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비스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김용세 (지은이)
박영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2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서비스 디자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비스 디자인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서비스/고객관리
· ISBN : 9791130306599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18-09-21

책 소개

2008년 12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5년간 수행된 제품-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기술개발 과제에서는 서비스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 방법론과 소프트 웨어 기반 디자인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론에 기반하여 집필된 책이다.

목차

01 서비스 디자인이란
지적교육시스템 2
서비스의 본질 4
서비스 디자인 9
제품-서비스 융합디자인 12
가치 모델링 19
디자인이란 28
서비스 디자인이란 33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35
제조업 서비스화의 필요성 37
제품-서비스 시스템 42
02 제품-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방법론
의류 제품-서비스 시스템 50
제품 생애주기분석 51
사용자 모델링 53
요구조건 모델링 및 E3 가치 모델링 56
여정 맵 62
서비스 블루프린트 64
상황기반 행위 모델링을 통한 행위 디자인 67
계층적 가치 체계 81
기능과 행위 모델링 92
제품-서비스 시스템 기능 모델링 100
서비스 요소 104
제품 요소 디자인 106
제품 요소 디자인: 의류 TakeIN 제품-서비스 시스템 사례 115
03 제품-서비스 시스템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및 디자인 124
고객 가치 연계 분석 126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131
비즈니스 모델 전략 135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모델 기회 158
04 경험 평가 및 분석
고객 경험 164
경험 평가 및 분석 171
05 서비스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 182
서비스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 184
서비스 공간 프로토타이핑 188
06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서비스 디자인
비즈니스 컨텍스트 진단 196
제품-서비스 시스템 표현 프레임워크: 서비스 공간 203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디자인 사례: 행복맞춤목공소 209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전략 230
부록 비즈니스 모델 전략 _ 233
참고문헌 _ 244 찾아보기 _ 251

그림 목차
01 서비스 디자인이란
그림 1-1 이 그림을 보고 무슨 생각이 드나요? 4
그림 1-2 같은 공간에서 같은 작업인 A4 용지 낱장에 그림 그리기 작업하는 모습 5
그림 1-3 소비자, 디자이너, 제품/서비스와 Creative Design Institute 미션 7
그림 1-4 제품-서비스 융합 사례 13
그림 1-5 인간가치 기반한 기술과 비즈니스의 융합 15
그림 1-6 Innovation Cycle 16
그림 1-7 E3 Value 개념 20
그림 1-8 경험가치 - 외재적 가치, 내재적 가치 21
그림 1-9 E3 Value 분류 체계 21
그림 1-10 Emotional Value - Active, Reactive 23
