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포츠 외교의 신화

스포츠 외교의 신화

(성공과 실패, 그리고 그 밖의 이야기들)

정기웅 (지은이)
박영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280원
27,7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600원 -10% 980원 16,660원 >

책 이미지

스포츠 외교의 신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포츠 외교의 신화 (성공과 실패, 그리고 그 밖의 이야기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30305844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8-08-17

책 소개

스포츠 외교에 관한 여러 이야기들을 다루는 책이다. 스포츠 외교의 성공과 실패의 사례들, 그리고 그와 관련된 여러 다른 이야기들을 포괄하고 있으며, 크게 네 파트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 파트에서는 논의를 진전하기 위한 이론적 검토를 행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15
참고문헌/31

― 제1부 ―
스포츠 국제관계론
01 국가, 국제정치, 세계정치_37
1. ‘국가’에서 ‘모두’로 39
2. ‘국제’ 정치에서 ‘세계’ 정치로 42
3. 안보에서 스포츠까지 45
4. 스포츠와 세계화 47
참고문헌 51

02 외교와 외교정책_54
1. 국제정치와 외교정책 56
2. 세계정치와 외교 60
3. 외교의 새로운 지평? 네트워크 정체성과 초국적 연대의 등장 62
참고문헌 65

03 스포츠와 외교_67
1. 스포츠 외교란 무엇인가? 68
2. 소프트 파워의 역할 증대와 스포츠 외교 78
3. 스포츠 외교의 성공과 실패 80
참고문헌 84

― 제2부 ―
스포츠 외교: 성공의 이야기들
04 1971년 핑퐁외교와 데탕트의 시작_91
Ⅰ. 지속된 냉전과 분열의 시작 91
Ⅱ. 핑퐁외교의 전개과정과 미·중의 입장 93
1. 나고야 세계탁구선수권대회와 중국의 참여 94
2. 미·중 선수들의 조우와 선수단 초청 95
3. 미국과 중국의 입장 97
Ⅲ. 왜 탁구인가? 102
1. 탁구와 공산주의 운동, 그리고 중국 공산당 102
2. 체면을 살려라 105
Ⅳ. 죽의 장막의 철거와 데탕트의 시작 106
1. 닉슨의 중국 방문 106
2. 강대국 외교의 작동방식 108
Ⅴ. 소결 및 함의 111
사건일지 115
참고문헌 116

05 1988년 서울 올림픽과 냉전의 붕괴_119
Ⅰ. 전두환 정부 외교정책의 대내외적 환경 120
1. 정당성과 승인의 문제, 그리고 올림픽 120
2. 냉전과 탈냉전의 교차점 124
Ⅱ. 1988년 서울 올림픽 유치과정 127
1. 박정희 정부의 유산과 올림픽 유치 127
2. 사전적 조치: 아시안게임의 유치 128
3. 올림픽 유치 결정 이후의 진행과정 129
Ⅲ. 서울 올림픽과 전두환 정부 외교정책의 특징 132
Ⅳ. 소결 및 함의 134
사건일지 138
참고문헌 140

06 1995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럭비 월드컵과 국가형성(nation building)_144
Ⅰ.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차별의 역사(아파르트헤이트) 145
Ⅱ. 만델라의 대통령 선출과 럭비 월드컵 150
Ⅲ. 백인의 스포츠, 흑인의 스포츠: 왜 럭비인가? 153
1. 왜 럭비인가? 153
2. 럭비 그 외, 축구 156
Ⅳ. 아파르트헤이트는 종식되었는가? 157
Ⅴ. 소결 및 함의 159
참고문헌 161

― 제3부 ―
스포츠 외교: 실패의 이야기들
07 남북한 스포츠 회담: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실패_165
Ⅰ. 남북대화의 전략적 선택 구조 167
Ⅱ. 남북 스포츠 교류-휴전에서 냉전종식까지 169
1. 승인 획득 및 경합기: 1953~1979 170
2. 정치적 공방기: 1980~1987-교착상태의 지속 173
Ⅲ. 남북 스포츠 교류-냉전종식 이후 현재까지 179
1. 모험적 접근과 호응기: 1988~1997-사슴사냥 179
2. 조화기: 1998~2007-조화상태의 지속 184
Ⅳ. 소결 및 함의 187
참고문헌 190

08 1972년 뮌헨 올림픽: 평화세계에의 테러_193
Ⅰ. 올림픽과 독일 195
Ⅱ. 뮌헨 올림픽과 검은 구월단 197
1. 테러리스트의 습격과 비극적 종결 197
2. 뮌헨의 비극과 그 이후 202
Ⅲ. 메가 스포츠 이벤트와 테러리즘 203
1. 테러, 테러리즘 203
2. 메가 스포츠 이벤트와 테러리즘 205
Ⅳ. 소결 및 함의 208
참고문헌 210

