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차보건의료 : 티카풀네팔이 강화대한민국를 만나다!

일차보건의료 : 티카풀네팔이 강화대한민국를 만나다!

(국제개발과 지역개발의 연계와 성과)

김춘배, 박은영, 이규재, 이서현, 정무권, 최정란, Chhabi Lal Ranabhat (지은이)
박영사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000원 -0% 0원
340원
33,6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차보건의료 : 티카풀네팔이 강화대한민국를 만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차보건의료 : 티카풀네팔이 강화대한민국를 만나다! (국제개발과 지역개발의 연계와 성과)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91130308043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Institute for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IPAID)이 출간하는 빈곤문제연구총서 시리즈. 티카풀과 강화지역에서 그동안 이루어진 일차보건사업들의 기존 연구들을 문헌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목차

머리말 i
추천사 vi

01 들어가기
Chapter 01
서론: 강화와 티카풀 지역보건사업의 국제개발과지역보건의 의미를 찾아서 3
1.1. 우리나라의 국제개발: 그 발자취를 따라서_3
1.2 강화(대한민국)와 티카풀(네팔) 지역보건사업의 연결고리_17
1.3 이 책의 구성_22

02 국제개발과 일차보건 의료의 연계
Chapter 02
국제개발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27
2.1 국제개발_27
2.2 국제개발 의제로서의 건강_37

Chapter 03
일차보건의료의 과거, 현재, 미래: 알마아타 선언에서 아스타나 선언까지 41
3.1 일차보건의료: 알마아타 선언_42
3.2 국제사회에서의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접근 및 지역의료체계_46
3.3 한국에서의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접근_49
3.4 UN 새천년개발목표와 지속가능발전목표_52
3.5알마아타 선언 30주년과 일차보건의료에 대한 재평가_54
3.6일차보건의료: 2018년 아스타나 선언_67
3.7 일차보건의료 운동으로 무엇을 배울 수 있었는가?_71

Chapter 04
국제개발과 일차보건의료의 연계: 한국과 네팔의 지역보건사업을 중심으로 79
4.1한국에 대한 국제개발 원조: 일차보건의료를 향하여_80
4.2 네팔에 대한 국제개발 원조: 일차보건의료를 위하여_114
4.3한국과 네팔의 지역사회 시범보건사업의 특징: 공통점과 차이점_132

03 국제개발과 지역보건의 연계
Chapter 05
강화와 티카풀지역의 보건의료 인프라 구축과 성과 143
5.1 일차보건의료 차원에서의 국제 비교를 위한 지역 선정_144
5.2 지역보건사업의 성과 평가를 위한 접근_146
5.3 지역보건사업의 내용분석 연구의 틀_146
5.4 지역사회 시범보건사업의 추진 경과_148
5.5 구조 측면에서의 시범보건사업 내용분석_170
5.6 과정 측면에서의 시범보건사업 내용분석_177
5.7 성과 측면에서의 시범보건사업 내용분석_189
5.8시범보건사업 비교를 통한 HIT사업에서의 교훈과 ODA 지원방식에 대한 제언_195

Chapter 06
일차보건의료 확충을 위한 보건의료체계 강화 전략 227
6.1 보건의료체계 강화 전략에 따른 분석의 개념적 접근_227
6.2 보건의료인력 측면에서의 HSS 전략과 성과_229
6.3 재원 조달 측면에서의 HSS 전략과 성과_234
6.4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측면에서의 HSS 전략과 성과_240
6.5보건의료정보체계 구축 측면에서의 HSS 전략과 성과_242

Chapter 07
일차보건의료 및 MDG 달성을 위한 중점 보건사업: 모자보건관리 260
7.1 한국 강화지역의 모자보건사업_261
7.2 네팔 티카풀지역의 모자보건사업_270
7.3 강화-티카풀지역에서의 모자보건사업의 평가와 교훈_279

Chapter 08
사업지역의 시대적(경제적) 및 지리학적 특성에 따른감염병관리 291
8.1 한국 강화지역의 결핵보건사업_292
8.2한국 (강화)지역의 지리학적 특성에 따른 말라리아 재발현_298
8.3 네팔 카일랄리 군지역(티카풀)의 말라리아관리사업_314
8.4네팔 (카일랄리군)지역의 지리학적 특성에 따른 에이즈(HIV/AIDS) 유행_325

Chapter 09
강화코호트 구축에 의한 만성질환관리 및 사망 수준 평가 340
9.1 강화 암코호트 구축에 의한 암관리사업_340
9.2 만성질환(고혈압)관리사업을 위한 강화혈압코호트 구축_368
9.3예방 가능한 조기사망(preventable early death)의 감소를 위한 강화코호트 구축_395

04 나가기
Chapter 10
강화와 티카풀 지역보건사업의 국제보건과 지역개발에서의함의 431
10.1강화와 티카풀은 한국의 국제보건사업 모델 개발 및 평가에 어떤 의미를 보여주었는가?_431
10.2지역보건사업으로서 강화와 티카풀은 지역사회개발에 어떤 함의를 주는가?_437
10.3 결론_442
부록 1.UN 새천년개발목표와 지속가능발전목표 449
부록 2.한국의 일차보건의료 시범보건사업 관련 지역별 보고서 및 연구논문 목록 455
부록 3.네팔의 일차보건의료 시범보건사업 관련 지역별연구논문 목록 492
부록 4-1.강화지역사회 보건사업 연구진 522
부록 4-2.네팔 HIT사업 운영팀 524
부록 5.강화지역보건사업의 연구논문(기타 영역)의 질적 체계적 고찰 526
부록 6.네팔 HIT사업 수행지역-카일랄리군 관련 연구논문의 질적 체계적 고찰 536

국문색인 541
영문색인 545

저자소개

이규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석사학위를 받았고, 원광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교수로 있다.
펼치기
정무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연세대 미래캠퍼스 글로벌행정학과 명예 교수 ∙ Indiana University, 정치학 박사 ∙ 복지정책, 정치경제, 행정이론, 발전이론,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 ∙ 한국사회정책학회 회장, 한국행정이론학회회장,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원장 역임
펼치기
김춘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강원도 홍천군 고혈압?당뇨병등록교육센터 센터장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연구위원 Medical NGO Global Care 감사(kimcb@yonsei.ac.kr)
펼치기
박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산부인과 임상부교수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로봇수술센터 위원(evenezer@yonsei.ac.kr)
펼치기
이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연세대학교 글로벌창의융합대학 글로벌행정학과 조교수 ∙ University of Texas, 보건학 박사 ∙ 국제보건, 디지털헬스, 모자보건 분야 연구
펼치기
최정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유전체코호트연구소 연구교수 (christinae@yonsei.ac.kr)
펼치기
Chhabi Lal Ranabhat (지은이)    정보 더보기
Policy Research Institute (Nepal) 연구원 Manmohan Memorial Institute of Health Science (Nepal) 연구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연구원(chhabir@gmail.com)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