그림 1-11 Emotional Value - Utilitarian, Aesthetic 23
그림 1-12 기다림 포인트 서비스 사용 시나리오 As-is 25
그림 1-13 기다림 포인트 서비스 사용 시나리오 To-be 26
그림 1-14 Experience Value의 구체 항목들의 사례 27
그림 1-15 최근 디자인 분류 30
그림 1-16 소비자, 제품/서비스, 디자이너 상호작용 32
그림 1-17 IDEO의 서비스 디자인 사례 34
그림 1-18 서비스 디자인 과정 35
그림 1-19 Industry 4.0의 Growth Driver 41
그림 1-20 PSS 사례의 대표적인 예 43
그림 1-21 제품-서비스 시스템의 메인 분류 43
그림 1-22 제품-서비스 시스템 45
그림 1-23 다분야 융합기반 제조업의 서비스화 45
그림 1-24 제품-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기술개발 과제 46
그림 1-25 제품-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과제 및 제조업 서비스화 지원 프레임워크 과제 46
그림 1-26 비즈니스 전략 및 구체 제품-서비스 시스템 Double Deck 프로세스 47
02 제품-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방법론
그림 2-1 제품-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의류 제품 50
그림 2-2 의류 Life-Cycle Steps & Stakeholders 52
그림 2-3 PSS 사용자 모델 54
그림 2-4 의류 재사용 단계의 관련자 도출 57
그림 2-5 의류 재사용 단계의 기부자 요구조건 57
그림 2-6 의류 재사용 수거 단계의 수거자의 요구조건 58
그림 2-7 기부자 요구사항의 E3 가치 체계 분류 예 59
그림 2-8 수거자 요구사항의 E3 가치 체계 분류 예 59
그림 2-9 As-Is 의류수거함 60
그림 2-10 의류 재사용 - E3 Values 61
그림 2-11 기부되는 의류의 As-is 여정 맵 62
그림 2-12 서비스 블루프린트 개요도 64
그림 2-13 현재 의류수거함 중심의 As-is Service Blueprint 65
그림 2-14 상황기반 행위 모델링(CBAM)으로 표현된 행위 67
그림 2-15 상황기반 행위 모델 68
그림 2-16 Ticket Purchase Window 찾기 행위의 상황기반 행위 모델링 69
그림 2-17 의류수거함에 의류 투입하기 행위의 상황기반 행위 모델링 72
그림 2-18 그림 2-17의 의류 투입하기 행위 시의 E3 가치 72
그림 2-19 위치 상황 요소를 편의점내부로 변경하여 얻어지는
의류 투입하기 상황기반 행위 모델링 73
그림 2-20 As-is Service Blueprint 74
그림 2-21 포장 행위 및 세탁/수선 행위 행위자 변경 74
그림 2-22 포장,세탁/수선 행위가 기부자의 행위로 바뀌고 이를 지원하는 다양한 행위 추가/개선이 수행된 To-be 서비스 블루프린트 75
그림 2-23 의류 TakeIn 제품-서비스 시스템 77
그림 2-24 의류 TakeIn 제품-서비스 시스템 여정 맵 78
그림 2-25 상황요소 Class - Field, Value 79
그림 2-26 티켓 창구 찾기 행위와 자판기를 이용한 기차표 구매하기 행위:
심리적 상황 Class - 동일 Field의 다른 Value로 변화(Calm → Worried) 80
그림 2-27 E3 Value Hierarchy 82
그림 2-28 동대문 의류 소매장 쇼핑경험 E3 가치 체계 분석 83
그림 2-29 동대문 의류 소매장 쇼핑 경험에 대한 Hierarchical Value Map(HVM) 84
그림 2-30 동대문 의류 소매장 쇼핑경험에 대한 Hierarchical Value Map의 예 -'재미' 85
그림 2-31 화장방 제품-서비스 시스템 사례를 통한 E3 가치 체계 분석 86
그림 2-32 화장방 Hierarchical Value Map의 예 -'컨트롤' 87
그림 2-33 동대문 쇼핑몰 제품-서비스 시스템 HVM: 재미 경험가치 88
그림 2-34 화장방 제품-서비스 시스템 HVM: 재미 경험가치 89
그림 2-35 셀프 레스토랑 제품-서비스 시스템 HVM: 재미 경험가치 89
그림 2-36 헌헐 제품-서비스 시스템 HVM: 재미 경험가치 90
그림 2-37 경험가치 주제 재미의 E3 가치 체계(HVM) 저장 내용 90