09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4년 소치 올림픽: 민족주의의 부흥과 소프트 파워의 확장_212
Ⅰ. 스포츠와 민족주의 213
1. 민족, 민족국가, 민족주의, 그리고 스포츠 213
2. 세계화와 (스포츠) 민족주의 215
Ⅱ. 베이징 올림픽과 스포츠 민족주의 216
1. 베이징 올림픽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각 218
2. 베이징 올림픽의 도구성에 대한 평가 220
Ⅲ. 소치 동계올림픽과 위대한 러시아 224
1. ‘돈 잔치’ 소치 동계올림픽 224
2. 위대한 러시아와 올림픽 228
Ⅳ. 동계올림픽, 소치, 그리고 경제적 효과 230
1. 러시아는 왜 올림픽을 택하였는가? 230
2. 러시아는 왜 소치를 택하였는가? 231
3. 소치 올림픽은 성공적이었는가? 233
Ⅴ. 소결 및 함의 245
1. 매력과 상대성의 문제 245
2. 경쟁과 승리의 역설 246
3. 평가 및 함의 247
참고문헌 249

― 제4부 ―
스포츠 외교: 그 밖의 이야기들
10 올림픽과 정치선전: 스미스와 카를로스의 블랙 살루트_257
Ⅰ. 1968년 멕시코 올림픽과 블랙 살루트 258
Ⅱ. 정치선전: 올림픽 경기의 사례들 261
Ⅲ. 올림픽과 국가주의 265
1. 올림픽과 의례 265
2. 올림픽과 이미지 확장 266
Ⅳ. 소결 및 함의 268
Ⅴ. 그 밖의 이야기-잊혀진 한 사람 271
참고문헌 273

11 메가 스포츠 이벤트와 경제효과_275
Ⅰ.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개최 이유 278
Ⅱ. 메가 스포츠 이벤트와 경제효과 282
1. 메가 스포츠 이벤트 개최와 경제성장 282
2. 메가 스포츠 이벤트 개최의 수혜자들 286
3. 가시적·비가시적 효과 & 단기적·장기적 효과 289
Ⅲ. 강원도 평창의 경우 291
Ⅳ. 소결 및 함의 293
참고문헌 295

12 평창 동계올림픽과 드림 프로그램_298
Ⅰ.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 298
Ⅱ. 왜 평창은 올림픽에 도전하였는가? 300
Ⅲ. 평창과 드림 프로그램 304
1. 평창 드림 프로그램 304
2. 평창 스페셜 올림픽 308
Ⅳ. 소프트 파워로서의 드림 프로그램 309
Ⅴ. 소결: 정책적 제언 312
참고문헌 314

13 남북한 공동개최, 단일팀 구성, 선수단 공동입장_316
Ⅰ.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와 남북한 올림픽 공동개최 317
Ⅱ. 평창 동계올림픽 공동개최 가능성에 대한 검토 318
1. 찬성과 반대의 입장 318
2. 올림픽 헌장에 대한 검토 320
3. 역대 올림픽의 분산개최 사례 322
Ⅲ. 남북 스포츠 교류 323
1. 1984년 LA 올림픽 단일팀 출전을 위한 남북체육회담 327
2. IOC 중재하의 ‘88 서울 올림픽’ 관련 로잔 남북체육회담(1985~1988) 328
3. 서울-평양 통일축구대회(1990) 329
4. 제41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코리아’ 단일팀 구성 참가(1991) 330
5. ‘한반도기’와 ‘코리아(Korea)’ 이름으로 공동입장(2000~2006, 2011) 331
Ⅳ. 소결 및 함의 332
Ⅴ. 평창은 어떻게 기억될 것인가? 334
참고문헌 339

14 세계 스포츠 기구와 글로벌 거버넌스_340
Ⅰ. 세계 스포츠 기구(GSOs)와 국가 340
Ⅱ. 스포츠 세계의 행위자들 342
1. 국가 우위론 342
2. 세계 스포츠 기구(GSOs) 우위론 344
3. 초국적 자본 우위론 346
Ⅲ. 세계 스포츠 기구(GSOs)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349
1. IGO, INGO, 국제 체제 혹은 제도 349
2. IOC의 위상과 GSO 353
Ⅳ. IOC와 올림픽 연대(Olympic Solidarity) 356
Ⅴ. 소결 및 함의 360
참고문헌 363

결 론: 세계정치 그리고 스포츠-교착과 조화를 넘어 협력으로/365
사항 색인/369

저자소개

정기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교수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부단장 정기웅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Robert D. Putnam의 투-레벨 게임의 확장적 해석인 투-페이스 게임을 활용한 미.북 핵 협상 과정 분석으로 동대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네르바정치학회 회장, 글로벌교육연구학회 회장, 스포츠정치외교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정경연구소 책임연구원, PRIO (Peace Research Institute Oslo) Guest Researcher, 경희대 객원교수, 명지대 객원교수,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전공분야는 국제정치이고, 연구 관심분야는 국제협력/협상, 통일/남북관계, 스포츠 정치/외교 등이다. 저서로는 ..스포츠 외교의 신화: 성공과 실패, 그리고 그 밖의 이야기들.., ..투-레벨 게임에 대한 새로운 모색..등이 있다. E-mail: jgw@hufs.ac.kr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57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