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세법
· ISBN : 9791130341507
· 쪽수 : 586쪽
· 출판일 : 2022-02-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세법의 기본개념
제1절 조 세 3
제1항 조세의 개념 3
제2항 조세의 법적 특성 5
1. 공권력단체가 부과하는 금전채무 / 5
2. 재정조달을 위해 특정한 반대급부 없이 부과 / 6
3. 법률에 의한 부과 / 7
제3항 국민경제와 조세 9
제2절 세 법 12
제1항 세법의 체계 12
1. 세법의 개념․법원 / 12
2. 1세목 1법률 체계 / 13
3. 국세기본법과 국세징수법 / 14
4. 법률과 위임입법 / 16
제2항 세법의 이념 17
1. 정 의 / 17
2. 법적 안정성 / 18
3. 합목적성 / 19
제2장 세법의 입법
제1절 조세법률주의 23
제1항 역 사 23
제2항 주요 내용 25
1. 과세요건법정주의 / 25
2. 과세요건명확주의 / 27
3. 조세법령불소급의 원칙 / 28
제2절 조세평등주의 32
제1항 수평적 평등 32
1. 객관적 요소 / 33
2. 주관적 요소 / 34
제2항 수직적 평등 35
제3절 재산권 보장 및 과잉금지원칙 38
제1항 재산권 보장 38
1. 수익권 / 38
2. 처분권 / 39
제2항 과잉금지원칙(비례원칙) 41
제4절 사회적 시장경제 질서 43
제3장 세법의 해석과 적용
제1절 세법의 구성 47
제1항 실체적 규정과 절차적 규정 47
제2항 고유개념과 차용개념 49
제3항 창설적 규정과 확인적 규정 51
제2절 세법의 해석 52
제1항 세법해석원칙 53
1. 국세기본법 제18조 제1항 / 53
2. 세법 간 우선순위 / 55
제2항 세법의 행정해석 60
1. 질의회신 / 60
2. 기본통칙 / 61
3. 세법해석 사전답변 / 62
제3절 세법의 적용 64
제1항 적용방법 64
1. 기본원칙 / 64
2. 가장행위 / 65
3. 위법행위 / 66
제2항 합법성원칙 67
제3항 신의성실원칙 69
1. 세무공무원 / 70
2. 납세자 / 72
제4항 실질과세원칙 73
1. 국세기본법 제14조 / 75
2. 조세회피방지규정 / 83
제4장 조세채무
제1절 조세법률관계 95
제1항 조세법률관계의 개념 95
1. 주 체 / 97
2. 조세채무 / 99
제2항 조세법률관계의 변동 104
1. 조세법률관계의 변동과정 / 104
2. 양도소득세 법률관계 변동사례 / 106
제3항 서류의 송달 108
1. 개 념 / 108
2. 방 법 / 108
3. 효 과 / 109
제2절 조세채무의 성립 111
제1항 조세채무의 성립요소 111
제2항 조세채무의 성립시기 112
제3절 조세채무의 확정 115
제1항 납세의무자의 신고 116
1. 신고의 성격 / 117
2. 신고상 하자 / 118
제2항 과세관청의 부과 119
1. 부과처분의 성격 / 119
2. 부과처분상 하자 / 120
3. 가산세 등 / 123
제3항 자동확정 124
1. 원천납세의무․원천징수의무의 성립․확정 / 124
2. 원천징수의 법률관계 / 127
제4항 하자의 시정 129
1. 납세의무자의 수정신고 / 129
2. 납세의무자의 경정청구 / 130
3. 과세관청의 경정 / 134
제4절 조세채무의 승계 139
제5절 조세채무의 소멸 141
제1항 납부․충당 또는 부과의 취소 141
제2항 부과권의 제척기간의 경과 142
1. 일반적인 경우 / 142
2. 특례부과제척기간 / 144
제3항 징수권의 소멸시효의 완성 146
제6절 조세채권의 확보 148
제1항 조세우선권 148
1. 조세의 우선 / 148
2. 조세채권 간의 순위 / 148
3. 조세우선권의 배제 / 149
제2항 납세담보 151
제3항 짜고 한 거짓계약의 취소 151
제7절 조세채무의 이행청구와 독촉 153
제8절 조세채권의 실현 156
제1항 체납자의 재산보전 156
