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30311432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1-01-10
책 소개
목차
CHAPTER01 항만개요
01 항만의 기능 3
1 항만의 기능 4
2 항만경제 7
3 항만산업 8
02 항만의 발전 10
03 항만과 경제 12
1 항만의 경제적 효과 12
2 항만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14
3 항만이 우리나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16
04 항만 수출입 절차 18
05 항만 클러스터 21
1 항만 클러스터 21
2 이해관계자 23
06 항만서비스 28
1 항만서비스 28
2 항만 해상서비스 29
CHAPTER02 항만산업의 환경변화
01 항만산업의 경쟁심화 35
1 기존 경쟁업체 간 경쟁 36
2 신규 경쟁자의 위협 37
3 글로벌 공급사슬 대체 39
4 항만이용자의 협상력 41
5 터미널운영자의 협상력 43
02 글로벌리제이션 44
1 생산의 글로벌화 44
2 집중 생산시스템 45
3 물류범위 확대 45
4 공급대안의 증가 46
5 항만에 미치는 영향 46
03 기술의 변화 48
1 세계 무역의 컨테이너화 49
2 초대형 컨테이너선 50
3 항만 운영에 대한 영향 51
4 컨테이너항만 생산성 향상 52
5 정보 기술의 역할 증가 52
04 허브 앤 스포크 54
1 허브항만 기준 54
2 허브항만 지위의 이점 56
3 허브항만이 직면한 문제 57
CHAPTER03 컨테이너해운 수요와 공급
01 세계해운산업 환경 61
02 컨테이너화물 수요와 공급 63
1 컨테이너 해상물동량 63
2 컨테이너선 공급 66
3 컨테이너선 공급과잉 68
03 해운동맹 약화 71
04 정기선사의 수평적 수직적 통합 73
1 수평적 통합 73
2 정기선사의 수직적 통합 76
3 선사의 수직적 통합 경쟁력 79
CHAPTER04 초대형선과 얼라이언스
01 규모의 경제 83
02 초대형 컨테이너선 85
1 대형화 추이 85
2 초대형선의 이점 88
3 공급과잉 89
4 초대형선의 리스크 90
03 얼라이언스 92
1 얼라이언스 발전 추이 93
2 얼라이언스 형성 목적 95
3 얼라이언스의 법적 지위 97
4 공급과잉 초래 98
04 해상물류의 변화 100
1 얼라이언스의 협상력 증대 100
2 해상운송구조 변화 102
05 화주에 미치는 영향 106
1 운항서비스 하락 106
2 서비스 차별화 감소 108
3 선박지연 증가 109
CHAPTER05 초대형 항만
01 초대형선과 항만 113
1 작업강도 심화 113
2 항만장비, 시설투자 증대 115
3 협상력 비대칭성화 심화 116
4 항만의 대응방안 118
5 규모의 비경제 120
02 초대형선 전용항만 123
1 초대형선 전용 신항만 123
2 물류중심항만 124
03 환적과 피더 126
1 환적 유형 126
2 피더 운송 128
04 환적항 130
1 환적 항만 130
2 환적항 유형 131
CHAPTER06 컨테이너터미널 수요와 공급
01 컨테이너터미널 산업 137
1 업무영역의 확대 137
2 터미널 고객 138
02 터미널 수요환경 140
1 화주 영향력 140
2 협상력저하 141
3 국제물류거점 142
03 세계 컨테이너 항만물동량 145
1 항만물동량 추이 145
2 GDP 대비 물동량 승수 하락 147
04 컨테이너터미널 항만 처리능력 149
05 터미널운영자의 집중화 153
1 글로벌 터미널운영자 153
2 터미널운영자 유형 155
3 새로운 터미널 개발방식 158
CHAPTER07 컨테이너터미널 작업
01 컨테이너터미널 개요 163
02 컨테이너터미널 영역별 기능 166
1 안벽 및 에이프론 영역 167
2 야드영역 169
3 게이트 영역 172
4 시설물 영역 173
03 컨테이너터미널 장비 175
1 안벽크레인(QC) 175
2 야드 장비 177
3 야드 이송장비 180
4 기타 181
04 터미널운영시스템 182
1 기능 182
2 시스템 구성 183
05 항만정보시스템 186
CHAPTER08 항만과 터미널개발
01 항만정책 191
1 전략항만 191
2 항만 전문화 192
3 항만 배후지 정책 193
02 항만개발계획 195
1 항만계획수립 195
2 우리나라 항만의 발전 196
03 컨테이너터미널 계획 198
1 타당성 검토 198
2 컨테이너터미널 계획 199
04 컨테이너터미널 설계 202
1 시뮬레이션 분석 202
2 안벽시설 및 장비 204
2 이송장비 205
3 게이트 시설 206
4 야드장치장 207
05 항만처리능력 209
1 적정하역능력 209
2 항만처리능력 산정 방식 210
3 개발규모 단위변경 213
CHAPTER09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01 자동화터미널 개발 217
1 자동화터미널의 필요성 217
2 도입현황 219
02 자동화터미널의 발전 및 장단점 221
1 발전단계 221
2 자동화터미널의 장점 223
3 자동화와 항만노동 225
03 자동화터미널 하역시스템 227
1 터미널 야드 배치 227
2 하역시스템 229
04 자동화터미널과 스마트항만 233
CHAPTER10 항만수요 및 항만선택
01 선사와 화주의 항만수요 239
1 선사의 항만수요 239
2 화주의 항만수요 241
02 항만선택 연구 246
1 선사의 항만선택 기준 연구 247
2 화주와 운송주선인의 항만선택 기준 연구 247
03 선사의 항만선택 250
1 비용 250
2 시간 251
3 항만의 위치 252
4 터미널 운영 252
5 항만물동량 253
6 선사의 특성 254
04 화주의 항만선택 256
