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30312507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21-03-0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사회적 자유와 미래를 향한 여정 14
1. 21세기는 사회학의 시대다_14
2. 사회학은 어떻게 태어났나?_18
3. 사회학은 관점의 학문이다_22
4. 사회학은 과학인가?_26
PART 01❙가장 중요한 세 가지 질문
|chapter 01|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33
1. 어떻게 지금 내가 있는가?_33
생명의 기원_34 성장의 신비_36
2. 미미하지만 위대한 인간의 모습 39
생물학적 존재_39 인간의 이원성_40
문명사적 시각_41
3. 선하고 악한 인간의 본성 42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_42 경험과 환경에 따라 다르다_44
이해관계에 따라 변한다_46
4. 인간에 대한 올바른 인식 48
무엇보다 소중한 생명_48 왜 사는가?_50
타인에 대한 감사와 헌신_51 인간에 대한 실망과 진실_53
|chapter 02|사회란 어떤 곳인가? 57
1. 사회란 무엇인가? 57
2. 무엇이 사회를 만드는가? 59
인구_59 자연환경과 사회환경_60
의식구조와 테크놀로지_62 조직과 제도_63
3. 사회를 보는 세 가지 패러다임 64
사회실재론과 사회명목론_64 사회체계론적 패러다임_66
갈등론적 패러다임_67 상호작용론적 패러다임_68
4. 사회를 보는 올바른 시각 69
|chapter 03|미래는 어떻게 창조되는가? 73
1. 시간이란 무엇인가? 73
시간의 개념과 종류_73 세 가지 시간_76
2. 미래란 무엇인가? 78
미래의 종류_78 미래전망의 원리_80
3. 미래는 어떻게 연구하는가? 83
미래에 대한 관심_83 미래연구의 중요성_86
미래연구의 의의와 영역_89 한국의 미래준비_91
4. 미래학은 과학인가? 92
미래에 대한 인식의 변화_92 미래학의 출발_95
미래학은 과학이다_97
PART 02❙사회는 어떻게 존속하는가?
|chapter 04|문화는 사회 성립의 토대이다 103
1. 문화는 사회의 내용물 103
문화의 개념_103 문화의 특성_105
2. 문화의 기능 107
개인적 차원_108 사회적 차원_110
3. 문화의 다양한 모습 111
내용에 따른 분류_111 채용범위에 따른 분류_114
형성과정에 따른 분류_116
4. 문화는 어떻게 변하는가? 117
5.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 120
보편성과 다양성_120 절대성과 상대성_121
문화결정론과 인간주의_124
|chapter 05|사회화는 사회 존속의 통로이다 127
1. 사회화가 사람을 만든다 127
사회화란 무엇인가?_127 사회화의 대행자_130
사회화의 시기별 유형_133
2. 사회화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134
기본행동과 가치관_134 사회적 지위와 역할_136
역할수행과 인상관리_138 역할갈등과 지위불일치_141
3. 사회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143
정신분석학적 이론_144 인지발달이론_146
상호작용이론_147 학습이론_152
4. 사회화의 쟁점들 153
문화와 퍼스낼리티_153 희생자 사회화_157
노인의 사회화_158
[자녀양육의 11가지 원리]
① 깊이 사랑하라 ② 예단하지 말라
③ 천성대로 양육하라 ④ 질문하게 하라
⑤ 스스로 하게 하라 ⑥ 오로지 후원하라.
