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인간 경험 형성과 심미적 교육)

랄프 스미스 (지은이), 정옥희 (옮긴이)
박영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2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화예술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예술교육 (인간 경험 형성과 심미적 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91130310145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지난 30년 동안 Smith가 지필해온 대표적인 논문들과 저서, 그리고 강연들 중 문화와 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들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하여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는 일련의 인간 경험 형성에 대한 사고의 발전을 광범위하게 탐구해볼 기회를 제공한다.

목차

조지 게히건의 서문 / iii
저자가 전하는 감사의 글 / ix
역자가 전하는 감사의 글 / xi
서론 / 1

제1부 배경과 비전
1. 교양교육으로서 예술교육 23
2. 심미적 교육 철학과 이론 41
3. 미술, 인간 생애 진로, 그리고 심미적 교육 67
4. 미술교육 철학의 문제 91

제2부 예술계와 미술교육
5. 개념과 개념학습, 그리고 미술교육 117
6. 예술계와 심미적 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맥락 135
7. 학교에서의 심미적 비평 교수 151
8. 미술교육을 위한 수월성 교육과정 169

제3부 예술과 인문학
9. 심미적 교육: 필연적 중요성 187
10. 통찰력 개발: 인문학 기반 예술 교육과정 207
11. 인문학의 한 분야로서 음악 교수 233
12. 재도덕화와 심미적 교육 253

제4부 예술과 다양성
13. 문화적 다양성의 적용 269

저자소개

랄프 스미스 (엮은이)    정보 더보기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문화교육정책연구부서의 명예교수로서 컬럼비아대학(Columbia College)에서 예술 학사 학위를 받았고 컬럼비아 교사 대학(Columbia Teachers College)에서 미술교육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오하이오, 위스콘신, 뉴욕의 주립 대학에서 강의를 한 후, 일리노이대학에 임명을 받아 심미적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34년 동안 [학제 간 미학 교육 저널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의 편집장으로 일했다. 그의 주요 출판물은 [미술교육의 감각The Sense of Art Education], [미술교육: 필연적 중요성Art Education: A Critical Necessity](Albert William Levi와 함께), [일반 지식과 예술교육General Knowledge and Arts Education], [수월성 II: 미술교육의 지속적 탐구Excellence II: The Continuing Quest in Art Education]이다. 그리고 [미술교육에서 미학과 미술비평Aesthetics and Criticism in Art Education], [공공 정책과 심미적 관심Public Policy and the Aesthetic Interest](로널드 버만과 공동 편집),[미학과 예술교육Aesthetics and Arts Education](앨런 심슨과 공동 편집), [예술, 교육, 그리고 심미적 앎The Arts, Education, and Aesthetic Knowing](NSSE 연간 출판물, 베넷 라이머와 공동 편집), [학문중심미술교육Discipline-Based Art Education]이 있다. 그는 미국미술교육협회(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의 저명한 연구원이자 일리노이 교육 대학의 수석 학자이며, 일리노이 미술교육협회(Illinois Art Education Association)의 회원이었으며, 오늘날까지 미학과 심미적 교육에 대한 그의 공헌은 미국미학학회(American Society for Aesthetics)를 비롯하여 예술분야뿐 아니라 교육계에서 널리 인정받아 왔다.
펼치기
정옥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과를 졸업 후 20여 년 동안 중등학교 현장에서 미술 교사 경험을 쌓았으며,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문화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의 제도화된 미술교육이 문화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영국의 런던 골드스미스대학(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에서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형성된 미술교육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는 목원대학교 스톡스대학에서 창의교양학부와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학부에서 교양교육으로서 예술 체험교육 관련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담론]과[미술교수학습 패러다임 변화와 실천을 위한 이론과 방법]이 있으며, 번역서로는[교육을 위한 미술: 미술교육에서 해석, 정체성, 차이에 관한 이론과 실제](원저: Dennis Atkinson(2002). Art in Education: Identity and Practice)가 있다. 대표 연구 논문으로는 IJADE(International Journal of Art & Design Education) 국제 저널에 게재된 「후기 식민적 한국 사회에서 경험한 문화, 권력, 정체성, 미술교육에 대한 자문화기술적 탐구(An Autoethnographical Study of Culture, Power, Identity and Art Education in Post-Colonial South Korea)」(2015)가 있으며 주로 문화연구의 차원에서 예술교육 실천 행위들을 경험적 탐구로 성찰하는 연구를 해왔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