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경제론

중국경제론

(제3판)

곽복선, 김동하, 서창배, 김형근, 장정재 (지은이)
박영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경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경제론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91130305486
· 쪽수 : 649쪽
· 출판일 : 2018-03-05

책 소개

중국경제 이해에 대한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중국경제의 전체적인 구조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집필된 책이다. 가능한 기업인과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쉽게 서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과감하게 내용을 정리하고 슬림화하였다.

목차

제 1 장 중국경제구조 개황
제 1 절 개요 3
1. 경제약사 3
2. 중국경제의 성격 8
제 2 절 경제성장 34
1. 경제성장 34
2. 지역경제 36
3. 경제규모 확대속도 41
제 3 절 경제 기본 프레임 45
1. 거시적 경제 프레임 45
2. 경제조직 49
3. 경제법체계 54
제 4 절 중국경제정책 현황과 특징 60
1.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5개년 계획 60
2. 정책 기본 프레임 63
3. 경제정책 현황과 특징 71
제 2 장 현대 중국경제 발전과정
제 1 절 중국의 대외개방 이행 배경과 추진과정 101
1. 대외개방으로의 이행 배경 101
2. 대외개방의 추진과정 103
3. RCEP 105
4.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 107
제 2 절 기업제도 현황과 발전 111
1. 국유경제 111
2. 기업의 분류 116
3. 국유기업 개혁 124
4. 외상투자기업 148
제 3 절 경제특구 건설과 우대정책 159
1. 연해지역 도시개방과 우대정책 159
2. 경제기술개발구 개방과 우대정책 160
3. 상하이 자유무역시범구 162
4. 중국 자유무역구 2.0 시대 170
5. 국가급신구 178
6. 톈진 빈하이신구 179
7. 충칭 량장신구 180
8. 광저우 난사신구 182
제 3 장 중국 지역개발 정책
제 1 절 광대역 개발 187
1. 서부대개발 정책 187
2. 동북진흥정책 205
3. 중부굴기 정책 222
제 2 절 권역 및 도시군 개발 전략 239
1. 장사-주주-상담 일체화 239
2. 상하이 포동신구 241
3. 장강삼각주 경제권 244
4. 주강삼각주 경제권 248
5. 징진지 발전 규획 251
제 3 절 일대일로 전략 257
1.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의미와 개요 257
2. 추진 경과 258
3. 추진 배경 및 목적 259
4. 일대일로 주요 추진 사업 262
제 4 장 산업정책과 주요 산업
제 1 절 산업정책의 기본 방향 269
1. 개요 269
2. 정책방향 271
3. 산업구조조정 지도목록 275
제 2 절 주요 산업정책 279
1. 4차 산업과 연계된 전략적신흥산업 279
2. 중국제조 2025 288
3. 13·5 규획의 산업별 발전정책 및 중장기 산업정책 289
4. 산업클러스터 육성 290
제 3 절 자동차산업 292
1. 자동차산업의 성장과정 292
2. 최근 동향 298
3. 신에너지 자동차 301
제 4 절 바이오, 의약산업 306
1. 바이오산업 306
2. 의약산업 313
제 5 절 에너지·환경 산업 317
1. 에너지 산업 317
2. 환경 산업 330
제 6 절 해양경제산업 342
1. 해양경제산업 육성의 배경 342
2. 중국 해양경제특구 지정 344
3. 중국 해양산업클러스터 조성 목적과 사례 351
제 7 절 ICT산업 358
1. 중국 ICT산업 현황 358
2. 중국 ICT산업의 분야별 현황 및 특징 366
제 8 절 신소재산업 390
1. 현황과 계획 390
2. 주요 육성분야 391
제 5 장 중국의 FDI 및 OFDI
제 1 절 해외직접투자 현황 397
1. 투자 주체 및 목적 397
2. 한국기업의 중국투자 401
제 2 절 중국의 FDI 및 시장변화 405
1.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제도 405
2. 중국시장의 변화 408
제 3 절 중국의 저우추취(OFDI) 정책 412
1. 국유기업의 해외투자 412
2. 해외투자정책의 전개와 변화 419
제 6 장 중국의 대외무역
제 1 절 개요 429
1. 대외무역동향 429
2. 중국의 대외무역정책 432
제 2 절 중국 대외무역의 특징 436
1. 국가별 수출입 436
2. 수출입상품구조 438
3. 무역방식 442
4. 대외무역주체 443
5. 중국 각 지역별 수출입 444
6. 개선되고 있는 대외무역의존도 447
제 3 절 한 - 중 무역 448
1. 교역규모 448
2. 무역수지 449
3. 대중국 수출입 의존도 451
4. 대중국 주요 수출입상품 453
5. 한국의 대중국수출과 중국의 대외수출 동조화 현상 456
6. 한국과 중국 각 지방과의 교역현황 457
제 4 절 한 - 중 FTA 460
1. 중국의 대한국 FTA 전략 460
2. 한 - 중 FTA 경과 461
제 7 장 중국 교통 인프라
제 1 절 철도 473
제 2 절 도로 484
1. 고속도로 485
2. 내륙도로 486
3. 국가간 연결도로 488
제 3 절 항공 490
1. 중국 항공시장 491
2. 지역별 항공인프라 496
3. 중국 항공산업 전망 500
제 4 절 해운 504
1. 중국 해운업 개황 504
2. 중국 해운산업의 특징 505
3. 주요 항구 인프라 507
4. 중국 해운산업 전망 511
제 8 장 중국 금융
제 1 절 중국 금융구조 515
1. 금융제도의 특징 515
2. 중국 은행업 현황 522
3. 중국 은행업 감독체계 530
제 2 절 중국 금융시장 535
1. 주식시장 535
2. 채권시장 547
3. 보험시장 553
4. 외환시장 557
5. 중국 국부펀드 561
제 3 절 위안화 국제화 565
1. 위안화 국제화 배경 565
2. 위안화 국제화 과정 568
3. 위안화 국제화의 함의 572
4. 위안화의 SDR 편입 575
5. 중국의 환율제도 579
제 9 장 중국 소비시장
제 1 절 소비시장의 규모 589
제 2 절 소비구조와 소비관련 내수확대정책 593
1. 소비구조 593
2. 소비관련 내수확대정책 597
제 3 절 소비유통 602
1. 중국유통기업 602
2. 외자유통기업 605
3. 중국농촌유통 606
제 4 절 소비트렌드 및 마케팅 포인트 608
1. 계층 및 성별에 따른 소비변화 608
2. 소비취향의 변화 613
3. 소비유통구조의 변화 618
4. 마케팅 포인트 625
5. 소비시장 활용방안 627
참고문헌 635
부록
1. 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647
2. 중국 지명 발음 표기 대조표 648

