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91130305721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8-08-03
책 소개
목차
머리말_1
서 론: 집은 삶의 보금자리인가, 고통의 뿌리인가?_8
PART01 주거문제의 재인식
1. 주거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14
2. 주거정책의 성찰 18
3. 주택점유형태와 주거문제 26
4. 주거격차와 양극화 33
5. 주거의 경제학 38
PART02 주거와 삶의 질
1. 주거는 ‘삶의 질’을 좌우한다 46
2. 신혼부부 주거실태 49
3. 싱글족(1인가구)의 삶과 주거 51
4. 고령사회와 노인주거안정 59
5. 비공식부문 주택 62
6. 사회취약계층의 주거안정 64
PART03 주택시장
1. 주택시장의 속성과 주택하위시장 70
2. 주택가격결정요인과 가격담합 74
3. 아파트 선분양과 후분양 78
4. 주택시장과 정책 81
5. 시장개입과 정부실패 84
6. 주택시장 여건변화와 과제 88
7. 저성장 시대의 주택시장 전망 93
PART04 임대주택
1. 공공임대주택(사회주택)의 기능과 모형 98
2. 사회주택 전망과 변화추세 104
3. 뉴스테이, 기대와 우려 107
4. 임대료 규제정책 110
5. 임대주택의 역할과 공공임대주택 113
6. 주택정책, 너무 자주 바뀐다 118
PART05 주택관리
1. 공동주택관리의 의미와 중요성 124
2. 공동주택관리의 사각지대 128
3. 공동주택과 안전문화의식 131
4. 빈집이 늘어나고 있다 134
5. 초고층 아파트 139
6. 아파트 노후화 대비책 142
7. 주택관리 과제와 발전방안 145
PART06 도시재생과 주거
1. 도시재생의 의미와 중요성 152
2. 젠트리피케이션과 주거 157
3. 직주근접의 실현과 과제 160
4. 달동네가 세계적 명소로 163
5. 포용도시와 유엔 해비타트 Ⅲ 165
6. 주거환경개선의 새로운 접근법 171
PART07 주거복지
1. ‘집이 더 춥다’, 주거 빈곤층의 겨울나기 176
2. 주거취약계층 지원 방식 179
3. 주택 바우처(voucher) 제도 181
4. 주거서비스 향상과 주거복지 로드맵 184
5. 지원주택의 기능과 과제 188
6. 주거복지와 국토균형발전 190
PART08 주거공동체
1. 이웃 간 갈등 196
2. 신뢰 199
3. 사회적 혼합 203
4. 공동체 기업과 일자리 창출 206
5. 탈서울 주거이동 208
6. 꿈의 주거공동체 211
PART09 대안적 주거
1. 주거지원 비영리단체 216
2. 제3섹터와 주거서비스 공급 218
3. 캥거루족과 세대통합형 주택 222
4. 클라인가르텐(Klein Garten) 224
5. 협동조합주택, 소유에서 거주로 227
6. 환경 친화적 주거 230
7. 공유경제와 주거 234
PART10 새로운 패러다임
1. 신 노년층의 노후준비 240
2. 아파트와 중산층 243
3. 주거NGO 운동 247
4. 분산된 고밀집중 251
5. 주거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망 254
6. 미래의 주거양식 257
결 론: 한국인의 주거모습, 거울이 되어_260
참고문헌_265
색 인_2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