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헌법학개론

헌법학개론

고문현 (지은이)
박영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헌법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헌법학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헌법
· ISBN : 9791130334875
· 쪽수 : 509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헌법에 관한 표준적인 내용을 개괄적으로 소개한 입문서로서 저자가 2019년 7월 31일까지의 판례와 법령을 기준으로 정리한 것이다.

목차

제1편 헌법일반이론

제1장 헌법의 기초
제1절 국가의 이해 3
제1항 국가의 개념 3
제2항 국가의 목적 4
제2절 헌법의 개념과 기능 4
제1항 헌법의 개념 4
제2항 헌법의 기능 5
제3절 헌법의 분류 6
제1항 전통적 분류방법 6
제2항 새로운 분류방법 8
제4절 헌법의 특성 9
제1항 사실적 특성 9
제2항 규범적 특성 10
제3항 구조적 특성 11
제5절 입헌주의 12
제1항 입헌주의의 의의와 연혁 12
제2항 근대 입헌주의의 기본요소 14
제3항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 16
제6절 헌법의 제정과 개정 그리고 변천(변질) 17
제1항 헌법의 제정 17
제2항 헌법의 개정(改正) 20
제3항 헌법의 변천(변질) 24
제7절 헌법의 적용범위 25
제1항 인적 적용범위 25
제2항 공간적 적용범위 26

제2장 헌법의 기본원리
제1절 헌법의 기본원리와 헌법 전문(前文) 29
제1항 헌법의 기본원리의 의의 29
제2항 헌법 전문(前文) 29
제2절 민주주의원리 30
제1항 개념과 기능 30
제2항 민주적 기본질서 31
제3절 국민주권주의 32
제1항 고전적 국민주권론 32
제2항 현대적 국민주권론 32
제4절 법치주의 34
제5절 사회국가원리 35

제3장 헌법의 기본제도
제1절 헌법과 제도적 보장 36
제1항 제도적 보장의 의의 36
제2항 정당제도 36
제3항 선거제도 40

제2편 기본권론

제1장 기본권총론
제1절 기본권의 일반적 특질 53
제2절 기본권의 역사적 전개 53
제1항 자유권적 기본권의 역사적 전개 53
제2항 사회적 기본권의 등장과 전개 58
제3항 1945년 이후의 인권보장―인권보장의 현대적 전개― 60
제3절 기본권의 개념과 분류 63
제1항 기본권의 개념 63
제2항 기본권의 분류 65
제4절 기본권의 본질과 기능 69
제1항 기본권이론 69
제2항 기본권의 기능 75
제5절 기본권의 주체 78
제1항 자연인 78
제2항 법 인 81
제6절 기본권의 성격 83
제1항 구체적 권리성 83
제2항 자연적 권리성 83
제3항 이중적 성격(양면성) 84
제7절 기본권의 효력 85
제1항 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 85
제2항 기본권의 제3자적 효력 86
제3항 기본권의 갈등 90
제8절 기본권의 한계와 제한 97
제1항 기본권의 한계: 내재적 한계성 98
제2항 기본권의 제한 99
제9절 기본권의 확인과 보장 112
제1항 국가의 기본권확인과 기본권보장의 의무 112
제2항 기본권의 침해와 구제 113

제2장 기본권각론
제1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 122
제1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조항의 규범적 의미 122
제2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조항의 규범적 성격 123
제3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조항의 적용범위 125
제2절 행복추구권 125
제1항 행복추구권의 의의 125
제2항 행복추구권의 내용 127
제3절 평등권 132
제1항 평등사상의 형성과 전개 132
제2항 평등의 원칙 133
제3항 평등심사의 기준 135
제4항 평등권 137
제5항 평등조항의 적용대상(평등권의 주체) 140
제6항 평등조항의 효력 140
제7항 평등조항의 구체적 실현 141
제8항 평등의 원칙과 평등권의 제한―합리적 차별― 142
제4절 자유권적 기본권 144
제1항 자유권적 기본권총설 144
제2항 인신의 자유권 146
제3항 사생활의 자유권 152
제5절 정신적 자유권 159
제1항 정신적 자유권의 구조와 체계 159
제2항 양심의 자유 159
제3항 종교의 자유 166
제4항 언론?출판의 자유 169
제5항 집회?결사의 자유 178
제6항 학문의 자유 183
제7항 예술의 자유 186
제6절 경제적 기본권 188
제1항 경제질서와 경제적 기본권 188
제2항 재산권 189
제3항 직업(선택)의 자유 195
제7절 정치적 기본권 198
제1항 정치적 기본권의 의의와 유형 198
제2항 참정권 199
제8절 청구권적 기본권 204
제1항 청구권적 기본권의 구조와 체계 204
제2항 청원권 205
제3항 재판청구권 208
제4항 국가배상청구권 211
제5항 손실보상청구권 216
제6항 형사보상청구권 218
제7항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220
제9절 사회적 기본권 222
제1항 사회적 기본권의 구조와 체계 222
제2항 인간다운 생활권 226
제3항 교육을 받을 권리 228
제4항 근로의 권리 232
제5항 근로3권 238
제6항 환경권 242
제10절 국민의 기본의무 267
제1항 의 의 267
제2항 납세의무 268
제3항 국방의무 268
제4항 교육을 받게 할 의무 269
제5항 근로의무 269
제6항 재산권행사의 공공복리적합성 의무 270
제7항 환경보전의무 270

