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찰형법

경찰형법

문희태, 김동련 (지은이)
박영사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810원
26,1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7,000원 -10% 1350원 22,950원 >

책 이미지

경찰형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찰형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형법
· ISBN : 9791130347035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4-02-25

책 소개

형법총론과 형법각론을 통합하고 불필요한 판례인용과 학설 등 이론을 과감히 삭제하였고, 기본적인 형법체계의 뼈대 및 주요개념을 빠르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교재다. 쉽고 가볍게 서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최신 판례는 물론 최신 형법개정부분을 반영하였다.

목차

제1편 형법총론
제1장 서 론
제1절 형법의 기초  3
제1항 의 의 3
1. 형법의 의미 3
2. 형법의 성격 4
제2항 형법의 기능 5
1. 규제적 기능 5
2. 보호적 기능 5
3. 보장적 기능 5
4. 기능의 상호작용 6
제3항 형사사법의 원칙 6
1. 의 의 6
2. 인도주의적 원칙 6
3. 책임주의 원칙 6
4. 적정절차의 원리 7
제4항 형벌의 발전 7
1. 복수형벌화 7
2. 국가형벌화 7
3. 형벌법률화 8
4. 형벌개별화 8
제5항 형 법 전 8

제2절 죄형법정주의  9
1. 의 의 9
2. 연 혁 9
3. 사상적 기초와 현대적 의의 10
4. 죄형법정주의의 내용 11
5. 죄형법정주의 위반의 효과 17
제3절 형법의 적용범위(효력)  18
1. 시간적 적용범위 18
2. 장소적 적용범위 21
3. 인적 적용범위 23

제2장 범 죄 론
제1절 서 론  24
제1항 범죄론의 의의 24
제2항 범죄의 의의와 종류 24
1. 범죄의 의의 24
2. 범죄의 성립요건․처벌조건․소추조건 25
3. 범죄의 종류 26
제3항 행 위 론 28
1. 의 의 28
2. 행위론의 전개 28
제2절 구성요건론  31
제1항 서 론 31
1. 의 의 31
2. 이론의 발전 31
3. 구성요건의 유형 32
4. 구성요건의 요소 33
제2항 범죄주체와 범죄객체 33
1. 범죄주체 33
2. 범죄객체 및 보호객체(법익) 34
제3항 부작위범 35
1. 의 의 35
2. 부작위범의 구조 35
3. 부진정부작위범의 성립요건 36
4. 기 타 38
제4항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속 39
1. 의 의 39
2. 인과관계에 관한 학설 39
3. 객관적 귀속이론 41
4. 형법 제17조의 해석 42
제5항 고 의 42
1. 의 의 42
2. 체계적 지위 43
3. 내용(성립요건) 44
4. 종 류 45
제6항 사실의 착오 47
1. 의 의 47
2. 유 형 47
3. 효과(처벌) 48
4. 인과관계의 착오 51
제7항 과 실 범 52
1. 과실의 의의 52
2. 과실의 체계적 지위 53
3. 과실범의 성립요건 53
4. 과실범의 위법성과 책임 56
5. 관련문제 56
제8항 결과적 가중범 56
1. 의 의 56
2. 종 류 57
3. 구성요건해당성 57
4. 위법성과 책임 58
5. 관련문제 58
제3절 위법성론  60
제1항 위 법 성 60
1. 의 의 60
2. 위법성의 본질 60
3. 위법성의 평가방법 61
4. 위법성조각사유 62
제2항 정당방위 64
1. 의 의 64
2. 성립요건 64
3. 정당방위의 효과 67
4. 과잉방위와 오상방위 67
제3항 긴급피난 69
1. 의 의 69
2. 긴급피난의 성립요건 70
3. 긴급피난의 효과 72
4. 긴급피난의 특칙 72
5. 과잉피난과 오상피난 72
6. 의무의 충돌 73
제4항 자구행위 74
1. 의 의 74
2. 성립요건 75
3. 효 과 76
4. 과잉자구행위와 오상자구행위 76
제5항 피해자의 승낙 76
1. 의 의 76
2. 승낙과 양해 77
3. 정당화근거 78
4. 성립요건 78
5. 효 과 79
6. 추정적 승낙 79
제6항 정당행위 81
1. 의 의 81
2. 법령에 의한 행위 81
3. 업무로 인한 행위 83
4. 기타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83
제4절 책임성론  87
제1항 서 론 87
1. 책임과 책임원칙 87
2. 책임의 요소 87
제2항 책임능력 88
1. 의 의 88
2. 책임무능력자 88
3. 한정책임능력자 89
4.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 89
제3항 위법성의 인식 91
1. 의 의 91
2. 법률의 착오 91
제4항 기대가능성 92
1. 의 의 92
2. 판단기준 92
3. 기대불가능성으로 인한 책임조각사유 92
제5절 미 수 론  94
제1항 서 론 94
제2항 미 수 범 95
1. 의 의 95
2. 성립요건 96
3. 처 벌 98
4. 관련문제 98
제3항 중지범(중지미수) 99
1. 의 의 99
2. 법적 성격 99
3. 성립요건 99
4. 관련문제 101
제4항 불능미수 101
1. 의 의 101
2. 성립요건 102
3. 처 벌 103
제6절 공 범 론  105
제1항 서 론 105
1. 공범의 의의 105
2. 정범과 공범의 구별 105
3. 공범의 종속성과 종속성의 정도 106
제2항 공동정범 108
1. 의 의 108
2. 성립요건 108
3. 공동정범의 처벌 110
제3항 교 사 범 111
1. 의 의 111
2. 성립요건 111
3. 교사의 착오 112
4. 교사범의 처벌 114
5. 관련문제 114
제4항 종 범 115
1. 의 의 115
2. 종범의 성립요건 115
3. 종범의 처벌 116
4. 관련문제 117
제5항 간접정범 117
1. 의 의 117
2. 성립요건 118
3. 간접정범의 처벌 119
4. 관련문제 120
5. 특수교사․특수방조죄 120
제6항 공범과 신분 121
1. 의 의 121
2. 신분의 의의와 종류 121
3. 형법 제33조의 해석 122
제7절 죄 수 론  125
제1항 일반이론 125
1. 의 의 125
2. 죄수결정의 기준 125
3. 수죄처벌의 기본원칙 125
제2항 일 죄 126
제3항 수 죄 127
1. 상상적 경합 127
2. 경 합 범 128