⑦ 삶의 뿌리를 튼튼히 가꿔라 ⑧ 자녀의 미래는 자녀에게 맡겨라
⑨ 경쟁보다 상생을 가르쳐라 ⑩ 건강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⑪ 부모가 롤 모델이다
|chapter 06|사회의 기본조건은 인구와 환경이다 168
1. 인구란 무엇인가? 168
인구성장_169 인구구조_171
인구분포_173
2. 인구문제에 대한 논쟁 174
맬서스의 인구론_174 인구론에 대한 비판과 이후의 논쟁_176
로마클럽의 경고와 인구변천이론_178
3. 한국의 인구문제는 무엇인가? 181
4. 생태계와 환경운동 183
생태계의 이해_183 환경문제의 쟁점_185
환경운동의 전개과정_186
5. 지역공동체와 도시화 189
농촌과 도시_189 도시화와 도시성_191
도시의 생태학적 과정_194 한국의 도시화_195
PART 03❙사회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chapter 07|사회생활의 단위는 집단과 조직이다 201
1, 사회집단이란 무엇인가? 201
집단의 개념과 중요성_201 집단의 요건과 기능_202
2. 사회집단의 다양한 모습 203
일차집단과 이차집단_203 내집단과 외집단_205
준거집단 _207
3. 공식조직이란 무엇인가? 209
개념과 배경_209 관료제의 특성_211
관료제의 순기능과 역기능_213 관료제의 미래_217
4. 자발적 결사체란 무엇인가? 219
개념과 특징_219 자발적 결사체의 종류_220
중요성과 한계_221
|chapter 08|사회제도는 일상생활의 틀이다 223
1. 사회제도란 무엇인가? 223
사회제도의 의미_223 사회제도의 기능_225
2. 사회제도의 변천과 주요 제도 226
제도의 형성과 전문화_226 사회제도의 종류_227
3. 가족제도 230
가족의 개념과 기능_230 가족의 유형_232
산업화와 핵가족_233 제도의 변화와 위기_234
4. 종교제도 236
개념과 기본요소_236 발생원인_237
순기능과 역기능_239 세속화와 미래 전망_240
5. 정치제도 241
정치제도와 권력_241 정치제도의 유형_243
순기능과 역기능_244
6. 경제제도 246
개념과 유형_246 자본주의 경제제도_248
사회주의 경제제도_249 순기능과 역기능_251
7. 교육제도 252
개념과 유형_252 순기능과 역기능_254
현행 제도의 문제점_255 한국의 교육개혁_256
|chapter 09|사회계층은 이기적 본능의 결과이다 258
1. 사회적 불평등은 언제부터인가? 258
2. 불평등은 어떻게 생기나? 262
마르크스의 시각_262 베버의 시각_263
계급과 계층_264
3. 사회계층은 왜 생기는가? 267
사회구조를 보는 시각의 차이_267 기능론적 계층이론_267
갈등론적 계급이론_268 기능론과 갈등론에 대한 평가_270
4. 사회계층의 결과와 연구방법 271
사회불평등의 정도_271 계층의 결과_273
계층의 연구방법_275
5. 사회이동이란 무엇인가? 277
사회이동의 개념_277 사회이동의 개인적 요인_279
사회이동의 구조적 요인_281
PART 04❙사회는 어떻게 변하는가?
|chapter 10|일탈행동은 개인과 사회의 충돌이다 287
1. 일탈이란 무엇인가? 287
2. 일탈은 왜 생기는가? 288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설명_288 사회학적 접근_291
3. 사회는 왜 일탈을 통제하는가? 299
사회통제의 뜻_299 사회통제의 종류와 역기능_300
4. 일탈행동은 다 나쁜 것일까? 303
사회규범과 집단 내부의 응집력 강화_303 사회변동의 근원_303
|chapter 11|집합행동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가? 305
1. 집합행동이란 무엇인가? 305
집합의 종류_305 집합행동의 의미_308
군중의 집합행동_309
2. 어떻게 군중행동이 가능할까? 310
심리학적 접근_311 사회심리학적 접근_312
사회학적 접근_313
3. 매스미디어와 집합행동 316
대중에 의한 집합행동_316 공중에 의한 집합행동_317
선입견과 고정관념_318 여론조작과 선전_320
광고와 PR_323
4. 사회운동이란 무엇인가? 324
개념과 특성_324 발전단계_325
사회운동의 종류_327 신 사회운동_329
|chapter 12|무엇이 세상을 바꾸는가? 331
1. 사회변동을 알아야 할 이유 331
2. 고전적 사회변동이론 332
순환론_333 진화론_334
고전적 변동이론의 시각_336
3. 현대 사회변동이론 337
사회변동의 요인_33 근대화이론_338
종속이론_339 현대 사회변동이론의 퇴조_341
4. 과학기술적 사회변동론 342
탈이념과 산업주의_342 사회기술과 『제3물결』_344
제4물결(또는 제4차 산업혁명)_345
5. 제5물결은 어디서 시작될까? 348
제5물결은 무엇일까?_348 제5물결과 한국_351
에필로그: 사회적 자유의 10가지 원리 354
① 나는 귀중한 존재다 ② 인간은 문화의 창조자다
③ 사회화가 사람을 만든다 ④ 사람을 믿지만 인간은 변한다
⑤ 정신이 육체를 이긴다 ⑥ 자녀는 인생 최고의 선물이다
⑦ 세상은 끊임없이 변한다 ⑧ 미래는 생각과 상상의 실현이다
⑨ 꿈은 행복과 열정을 낳는다 ⑩ 미래항해의 선장은 자신이다
색 인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