제3편 통치구조론

제1장 통치구조 총론
제1절 대의제의 원리 273
제1항 대의제의 의의 273
제2항 대의제의 기능 273
제3항 대의제구현을 위한 조건 274
제4항 대표관계의 법적 성질 274
제5항 현대형 대의제 275
제6항 한국헌법과 대의제 278
제2절 권력분립제의 위기와 변질 278
제1항 고전적 권력분립론에 대한 기대와 회의 278
제2항 권력분립제의 위기 279
제3항 권력분립제의 변질 279
제3절 이원집행정부제 280
제1항 이원집행정부제의 개념 280
제2항 이원집행정부제의 본질과 구조적 원리 280
제3항 이원집행정부제의 채택배경과 제도적 내용 281
제4항 이원집행정부제의 운용실태 281
제4절 처분적 법률 282
제1항 처분적 법률의 의의 282
제2항 처분적 법률의 유형 282
제3항 처분적 법률의 한계 282
제5절 통치행위 283
제1항 통치행위의 의의 283
제2항 통치행위에 관한 학설 286
제3항 통치행위의 범위 290
제4항 외국의 통치행위 292
제5항 통치행위에 관한 우리나라의 판례 302
제6항 결 론 306

제2장 입법부
제1절 의회주의의 기본원리 308
제1항 서 론 308
제2항 국민대표의 원리 308
제3항 공개와 이성적 토론의 원리 309
제4항 다수결의 원리 309
제5항 정권교체의 원리 310
제2절 국회의 헌법상 지위 310
제1항 서 론 310
제2항 국민대표기관으로서의 국회 311
제3항 입법기관으로서의 국회 311
제4항 국정통제기관으로서의 국회 312
제3절 탄핵제도 313
제1항 탄핵제도의 의의 313
제2항 탄핵제도의 연혁 313
제3항 탄핵제도의 정치적 가치 313
제4항 국회의 탄핵소추권 316
제5항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권 318
제4절 국정감사?조사권 319
제1항 국정감사?조사권의 의의 319
제2항 국정감사?조사권의 법적 성격 320
제3항 국정감사?조사의 시기와 기간 321
제4항 국정감사?조사의 대상기관 321
제5항 국정감사?조사권의 한계 322
제5절 면책특권 323
제1항 면책특권의 의의 323
제2항 면책특권의 법적 성질 323
제3항 면책특권의 주체 324
제4항 면책특권의 내용 324
제5항 면책특권의 한계 326
제6절 불체포특권 326
제1항 불체포특권의 의의 326
제2항 불체포특권의 연혁과 입법례 326
제3항 불체포특권의 법적 성격 327
제4항 불체포특권의 내용 327
제7절 입법권의 한계 328
제1항 합헌성의 원칙에 의한 한계 328
제2항 국제법상의 일반원칙에 의한 한계 328
제3항 입법재량의 기속성(입법재량권 남용금지의 원칙)에 의한 한계 329

제3장 집행부
제1절 긴급명령권 333
제1항 긴급명령의 의의 333
제2항 긴급명령의 법적 성질 333
제3항 긴급명령의 발포요건 334
제4항 긴급명령의 내용 336
제5항 긴급명령의 효력 336
제6항 긴급명령에 대한 통제 337
제2절 계엄선포권 337
제1항 계엄의 의의 337
제2항 계엄선포의 요건 338
제3항 계엄의 선포권자와 지휘?감독권자 339
제4항 계엄의 종류와 변경 339
제5항 계엄의 효력 339
제6항 계엄의 해제 340
제3절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341
제1항 법률안거부권의 의의 341
제2항 법률안거부권의 제도적 의의 341
제3항 법률안거부권의 법적 성격 342
제4항 법률안거부권의 행사요건 342
제5항 법률안거부의 유형 343
제6항 법률안거부권에 대한 통제 344
제4절 국민투표부의권 344
제1항 국가의 중요정책에 대한 국민투표제의 연혁 344
제2항 국민투표부의권의 의의와 법적 성격 345
제3항 국민투표의 대상 345
제4항 국민투표의 방법과 절차 346
제5절 대통령의 행정입법에 관한 권한 346
제1항 행정입법의 의의 346
제2항 행정입법의 유형 347
제6절 대통령의 사면권 350
제1항 사면권의 의의 350
제2항 사면권의 내용 351
제3항 사면권의 한계 352
제7절 국무총리의 헌법상 지위 353
제1항 서 설 353
제2항 국무총리제 내지 수상제의 유형 353
제3항 국무총리제의 제도적 의의 354
제4항 국무총리의 헌법상 지위 355

