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91130308043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i
추천사 vi
01 들어가기
Chapter 01
서론: 강화와 티카풀 지역보건사업의 국제개발과지역보건의 의미를 찾아서 3
1.1. 우리나라의 국제개발: 그 발자취를 따라서_3
1.2 강화(대한민국)와 티카풀(네팔) 지역보건사업의 연결고리_17
1.3 이 책의 구성_22
02 국제개발과 일차보건 의료의 연계
Chapter 02
국제개발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27
2.1 국제개발_27
2.2 국제개발 의제로서의 건강_37
Chapter 03
일차보건의료의 과거, 현재, 미래: 알마아타 선언에서 아스타나 선언까지 41
3.1 일차보건의료: 알마아타 선언_42
3.2 국제사회에서의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접근 및 지역의료체계_46
3.3 한국에서의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접근_49
3.4 UN 새천년개발목표와 지속가능발전목표_52
3.5알마아타 선언 30주년과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재평가_54
3.6일차보건의료: 2018년 아스타나 선언_67
3.7 일차보건의료 운동으로 무엇을 배울 수 있었는가?_71
Chapter 04
국제개발과 일차보건의료의 연계: 한국과 네팔의 지역보건사업을 중심으로 79
4.1한국에 대한 국제개발 원조: 일차보건의료를 향하여_80
4.2 네팔에 대한 국제개발 원조: 일차보건의료를 위하여_114
4.3한국과 네팔의 지역사회 시범보건사업의 특징: 공통점과 차이점_132
03 국제개발과 지역보건의 연계
Chapter 05
강화와 티카풀지역의 보건의료 인프라 구축과 성과 143
5.1 일차보건의료 차원에서의 국제 비교를 위한 지역 선정_144
5.2 지역보건사업의 성과 평가를 위한 접근_146
5.3 지역보건사업의 내용분석 연구의 틀_146
5.4 지역사회 시범보건사업의 추진 경과_148
5.5 구조 측면에서의 시범보건사업 내용분석_170
5.6 과정 측면에서의 시범보건사업 내용분석_177
5.7 성과 측면에서의 시범보건사업 내용분석_189
5.8시범보건사업 비교를 통한 HIT사업에서의 교훈과 ODA 지원방식에 대한 제언_195
Chapter 06
일차보건의료 확충을 위한 보건의료체계 강화 전략 227
6.1 보건의료체계 강화 전략에 따른 분석의 개념적 접근_227
6.2 보건의료인력 측면에서의 HSS 전략과 성과_229
6.3 재원 조달 측면에서의 HSS 전략과 성과_234
6.4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측면에서의 HSS 전략과 성과_240
6.5보건의료정보체계 구축 측면에서의 HSS 전략과 성과_242
Chapter 07
일차보건의료 및 MDG 달성을 위한 중점 보건사업: 모자보건관리 260
7.1 한국 강화지역의 모자보건사업_261
7.2 네팔 티카풀지역의 모자보건사업_270
7.3 강화-티카풀지역에서의 모자보건사업의 평가와 교훈_279
Chapter 08
사업지역의 시대적(경제적) 및 지리학적 특성에 따른감염병관리 291
8.1 한국 강화지역의 결핵보건사업_292
8.2한국 (강화)지역의 지리학적 특성에 따른 말라리아 재발현_298
8.3 네팔 카일랄리 군지역(티카풀)의 말라리아관리사업_314
8.4네팔 (카일랄리군)지역의 지리학적 특성에 따른 에이즈(HIV/AIDS) 유행_325
Chapter 09
강화코호트 구축에 의한 만성질환관리 및 사망 수준 평가 340
9.1 강화 암코호트 구축에 의한 암관리사업_340
9.2 만성질환(고혈압)관리사업을 위한 강화혈압코호트 구축_368
9.3예방 가능한 조기사망(preventable early death)의 감소를 위한 강화코호트 구축_395
04 나가기
Chapter 10
강화와 티카풀 지역보건사업의 국제보건과 지역개발에서의함의 431
10.1강화와 티카풀은 한국의 국제보건사업 모델 개발 및 평가에 어떤 의미를 보여주었는가?_431
10.2지역보건사업으로서 강화와 티카풀은 지역사회개발에 어떤 함의를 주는가?_437
10.3 결론_442
부록 1.UN 새천년개발목표와 지속가능발전목표 449
부록 2.한국의 일차보건의료 시범보건사업 관련 지역별 보고서 및 연구논문 목록 455
부록 3.네팔의 일차보건의료 시범보건사업 관련 지역별연구논문 목록 492
부록 4-1.강화지역사회 보건사업 연구진 522
부록 4-2.네팔 HIT사업 운영팀 524
부록 5.강화지역보건사업의 연구논문(기타 영역)의 질적 체계적 고찰 526
부록 6.네팔 HIT사업 수행지역-카일랄리군 관련 연구논문의 질적 체계적 고찰 536
국문색인 541
영문색인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