1. 채권자대위권 / 156
2. 사해행위취소 / 157
제2항 압류 등 159
제3항 압류재산의 매각 160
제4항 청 산 161
제5항 압류․매각유예 162
제5장 권리구제
제1절 납세자권익보호 165
제2절 사전구제 168
제3절 사후구제-불복절차 170
제1항 이의신청 171
제2항 행정심판 171
1. 청구절차 / 173
2. 청구의 대상 / 174
3. 심리원칙과 결정절차 / 175
4. 심판결정 / 175
제4절 사후구제-조세소송 178
제1항 조세소송의 개념과 종류 178
제2항 조세항고소송 179
1. 종 류 / 180
2. 주요 요소 / 182
3. 심 리 / 185
4. 판결의 효력 / 188
제5절 헌법재판 190
제1항 헌법재판의 요건 190
1. 위헌법률심판(헌가사건) / 191
2. 헌법소원심판(헌마사건, 헌바사건) / 191
제2항 위헌법률심판의 결정 192
1. 결정의 유형 / 192
2. 위헌결정의 효과 / 193
제6장 조세범
제1절 개념과 역사 197
제2절 조세범 200
제1항 조세포탈범 200
제2항 기타 조세형사범 204
제3절 조세범처벌절차 205
제7장 소득세법
제1절 소득세의 역사 211
제1항 영 국 211
제2항 미 국 212
제3항 독 일 212
제4항 일 본 213
제5항 우리나라 214
제2절 과세대상 216
제1항 소득의 범주와 분류 216
1. 소득의 범주 / 216
2. 소득의 분류 / 217
제2항 과세소득의 귀속 218
제3항 소득금액 219
제3절 납세의무자 221
제1항 과세단위 221
제2항 거주성별 과세소득의 범위 222
1. 거주성 / 224
2. 과세대상 / 224
제4절 종합소득 226
제1항 과세대상 226
1. 이자소득․배당소득 / 227
2. 사업소득 / 236
3. 근로소득․연금소득 / 243
4. 기타소득 / 247
제2항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 250
1. 과세표준․소득금액 / 250
2. 소득공제 / 251
3. 세액의 계산 / 252
제3항 인식시기 등 255
제4항 조세채무의 확정 256
1. 확정신고 / 256
2. 결 정 / 257
제5절 퇴직소득 259
제6절 양도소득 260
제1항 역사적 조감 260
제2항 과세대상 263
1. 대상물건 / 263
2. 양 도 / 266
3. 국외전출 / 272
4. 비과세․감면 / 272
제3항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 274
1. 과세표준 / 274
2. 세 액 / 286
제4항 조세채무의 확정 288
1. 신 고 / 288
2. 결 정 / 289
제7절 납부와 징수 291
제1항 자진납부 291
제2항 징수 및 원천징수 292
제8장 법인세법
제1절 개념과 역사 297
제1항 개 념 297
제2항 주요국의 제도와 역사 298
1. 영 국 / 298
2. 미 국 / 299
3. 독 일 / 300
4. 일 본 / 300
5. 우리나라 / 300
제2절 납세의무자 302
제1항 법인․법인과세신탁 302
1. 법인세법상 법인 / 302
2. 법인과세신탁 / 303
3. 법인설립과 관련된 조세 / 304
제2항 과세실체․과세단위 305
1. 과세실체 / 305
2. 과세단위-연결납세 / 310
제3항 법인별 과세소득의 범위 314
제3절 각 사업연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317
제1항 조세채무의 성립 317
1. 과세소득 / 317
2. 소득금액 / 318
제2항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 321
1. 익 금 / 322
2. 손 금 / 335
3. 손익의 인식 / 355
4. 합병․분할 등 / 359
5. 부당행위계산부인 / 374
6. 과세표준과 세액의 산정 / 382
제3항 조세채무의 확정 386
1. 신 고 / 386