제4장 법 원
제1절 사법권의 독립 357
제1항 사법권의 독립의 의의 357
제2항 사법권의 독립의 내용 358
제3항 사법권의 독립에 대한 제한(예외) 364
제2절 명령?규칙심사권 364
제1항 명령?규칙심사권의 개념 364
제2항 명령?규칙심사권의 제도적 의의 365
제3항 명령?규칙심사권의 주체 365
제4항 명령?규칙심사권의 요건 366
제5항 명령?규칙심사권의 기준 366
제6항 명령?규칙심사의 대상 366
제7항 명령?규칙심사의 범위 367
제8항 명령?규칙심사의 방법과 절차 367
제9항 위헌?위법한 명령?규칙의 효력 368
제3절 위헌법률심판제청권 368
제1항 위헌법률심판제청권의 의의 368
제2항 위헌법률심판제청권의 주체 369
제3항 위헌법률심판제청권의 성격 369
제4항 위헌법률심판제청의 요건 370
제5항 위헌법률심판제청의 대상 370
제6항 위헌법률심판제청의 절차 370
제7항 위헌법률심판제청의 효과 371
제4절 사법의 절차와 운영 371
제1항 개 설 371
제2항 재판의 심급제 371
제3항 재판의 공개제 373
제4항 재판의 배심제 374
제5절 대법원의 규칙제정권 375
제1항 대법원규칙의 의의 375
제2항 대법원규칙제정권의 제도적 의의 375
제3항 대법원규칙제정권의 대상과 범위 376
제4항 대법원규칙제정의 절차와 공포 376
제5항 대법원규칙의 효력 376
제6항 대법원규칙에 대한 통제 377

제5장 헌법재판소
제1절 헌법재판의 기능과 본질 378
제1항 헌법재판의 의의 378
제2항 헌법재판의 기능 378
제3항 헌법재판의 본질 379
제2절 헌법재판에 있어서 소극주의와 적극주의 380
제1항 개 설 380
제2항 사법소극주의 381
제3항 사법적극주의 382
제4항 결 어 383
제3절 헌법재판제도의 유형 383
제1항 개 설 383
제2항 재판기관을 기준으로 한 분류 384
제3항 재판사항을 기준으로 한 분류 388
제4절 헌법재판소의 심판절차 406
제1항 일반심판절차 406
제2항 재판부 407
제3항 재판관에 대한 제척, 기피, 회피 408
제4항 헌법재판의 당사자 409
제5항 대표자 및 대리인 410
제6항 심판의 청구 411
제7항 심 리 412
제8항 평 의 413
제9항 가처분 415
제10항 종국결정 418
제5절 헌법재판소의 권한 422
제1항 개 관 422
제2항 위헌법률심판권 422
제6절 헌법재판소 구성에 관한 개선방안 432
제1항 문제의 제기 432
제2항 현행 헌법상 헌법재판소의 구성방법 433
제3항 헌법재판소 구성에서의 문제점 433
제4항 개선방안 435
제7절 헌법재판소에 의한 규범통제와 그 주요사례 436
제1항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받은 법규개관 436
제2항 위헌선언된 명령 등 개괄 446
제3항 위임입법에 관한 중요판례 447

참고문헌 451
부록 대한민국헌법 461
판례색인 485
사항색인 490

저자소개

고문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약력 경북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수학(94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박사) 대법원 판례심사위원회 조사위원(1996-2000) 헌법재판소 헌법연구원(2003-2004) 울산대학교 법학과 교수(2004-2007) 사법시험 출제위원 한국환경법학회 학술상(2011) 환경부장관 표창(2014) 법제처 국민법제관(2010-2014)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감사(2014-2018) 국회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2017) 제24대 한국헌법학회 회장(2018) 대법원 양형위원회 자문위원(2018-2021) 대검찰청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위원(2018-현재) 국회입법조사처 자문위원(2018-2019)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위원회 위원(2016-현재) 헌법재판소 인사위원회 위원(2018-2019) 숭실대학교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원장(2014-2019) 풀브라이트 방문교수(2020-2021 UC Berkeley Law School Fulbright Visiting Scholar) 현: 한국헌법학회 고문 한국ESG학회 차기회장 한국입법정책학회 고문 환경한림원 정회원 국방부 자문위원 행정안전부 자문위원 대법원 양형위원회 자문위원 숭실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주요저서 행정의 법규범과 현실(김철수 외 공저), 집문당, 2004. 세계각국의 헌법재판소, UUP, 2005. 독일환경법, UUP, 2005. 지방자치법의 실제와 주민소환, UUP, 2005.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공저), 한국법제연구원, 2010. 환경헌법의 모델연구, 대윤, 2011. 물과 인권(공저), 피어나, 2012.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에너지·자원법(공저), 숭실대학교출판국, 2015. 온실가스감축과 배출권거래제(공저), 다사랑, 2017. 기후변화와 환경의 미래(공저), 21세기북스, 2019. EU 기후변화정책의 이해(공저), 박영사, 2019. 기후변화에 대한 법적 대응(공저), 박영사, 2019 등 다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