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지역은 SDGs 이행을 어떻게 했는가?

우리 지역은 SDGs 이행을 어떻게 했는가?

(새로운 협력적 거버넌스를 찾아서)

정무권, Odkhuu Khaltar, 강소영, 남길현, 박종아, 윤흥준, 윤희철, 정선미, 제현수 (지은이)
박영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지역은 SDGs 이행을 어떻게 했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지역은 SDGs 이행을 어떻게 했는가? (새로운 협력적 거버넌스를 찾아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91130308050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연세빈곤문제사례총서 3권. 연구재단 중점연구소 3단계의 연구성과로서 앞에서 밝힌 연구원의 주제 영역 중의 하나인 SDGs 이행에 초점을 두어 기획된 것이다.

목차

머리말 i

01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달성과 거버넌스의 역할
정무권·Odkhuu Khaltar(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Ⅰ. 서론 2
Ⅱ. 왜 SDGs 이행의 지역화가 중요한가? 4
1. SDGs의 지역화는 삶의 현장이다. 6
2. SDGs의 지역화는 지역주민들과 지방정부가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7
3. SDGs의 지역화는 풀뿌리 민주화의 과정이다. 8
Ⅲ. SDGs 이행과 거버넌스의 역할 10
1. 거버넌스의 개념화 10
2. 거버넌스 유형과 특징 12
3. SDGs 이행에서의 거버넌스 역할 14
4. SDGs 이행에서의 거버넌스 유형 15
5. 새로운 협력적 거버넌스의 탐색 16
Ⅳ.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지역화 현황과 로컬거버넌스의 현주소 19
1.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행체계 19
2. 지속가능발전협의회 현황 22
3. 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거버넌스 활동 분석 24
4. 우리의 SDGs 로컬거버넌스의 특징 27
Ⅴ. 책의 구성과 성공적인 SDGs 지역화를 위한 새로운 협력적 거버넌스의 함의 29
1. 본 총서의 사례 분석틀 31
2. 사례가 주는 함의들 32

02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시민의 행동- 주 1일 채식운동을 중심으로 -
윤희철(광주광역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들어가며 42
Ⅱ. 주 1일 채식운동의 배경과 의미 44
1. 주 1일 채식운동의 이론적 배경과 의미 44
2. 주 1일 채식운동의 시작 48
Ⅲ. 주 1일 채식운동의 과정과 변화 50
1. 주 1일 채식운동의 방향 50
2. 주 1일 채식운동의 과정과 성과 52
Ⅳ. 주 1일 채식운동을 통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시민실천운동의 시사점 60
1. 내 건강과 지구의 건강을 일치시키는 새로운 시민운동 60
2. 기후변화를 위해 미래세대와 함께하는 먹거리 정책의 전환 60
3. 가족의 밥상에서 시작하는 기후변화대응 시민실천운동 61
4. 저비용 고효율의 기후변화대응 62
Ⅴ. 마치며 62

03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의 거버넌스 사례- 생태문화마을만들기 10년의 이야기 -
윤희철(광주광역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들어가며 68
Ⅱ.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란 무엇일까 70
1. 우리나라 마을만들기의 시작 70
2. 마을이 지속가능성을 생각하다 72
3. 거버넌스 마을만들기의 의미 74
Ⅲ. 생태문화마을만들기의 배경과 진행과정 76
1. 시민들이 도심생태공간을 지키고 운영하는 한새봉 농업생태공원 80
2. 무양서원, 커뮤니티공간으로서의 지역사회 개방 83
3. 푸른길 운동이 살린 마을과 거버넌스 85
4. 다가치그린 마을만들기를 통한 다양한 세대와 함께하는 마을만들기로의 실험 90
Ⅳ. 거버넌스형 생태문화마을만들기 10년의 의미 95
1. 실패와 시행착오, 마을공동체 실험의 장을 만들다 95
2. 설득과 타협의 과정을 만들다 96
3. 마을 스스로 ‘으쌰으쌰’하는 기회를 만들다 97
4. 사람을 키우는 마을만들기가 밥벌이가 되다 98
5. 10년 간의 마을만들기가 새로운 변혁을 만들다 99
Ⅴ. 마치며 100

04 수원천 복원과 물 거버넌스
박종아(수원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들어가는 말 106
1. 거버넌스: 시민사회의 성장이라는 맥락 106
2. 물의 도시 수원시와 물거버넌스 107
Ⅱ. 수원천복개와 복개반대 시민사회네트워크 109
1. 수원천 복개공사와 구 거버넌스의 실패 109
2. 수원천되살리기시민운동본부: 자발적으로 조직화된 네트워크의 등장 112
Ⅲ. 수원시 중소하천유역네트워크와 하천거버넌스의 태동 116
1. 하천복원논의와 소유역하천거버넌스의 태동 116
2. 하천유역네트워크의 역할과 거버넌스 활동 118
Ⅳ. 핵심쟁점과 분석 122
Ⅴ. 결론 및 연구과제 126