2. 부과결정 / 387
제4항 소득처분 387
제4절 청산소득에 대한 법인세 392
제1항 과세대상 및 과세표준 392
1. 해 산 / 393
2. 조직변경 / 394
제2항 신 고 396
제3항 부과 및 징수 397
제5절 납부와 징수 398
제9장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절 부의 무상이전과세 401
제1항 과세이론 401
제2항 외국의 제도와 역사 404
1. 유산과세형 국가 / 404
2. 취득과세형 국가 / 408
3. 상속세 폐지 국가들 / 410
제2절 상속세 412
제1항 과세체계 412
1. 상속세의 기본 틀 / 412
2. 상속세와 증여세 / 412
제2항 납세의무자 415
1. 상속인․수유자 고유의 납세의무 / 415
2. 피상속인 납세의무의 승계 / 417
제3항 과세대상 418
1. 상증세법상 상속의 개념 / 418
2. 과세대상 상속재산 / 419
제4항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 426
1. 상속세과세가액 / 426
2. 과세표준 / 429
3. 세 액 / 432
제5항 조세채무의 성립․확정 및 이행 433
1. 신 고 / 434
2. 부과결정 / 434
3. 상속세 납부 / 436
제3절 증여세 438
제1항 과세체계 438
제2항 납세의무자 439
1. 수증자 / 439
2. 증여자 / 443
제3항 과세대상 444
1. 과세대상 증여재산 / 444
2. 세법상 증여의 개념 / 445
3. 증여의제와 증여추정 / 449
제4항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 455
1. 증여세과세가액 / 455
2. 과세표준 / 470
3. 세 액 / 471
제5항 조세채무의 성립․확정 472
제4절 재산의 평가 등 473
제1항 과세가액 불산입 473
제2항 재산의 평가 473
1. 평가의 기본원칙 / 473
2. 시 가 / 476
제10장 부가가치세법
제1절 부가가치세 483
제1항 일반소비세 483
1. 부가가치세 / 483
2. 기타의 일반소비세 / 484
제2항 기본 구조 485
1. 부가가치 / 485
2. 과세구조 / 487
3. 부과주체 / 490
제2절 납세의무자 491
제1항 납세의무자의 종류 491
제2항 사업자등록 493
제3절 과세대상 494
제1항 과세거래 495
1. 사업자가 행하는 재화의 공급 / 496
2. 사업자가 행하는 용역의 공급 / 507
3. 재화의 수입 / 513
4. 용역의 수입 / 513
제2항 영세율 515
1. 수출하는 재화 / 515
2. 국외제공용역 / 517
3. 기타 외화획득 재화 및 용역 / 518
4. 외국항행용역 / 520
제3항 면세거래(비과세거래) 521
1. 재화와 용역의 국내공급 / 521
2. 수입재화 / 525
3. 면세(비과세) 포기 / 525
제4절 거래징수의무 527
제1항 법률관계 527
1. 공급하는 자 / 527
2. 공급받는 자 / 528
3. 위탁매매․대리 / 529
제2항 거래징수세액 531
1. 과세표준 / 531
2. 거래징수세액의 계산 / 536
제3항 세금계산서의 교부 537
1. 수수질서 확립 / 537
2. 공급하는 자 / 538
3. 공급받는 자 / 539
4. 영수증발급 및 현금주의 과세 / 540
제5절 신고납부의무 541
제1항 납세의무의 성립․확정 541
1. 성 립 / 541
2. 확 정 / 541
제2항 납부세액의 계산 542
1. 의제매입세액공제 / 543
2. 매입세액불공제 / 545
3. 대손세액공제 / 549
4. 가산세 / 550
제6절 간이과세 551
제1항 간이과세의 개념․범위 551
제2항 거래징수․신고납부 553
1. 거래징수여부 / 553
2. 신고납부 / 554
❚ 찾아보기 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