저자소개

곽복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現 경성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現 중국지역학회 명예회장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KOTRA 베이징무역관장 KOTRA 중국사업단장 중국지역개발정책의 유형변화에 대한 연구(2013) 중국산업정책의 유형변화에 대한 연구(2014) 「개원의 치세」(2002. 역서) 「죽림칠현-빼어난 속물들」(2007. 역서) 「부산의 차이나드라이브전략」(2012. 공저) 「차이나인사이트」(2014. 공저) 「중국 소비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와 진출방안」(2016) 「치마폭에 흐르는 중국역사」(2017. 역서) 「속물들이 빚어낸 어둠의 역사」(2019. 역서) 「바람결에 새겨진 중국역사」(2021. 역서)
펼치기
김동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중 수교 후 유학 1세대로서 칭화대학(淸華大學) 경제학연구소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1997년 귀국 후 한국외환은행 경제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중국 금융·투자 환경을 연구하였다. 2000년부터는 포스코 산하 연구소인 POSRI에서 중국산업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민간 연구기관으로서는 최초로 중국에 설립된 POSRI 베이징사무소 대표로 파견(2005~2007)되어 현지에서 실물경제 연구에 주력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국제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2009년부터는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금융과 산업에 대한 연구 능력을 기반으로 『중국의 경영전략』, 『차이나 머천트』, 『중국 거시경제정책과 철강산업』, 『차이나 소프트파워』, 『중국경제론』(공저) 등의 도서를 집필하였다. 최근에는 『위안화 경제학』을 출간하여 제30회 정진기언론문화상(2012)을 수상한 바 있다. 중국지역학회 회장, 대한중국학회 부회장, 한중사회과학학회, 한국동북아경제학회 등에서 임원으로 활동하며 중국 경제, 산업 관련 논문들을 발표하였다. 중국의 주요 산업(철강·자동차·조선·가전·건설) 분야에서 실물·연구·현지 경험을 고루 갖춘 연구자이다.
펼치기
서창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인민대학 경제학박사 / 한양대학교 정치학박사 現 국립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現 중국지역연구(JCAS) 편집위원장 現 한중사회과학학회(KCSSS) 명예회장 한중사회과학학회(KCSSS) 제10대 회장 SAIS of Johns Hopkins Univ. 방문학자 중소기업기술혁신(INNOBIZ)협회 부산울산지회 자문위원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단 위원(20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북경대표처 대표 미-중 무역 분쟁의 원인과 주요 변수에 관한 연구(2018) 한-중 수교 이후 무역구조 변화와 특징 분석(2022) 중국 EV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정책과 무역·경제적 효과 분석(2023) 중국의 핵심광물 자원 확보전략과 정치·경제적 의미 분석(2023. 공저) 한·중 EV 배터리 생산설비의 해외투자 요인분석(2023. 공저) 주요국의 고위기술 소재부품산업 수출경쟁력 비교 분석(2023. 공저) 「현대중국사회 : 10개의 시선, 하나의 중국」(2009. 공저) 「중국의 WTO 분쟁 사례 연구」(2011. 공저) 「Reports on Development of Marine Economy」(2014. 공저) 「환태평양지역 경제통합과 중국의 FTA정책」(2019)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전쟁: 기술과 정책」(2022. 공저)
펼치기
김형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학박사 現 신라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 現 지식경제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 물류자문위원 대외경제무역대학 졸업 주중한국대사관 연구원 중국대외경제무역대학교 객원교수 정석물류통상연구원 초빙연구원 Third-party enterprises’ perceptions of green logistics in China(2013) 중국 서삼각경제권 물류산업 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2013) 「부산의 차이나드라이브 전략」 (2012. 공저) 「중국통상론」 (2013. 공저)
펼치기
장정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인민대학 기업관리학 박사 現 부산연구원 책임연구위원 現 부산광역시 기업애로해소대책위원회 위원 現 부산광역시 물가대책위원회 위원 중국 상하이교통대학 방문학자(2019) 중국의 해외투자 동향과 투자유치 확대 방안(2014. 공저) 새만금 한중경제협력단지 조성을 위한 부동산 투자이민제도 도입의 필요성(2014. 공저) 중국 상하이자유무역시범구 운영 현황 분석(2015. 공저) 국제교류협력 확대를 위한 지방정부의 효율적인 해외사무소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2016) 부산의 대중국 투자 및 무역 구조 분석을 통한 수출확대 방안(2016) 부산 외자 유치를 위한 부산항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방안 연구(2022. 공저) 한·중·일 국경 간 전자상거래 교역관계 분석(2023. 공저) 「부산의 차이나 드라이브 전략」(2012. 공저)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