그림 2-38 상황기반 행위모델링 체계를 이용한 헌혈 사례의 대화하기 행위요소와 커피숍 사례의 대화하기 행위요소 91
그림 2-39 가치 주제 재미를 포함하는 커피숍 서비스 사례의 HVM 91
그림 2-40 컵 92
그림 2-41 컵의 기능(상위 개념) 93
그림 2-42 컵의 기능(기능 분할) 93
그림 2-43 컵, 대야, 비닐봉지 94
그림 2-44 컵의 기능 분할 95
그림 2-45 컵 이용 행위 96
그림 2-46 컵 잡기, 컵 놓기, 컵에 음료수 따르기, 음료수 있는 컵 잡고 들기, 마시기, 컵 다시 놓기 96
그림 2-47 컵 행위유발성 및 행위유발 특징형상 97
그림 2-48 인간-제품 상호작용 및 인간-서비스-인간 상호작용 98
그림 2-49 PSS 종합기능 표현 도식 100
그림 2-50 PSS 하위 기능 블록 분할 101
그림 2-51 의류 재활용 PSS 종합기능 101
그림 2-52 의류 재활용 기능 분할 102
그림 2-53 의류 재활용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 103
그림 2-54 우산제공 서비스 요소 104
그림 2-55 행위-기능 연계 105
그림 2-56 기능연계 서비스 블루프린트 105
그림 2-57 행위유발성을 이용한 제품 요소 디자인 방법 107
그림 2-58 기능-행위 연계기반 행위유발디자인 108
그림 2-59 우산제공 서비스 요소 109
그림 2-60 행위-기능연계 기반 행위유발성 도출 110
그림 2-61 행위유발 특징형상 저장소 110
그림 2-62 행위유발 특징형상 디자인 111
그림 2-63 우산제공 제품 요소의 행위유발 특징형상 Morphological Chart 112
그림 2-64 우산 제공하기 Product Element 디자인 113
그림 2-65 우산 대여 제품 디자인 114
그림 2-66 우산 반납 제품 디자인 114
그림 2-67 의류 TakeIN 제품-서비스 시스템의 기능 모델링 115
그림 2-68 의류 TakeIN 기능 행위 연계: Clothes Packaging 서비스 요소 116
그림 2-69 Clothes Packaging Service Element 117
그림 2-70 Clothes Packaging Service Element -Function-Activity Matrix 117
그림 2-71 서비스 요소 및 제품 요소의 연계를 통한 PSS 개념안 생성 118
그림 2-72 의류 TakeIN 시스템과 기부자 행위 스케치 119
그림 2-73 의류 TakeIN 제품-서비스 시스템 컨셉 120
그림 2-74 의류 TakeIN 제품-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경험 가치 증진 121
03 제품-서비스 시스템 비즈니스 모델
그림 3-1 위치 상황 변경: 편의점 내부 또는 아웃렛 매장 내부 125
그림 3-2 의류 매장 CVCA 127
그림 3-3 의류 TakeIn CVCA 127
그림 3-4 놀이터 서비스 디자인 128
그림 3-5 놀이터 서비스 디자인 여정 맵 129
그림 3-6 놀이터 As-is CVCA 130
그림 3-7 놀이터 서비스 디자인 To-be CVCA 130
그림 3-8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132
그림 3-9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프레임 133
그림 3-10 iPod iTunes 제품-서비스 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133
그림 3-11 두 가지 DVD 렌털 서비스 136
그림 3-12 Netflix의 비즈니스 모델 전략 137
그림 3-13 카페에서의 우산 대여 서비스 져니 맵 138
그림 3-14 Channel 관점의 Sharing 전략 138
그림 3-15 우산 제품-서비스 시스템 편의점 Channel Sharing 전략 비즈니스 모델 139
그림 3-16 우산 제품-서비스 시스템 편의점 Channel Sharing 전략 져니 맵 140
그림 3-17 우산 제품-서비스 시스템 지하철 Channel Sharing 전략 비즈니스 모델 141
그림 3-18 우산 제품-서비스 시스템 지하철 Channel Sharing 전략 져니 맵 141
그림 3-19 E3 가치, PSS, 비즈니스 모델 연계성 143
그림 3-20 화장품 매장에서 테스트하는 척하며 화장하는 As-is 져니 맵 144
그림 3-21 화장품 매장 As-is에 해당하는 서비스 유닛수준의 서비스 블루프린트 144
