Korea’s WMD Programs and the Debate about EU’s Role in the Security Arena”(2019, 공저), 「지역의 선택: 우크라이나와 몰도바의 국내정치와 지역무역협정 정책」(2018, 공저), 「하니문의 동학(動學)과 구조의 정학(靜學):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 변화와 연속성」(2018), 『다양성의 시대, 환대를 말하다: 이론, 제도, 실천』(2018, 책임편저), 『호모 쿨투랄리스, 문화적 인간과 인간적 문화』(2018, 책임편저)
펼치기
이재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제학부(Korea University, Division of Internaitonal Studies) 및 그린스쿨대학원(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교수, 지속발전연구소 에너지환경센터장 및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부원장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미국 예일대학교 정치학 박사
펼치기
김남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펼치기
양오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경영회계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경영학 박사학위(국제경영전략 및 국제재무 전공)를 마치고 현재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에 재직 중이다. 영국 University of Leeds에서 국제경영 MBA를 마쳤고, University of Warwick에서 박사학위(국제정치경제 전공, 정치학 박사)를 마쳤다. “은행의 국제화와 성과 간 관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 동태적 내부화 우위 관점에서”(2011)로 2011년 한국국제경영학회로부터 우수논문상을 받았고, “지식공유-지식창출-기업성과 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지식유형의 중요도 :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 본사-해외자회사 사례”(2017)로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우수논문상을, “은행의 비재무적 ESG 경영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국내 73개 금융기관 비교(2022)”로 2023년 제1회 유한 ESG 학술상 대상을 수상하였다. 그 외 다수의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한국국제경영학회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윤기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국제협력 연구교수
펼치기
임종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주대한신학대학교 초빙교수
펼치기
전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외교원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