1 비용 257
2 시간 258
3 신뢰성 259
4 가시성 260
5 공급사슬 요인 260
CHAPTER11 화주위주 항만정책
01 화주의 영향 265
02 항만의 대응전략 268
1 항만 육측서비스 268
2 선사의 화주서비스 269
3 컨테이너별 흐름관리 270
4 육측서비스 시간 271
5 배후지 전략 273
6 내륙 터미널 274
7 항만 내 세분화된 터미널 275
8 선사 전용터미널 275
03 항만의 가치창출 276
1 항만 파라다임 변화 276
2 항만당국의 역할 278
3 항만 배후지와 전면지 279
4 내륙항 281
CHAPTER12 항만경쟁력
01 항만서비스 경쟁력 287
1 항만경쟁력 요인 287
2 항만서비스 288
02 항만서비스 비용경쟁력 294
1 선박 항만비용 294
2 인터페이스 비용 296
3 육측 항만비용 297
4 배후수송 비용 297
5 항만서비스 총비용 비교 298
03 부가가치 서비스 경쟁력 300
1 항만의 경쟁력 변화 300
2 부가가치활동 301
04 항만 연결성 경쟁력 304
05 항만서비스 경쟁력 향상 전략 306
1 항만 간 경쟁 306
2 경쟁력 향상 전략 308
06 항만 마케팅 311
1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 311
2 항만 마케팅 312
3 항만배후지와 전면지에 대한 마케팅 313
CHAPTER13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01 구성요소 및 측정지표 317
1 생산성 구성요소 317
2 결합생산성 320
3 생산성 측정지표 321
4 이해관계자들의 관심 325
02 터미널 생산성 비교 328
1 항만별 선석생산성 328
2 지역별 터미널 생산성 비교 331
03 항만생산성 향상 332
1 재항시간 단축 332
2 경영상 이유 334
3 지배구조 국제화 335
CHAPTER14 항만 요금책정
01 컨테이너터미널 요금 339
02 기본가격 책정 342
1 항만시설사용료 342
2 터미널 화물처리비(THC) 343
3 장치보관료 344
4 기타 항만서비스료 345
03 가격 인센티브 제도 347
1 물량 인센티브 347
2 서비스 인센티브 349
3 이용 인센티브 349
4 이익 공유 350
04 서비스 가격책정 전략 351
1 원가 기반 가격책정 351
2 구매자 기반 가격책정 352
3 경쟁 기반 가격책정 353
05 거버넌스와 요금정책 355
1 총비용 할당 항만요금 356
2 한계비용 항만요금 책정 356
06 항만요금 책정 실무 359
CHAPTER15 항만보안과 안전
01 항만보안 363
02 국제 항만보안 대책 366
1 국제 선박 및 항만시설 보안규칙(ISPS code) 366
2 주요국의 ISPS 코드 관련 항만보안법 368
3 미국의 해사, 항만보안 대책 370
4 AEO 374
03 탐지 및 대응 복구전략 376
1 탐지 376
2 대응 및 복구 377
04 사이버 보안 380
1 항만 사이버 보안 380
2 항만 사이버 보안사고의 유형 381
3 항만 사이버 보안사고 예방 382
05 항만안전 384
1 항만 안전사고 384
2 항만국 통제 386
3 감염병 예방 388
CHAPTER16 항만오염
01 항만 대기오염 391
1 대기오염 물질 391
2 대기오염의 영향 392
3 선박과 하역장비의 대기오염 393
02 항만 해양오염 396
1 선박 평형수 396
2 항만준설 397
3 기름 유출 398
03 국제적 규제 399
04 항만오염 저감 401
1 선사의 역할 401
2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자의 역할 402
3 항만당국의 역할 403
4 연계운송에 대한 조치 405
05 항만 배출규제해역 406
1 배출규제해역 지정 현황 406
2 ECA 지정 효과 407
06 우리나라 항만배출 저감조치 409
CHAPTER17 항만과 도시
01 항만과 도시의 발전 415
1 항만과 도시개발 415
2 항만발전 단계 418
3 항만과 도시 발전 비교 421
02 항만과 도시정책 423
1 항만도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424
2 항만-도시 시너지 정책 425
03 항만 배후지 부가가치 서비스 428
1 다국적기업과 항만배후단지 428
2 부가가치 서비스 429
04 우리나라 항만과 고용 432
CHAPTER18 전용터미널의 재혁신
01 전용터미널 비효율성 437
1 항만체선 437
2 전용터미널과 항만처리능력 441
02 전용처리용량 부여 방식 444
1 전용처리용량 부여 방식 비교 444
2 터미널 전용사용 방식 비교 446
03 혼합형 전용터미널 448
04 혼합형 전용터미널 운영방안 451
1 합작운영사 설립 451
2 이익공유 방식 452
3 고정비 부담 방식 453
CHAPTER19 컨테이너항만의 미래
01 경제와 무역의 구조변화 459
1 무역성장 둔화 459
2 해상물동량 변동 요인 461
02 해운항만의 미래 464
1 초대형선의 비경제 464
2 항만투자의 당위성 465
3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한계 467
4 정기선 산업의 집중 469
03 항만혁신 방향 471
1 항만 효율성 증진 472
2 첨단 터미널로 생산성 향상 473
3 화주의 공급사슬 혁신에 기여 475
4 부가가치활동 확대 476
5 항만배후지 연계성 확대 477
6 디지털 플랫폼 구축 478
04 스마트항만 481
1 스마트항만 발전 481
2 주요국 스마트항만 정책 485
·용어(Glossary) 489
·참고문헌 507
·색인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