그림 3-22 화장품 매장의 비즈니스 모델 145
그림 3-23 화장방 셀프 메이크업 서비스 유닛 추가 져니 맵 146
그림 3-24 화장방 셀프 메이크업 서비스 유닛 추가 블루프린트 147
그림 3-25 셀프 메이크업 서비스 유닛의 서비스 요소들 147
그림 3-26 화장방 셀프 메이크업 서비스 추가 경우 비즈니스 모델 148
그림 3-27 셀프 메이크업 서비스 및 화장품 구매 유닛 추가 서비스 블루프린트 149
그림 3-28 셀프 메이크업 서비스 및 화장품 구매 유닛 추가 비즈니스 모델 150
그림 3-29 메이크업 상담 서비스 유닛 추가 져니 맵 및 서비스 블루프린트 151
그림 3-30 메이크업 상담 서비스 유닛 추가 비즈니스 모델 업데이트 152
그림 3-31 메이크업 상담 서비스 유닛 추가 비즈니스 모델 153
그림 3-32 전문 메이크업 서비스 유닛 추가 져니 맵 및 서비스 블루프린트 154
그림 3-33 전문 메이크업 서비스 유닛 추가 비즈니스 모델 업데이트 155
그림 3-34 전문 메이크업 서비스 유닛 추가 최종 비즈니스 모델 156
그림 3-35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모델 기회 공간 158
그림 3-36 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 진화 159
04 경험 평가 및 분석
그림 4-1 정서적 경험과 조명디자인 166
그림 4-2 User Product Interaction과 Emotional Experience 168
그림 4-3 Service Design Institute 고객 경험 평가 체계 169
그림 4-4 경험 평가 및 분석 과정 171
그림 4-5 경험샘플링 데이터 수집 및 관리 172
그림 4-6 경험 샘플링 프로세스 173
그림 4-7 동대문 쇼핑몰 경험 여정 맵 174
그림 4-8 Context Mapping방법활용 동대문쇼핑몰 요구사항조사 및 경험가치분석 175
그림 4-9 동대문 쇼핑몰 E3 Value 경험가치 체계 175
그림 4-10 동대문 쇼핑몰 고객 경험 평가 176
그림 4-11 동대문 쇼핑몰 CESA 결과 177
그림 4-12 에누리 Co-Creation 서비스 177
그림 4-13 음식점 져니 맵 터치포인트별 고객경험 평가 178
그림 4-14 음식점 경험 평가 결과 도식화 179
그림 4-15 안경원 고객 경험 평가 180
그림 4-16 안경원 서비스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경험 평가 결과 180
05 서비스 프로토타이핑
그림 5-1 디자인추론과정 182
그림 5-2 IDEO Quick & Dirty 프로토타입 183
그림 5-3 Creative Design Institute Quick & Dirty 프로토타입 183
그림 5-4 의류 Take-In 제품 서비스 시스템 프로토타이핑 185
그림 5-5 커피 주문 부스 및 조명맞춤화 서비스 부스 186
그림 5-6 커피숍 조명 맞춤화 서비스 프로토타이핑 안내도 186
그림 5-7 커피숍 조명 맞춤화 서비스 프로토타이핑 구체 조명선택-평가 가이드 187
그림 5-8 커피숍 조명 맞춤화 서비스 프로토타이핑 장면 187
그림 5-9 ㄱ자형 커피박스 및 일자형 커피박스 188
그림 5-10 프로토타이핑 행위 및 평가 도구 190
그림 5-11 ㄱ자형 커피박스 프로토타이핑 모습 191
그림 5-12 일자형 커피박스 프로토타이핑 모습 192
그림 5-13 ㄱ자형 및 일자형 경험평가 결과 193
06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서비스 디자인
그림 6-1 서비스화 비즈니스 컨텍스트 분석 198
그림 6-2 TPD의 비즈니스 컨텍스트 분석 스파이더 웹 200
그림 6-3 제품-서비스 시스템 사례들 204
그림 6-4 서비스 공간 평가체계 205
그림 6-5 인터페이스 카펫 제품-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공간 분류 206
그림 6-6 피아트 에코드라이브 제품-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공간 분류 207
그림 6-7 화장방 제품-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공간 분류 207
그림 6-8 커피숍 조명 맞춤화 제품-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공간 분류 208