제3장 형 벌 론
제1절 형사제재  130
1. 의 의 130
2. 형벌의 종류 130
제2절 형의 양정  133
1. 의 의 133
2. 양형의 단계 133
3. 형의 가중․감경 133
4. 양형의 조건 134
제3절 누 범  135
1. 의 의 135
2. 누범가중의 요건 135
3. 누범의 처벌 136
제4절 선고유예․집행유예․가석방  137
1. 선고유예 137
2. 집행유예 137
3. 가 석 방 138
제5절 형의 시효와 소멸  140
1. 형의 시효 140
2. 형의 소멸 및 실효․복권 140
제6절 보안처분  142
제1항 서 론 142
1. 의 의 142
2. 보안처분의 원칙 142
제2항 형벌과 보안처분 142
1. 이원주의 142
2. 일원주의 142
3. 대체주의 142
제3항 현행법상의 보안처분 143
1. 치료감호법상의 보안처분 143
2. 보호관찰 143
3. 기타의 보안처분 143

제2편 형법각론
제1장 서 론
제1절 형법각론의 의의  147
제2절 형법각론의 체계  149
1. 보호법익 149
2. 범죄의 분류 149
3. 형법각론의 체계 149
제3절 형법각론의 학습  151
1. 구성요건의 해석 151
2. 범죄의 기본개념 151