05 수원시 광교산 상수원보호구역과 갈등관리 거버넌스 사례
박종아(수원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공유자원을 둘러싼 갈등: 광교상수원보호구역 132
Ⅱ. 광교상수원보호구역의 현황과 규제의 특성 134
1. 기본 현황과 생태환경 134
2. 규제와 특성: 규제와 보존의 갈등 139
Ⅲ. 광교상수원보호구역을 둘러싼 갈등과 쟁점 142
1. 갈등 142
2. 쟁점 144
Ⅳ. 갈등해결 거버넌스: 좋은시정위원회와 광교산 상생협의회 145
1. 좋은시정위원회의 갈등해결 시도와 진통 145
2. 광교산 상생협의회의 탄생과 갈등해결과정 145
Ⅴ. 제도 및 주민지원방안 149
1. 주민지원방안 149
2. 제도적 접근 153
3. ‘광교산 상생협의회’ 협약안 체결 153
Ⅵ. 결론: 성과와 한계 155

06 ‘지역이 학교다’ 지속가능발전청소년포럼 YESDO-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지역 거버넌스 -
제현수(원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지속가능발전, 교육이 핵심이다. 160
1. 지속가능발전과 교육 160
2. 원주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164
3.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교육 166
Ⅱ. 지속가능발전청소년포럼‘YESDO’ 170
1. 지역이 학교다 170
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청소년 조직 173
3. 지역사회 기반의 교육공동체 179
Ⅲ. 지역사회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진지한 고민의 장 183
1.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183
2. 일상과 지속가능발전목표 187
Ⅳ.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거버넌스 192
1. 거버넌스에 대한 학습 과정 192
2. 좋은 거버넌스의 실현 195

07 원주 주택에너지 효율개선 사업- 취약계층 에너지 문제와 거버넌스 -
제현수(원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어느 누구도 에너지 빈곤의 고통을 겪지 않도록 한다. 202
1. 에너지문제와 지속가능발전 202
2. 원주 주택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205
3. 주택에너지 효율화 사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 208
Ⅱ. 원주 주택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 212
1. 원주지역 저소득층의 에너지 문제 212
2. 원주 주택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의 추진 방식 217
3. 삶의 질을 개선하는 거버넌스 221
Ⅲ. 연대와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프로그램 225
1. 통합적 관점의 에너지 프로그램 225
2. 저소득층 주택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과 지속가능발전목표 228
Ⅳ. 에너지 문제와 거버넌스 231
1. 더 나은 거버넌스를 위하여 231
2. 원주주택에너지효율화사업단의 새로운 출발을 위하여 233

08 전주지속가능지표운동
강소영(전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무엇이 문제였는가? 238
Ⅱ. 사례의 전개과정 241
1. 민관협력형(협의회 주도 정부 포용형) 246
2. 시민참여(지역사회문제 해결형) 247
Ⅲ. 성과: 지표는 문제은행이자 의제은행이다 259
Ⅳ. 성공요인 261

09 시민의 말이 씨가 된다. 전주시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종합계획
강소영(전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무엇이 문제였는가? 266
Ⅱ. 사례의 전개과정 269
Ⅲ. 성과가 무엇인가? 287
Ⅳ. 성공 요인이 무엇인가? 288
Ⅴ. 결론 및 토의주제 289

10 지속가능관광의 거버넌스 사례- 화성시 시티투어 착한여행 ‘하루’ -
정선미·남길현(화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들어가며 292
Ⅱ. 지속가능한 도시 그리고 공정여행 294
1.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관광 294
2. 화성시 시티투어와 공정여행 296
Ⅲ. 화성시 지속가능관광의 전개 300
1. 지역적 특성 300
2. 화성시 시티투어 착한여행 ‘하루’의 시작 303
3. 착한여행 ‘하루’의 전략 특성 306
Ⅳ. 나가며 317

11 거버넌스로 이루어지는 생물다양성 ‘화성시 도시숲 바이오블리츠’
윤흥준·남길현(화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Ⅰ. 거버넌스로 이루는 화성시 생물다양성 보존과 대안 찾기 324
Ⅱ. 생물다양성 확보와 지속가능한 화성시를 꿈꾸다 327
1. 도시숲 발전을 위한 지역활동가들의 고민을 모으다 327
2. 바이오블리츠(BioBlitz) “생물다양성번개”란? 328
3. 바이오블리츠를 만나다 329
4. 거버넌스로 이루어지는 생물다양성, 화성 도시숲 바이오블리츠 330
5. 생물다양성 인식증진과 환경정책으로 확산 339
Ⅲ. 마치며-도시숲 바이오블리츠로 화성시 생물다양성 인식 확산 340

국문색인 343

저자소개

정무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연세대 미래캠퍼스 글로벌행정학과 명예 교수 ∙ Indiana University, 정치학 박사 ∙ 복지정책, 정치경제, 행정이론, 발전이론,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 ∙ 한국사회정책학회 회장, 한국행정이론학회회장,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원장 역임
펼치기
윤희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장 네 아이의 아빠. 지역공공정책플랫폼 광주로 이사(현), 사)푸른길 이사(현), 광주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현), 광주에너지전환네트워크 운영위원장(현) 등 활동가이면서 전문가로 살고 있다. 「일제강점기 목포 도시계획의 내용과 특징」, 「일제강점기 시가지계획의 수립과정과 특징」, <지속가능발전 정책과 거버넌스형 문제해결>(공저), <우리 지역은 SDGs 이행을 어떻게 했는가>, <사회적경제와 도시재생(공저)>, <지속가능한 사회적 생태계> 등 도시계획사, 도시재생, 속가능발전정책, 기후변화, 마을공동체, 사회적경제 등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Odkhuu Khaltar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연구교수
펼치기
강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펼치기
남길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화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펼치기
박종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원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펼치기
윤흥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화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기획팀장
펼치기
정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화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부장
펼치기
제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