그림 6-9 TPD CEO 워크샵 210
그림 6-10 의류 가구 라이프 사이클 스텝 분석 210
그림 6-11 의류, 가구 고객 요구조건들 211
그림 6-12 요구조건 E3 Value 분류과정 211
그림 6-13 의류 가구 E3 Value 체계 211
그림 6-14 주요 가치 주제 및 서비스 211
그림 6-15 의류/가구 관련 서비스 사례들(서비스 컨셉의 서비스 공간 분류) 213
그림 6-16 DIY 상황 기반 행위 모델링 214
그림 6-17 주요 가치 지원 서비스 아이디어 214
그림 6-18 Kids 가구 라이프 사이클 스텝 분석 214
그림 6-19 DIY 서비스 컨셉 서비스 공간 215
그림 6-20 행복맞춤목공소 브랜드 디자인 216
그림 6-21 가구 DIY 서비스 행복맞춤목공소 져니 맵 216
그림 6-22 행복맞춤목공소 서비스 블루프린트 217
그림 6-23 행복맞춤목공소 프로토타이핑 (1) 219
그림 6-24 행복맞춤목공소 프로토타이핑 (2) 220
그림 6-25 DIY현장에서 서비스제공자의 맞춤화서비스에 감동한 고객의 경험 220
그림 6-26 행복맞춤목공소 실시간 고객경험평가 223
그림 6-27 행복맞춤목공소 E3 Value 223
그림 6-28 행복맞춤목공소 1차 프로토타이핑 고객경험평가 결과 224
그림 6-29 행복맞춤목공소 2차 프로토타이핑 고객경험평가 결과 224
그림 6-30 어린이 의자/수납함 1 Seater 및 2 Seater 225
그림 6-31 행복맞춤목공소 져니 맵: 프로토타이핑 사진 이용 225
그림 6-32 행복맞춤목공소 비즈니스 모델 디자인 1 227
그림 6-33 행복맞춤목공소 비즈니스 모델 디자인 2 227
그림 6-34 행복맞춤목공소 비즈니스 모델 디자인 3 228
그림 6-35 행복맞춤목공소 비즈니스 모델 디자인 최종 228
그림 6-36 행복맞춤목공소 비즈니스 론칭 229

저자소개

김용세 (지은이)    정보 더보기
Education PhD, Design Division, Mechanical Engr. (Computer Science Minor), Stanford University, 1990 MS, Design Division, Mechanical Engr., Stanford University, 1985 BS, 기계공학과, 서울대학교, 1983 Teaching Experiences 성균관대 대학원 서비스융합디자인 협동과정 주임교수, 2013 -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03 - (부교수, 2000 - 2003) Visiting Professor, School of Design, Hong Kong Polytechnic Univ., 2017 Associate Professor, University of Wisconsin - Milwaukee, 1997 - 2000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 Champaign, 1990 ? 1997 Professional Activities 과학기술부 창의적설계추론 지적교육시스템 연구단장, 2004 - 2008 성균관대 창의적설계연구소 연구소장, 2005 - 지식경제부 제품 - 서비스 통합시스템 디자인 기술개발 총괄책임자, 2008 - 2013 산업통상자원부 창의융합정책 자문위원, 2013 - 2015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업의 서비스화 지원 프레임워크 개발 과제책임자, 2013 - 2016 교육부, BK21Plus 인간중심 서비스융합디자인 특화전문인재양성 사업단장, 2013 - Design Society, Advisory Board Member, 2011 - Design Society, Int’l. Conf. on Engineering Design (ICED13) Chair, 2013 Design Society, Asia Chapter Representative, 2014 - ServDes (International Conf. Service Design and Innovation) Committee Member, 2014 - Associate Editor,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Science, 2015 -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54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