제2장 국가적 법익에 대한 죄
제1절 국가의 존립과 권위에 관한 죄  154
제1항 내란의 죄 154
1. 의 의 154
2. 내 란 죄 154
3. 내란목적살인죄 155
4. 내란예비․음모․선동․선전죄 155
제2항 외환의 죄 156
1. 의 의 156
2. 외환유치죄 156
3. 여 적 죄 156
4. 이 적 죄 157
5. 간 첩 죄 157
6. 전시군수계약불이행죄 159
제3항 국기에 관한 죄 159
1. 의 의 159
2. 국기․국장모독죄 159
3. 국기․국장비방죄 159
제4항 국교에 관한 죄 160
1. 의 의 160
2. 외국원수에 대한 폭행 등의 죄 160
3. 외국사절에 대한 폭행 등의 죄 160
4. 외국국기․국장모독죄 160
5. 외국에 대한 사전죄 160
6. 중립명령위반죄 161
7. 외교상의 기밀누설죄 161
제2절 국가의 기능에 관한 죄  162
제1항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 162
1. 의 의 162
2. 직무유기죄 162
3. 직권남용죄 163
4. 불법체포․감금죄 164
5. 폭행․가혹행위죄 165
6. 피의사실공표죄 166
7. 공무상 비밀의 누설죄 166
8. 선거방해죄 167
9. 뇌물의 죄 167
10. 공무원의 직무상 범죄에 관한 형의 가중 175
제2항 공무방해에 관한 죄 175
1. 의 의 175
2. 공무집행방해죄 175
3. 직무․사직강요죄 178
4.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178
5. 법정․국회의장모욕죄 179
6. 인권옹호직무방해죄 180
7. 공무상 비밀표시무효죄 180
8. 기타 범죄 180
제3항 도주와 범인은닉의 죄 182
1. 의 의 182
2. 도주의 죄 182
3. 도주원조의 죄 183
4. 범인은닉죄 183
제4항 위증과 증거인멸의 죄 185
1. 위증의 죄 185
2. 증거인멸의 죄 187
제5항 무 고 죄 189
1. 의 의 189
2. 구성요건 189
3. 자백․자수에 대한 특례 191
제3장 사회적 법익에 대한 죄
제1절 공공의 안전과 평온에 관한 죄  192
제1항 공안을 해하는 죄 192
1. 의 의 192
2. 범죄단체조직죄 192
3. 소 요 죄 193
4. 다중불해산죄 194
5. 전시공수계약불이행죄 195
6. 공무원자격사칭죄 195
제2항 폭발물에 관한 죄 196
1. 의 의 196
2. 폭발물사용죄 196
3. 폭발물사용 예비․음모․선동죄 196
4. 전시폭발물 제조․수입․수출․수수․소지죄 197
제3항 방화와 실화의 죄 197
1. 의 의 197
2. 현주건조물 등에의 방화죄 198
3. 공용건조물 등에의 방화 199
4. 일반건조물 등에의 방화죄 199
5. 일반물건에의 방화죄 199
6. 기타 범죄 200
7. 미수범 처벌등 기타 규정 201
제4항 일수와 수리에 관한 죄 201
1. 의 의 201
2. 현주건조물 등에의 일수죄 201
3. 공용건조물 등에의 일수죄 202
4. 일반건조물 등에의 일수죄 202
5. 방수방해죄 202
6. 과실일수죄, 수리방해죄 202
7. 미수범 등 기타 규정 203
제5항 교통방해의 죄 203
1. 의 의 203
2. 일반교통방해죄 203
3. 기차․선박 등 교통방해죄 204
4. 기차 등 전복죄 204
5. 교통방해치사상죄 204
6. 과실에 의한 교통방해죄 205
7. 미수와 예비․음모 205
제2절 공공의 신용에 관한 죄  206
제1항 통화에 관한 죄 206
1. 의 의 206
2. 통화위조죄와 위조통화행사죄 206
3. 수정적 구성요건 208
제2항 유가증권과 우표․인지에 관한 죄 209
1. 의 의 209
2. 유가증권위조죄 210
3. 허위유가증권작성죄 212
4. 위조 등 유가증권행사․수입․수출죄 212
5. 우표․인지에 관한 죄 212
6. 예비․음모죄 213
제3항 문서에 관한 죄 213
1. 의 의 213
2. 사문서의 위조․변조죄 217
3. 자격모용에 의한 사문서작성죄 218
4. 사전자기록 위작․변작죄 219
5. 공문서 등의 위조․변조죄 219
6. 자격모용에 의한 공문서 등의 작성죄 219
7. 공전자기록 위작․변작죄 220
8. 허위진단서 등의 작성죄 220
9. 허위공문서 등의 작성죄 221
10. 공정증서원본 등의 부실기재죄 222
11. 기타 관련 범죄 224
제3절 공중의 건강에 관한 죄  225
제1항 먹는 물에 관한 죄 225
1. 의 의 225
2. 개별범죄 고찰 225
제2항 아편에 관한 죄 227
1. 의 의 227
2. 개별범죄 고찰 227
제4절 사회의 도덕에 관한 죄  229
제1항 성풍속에 관한 죄 229
1. 의 의 229
2. 개별범죄 고찰 229
제2항 도박과 복표에 관한 죄 231
1. 도 박 죄 231
2. 상습도박죄 232
3. 도박개장죄 233
4. 복표발매․중개․취득죄 233
제3항 신앙에 관한 죄 234
1. 의 의 234
2. 장례식․제사․예배․설교방해죄 234
3. 시체 등의 오욕죄 234
4. 분묘발굴죄 234
5. 시체 등의 유기 등 죄 234
6. 변사체검시방해죄 235

제4장 개인적 법익(인격)에 대한 죄
제1절 생명․신체에 관한 죄  236
제1항 살인의 죄 236
1. 의 의 236
2. 살 인 죄 236
3. 존속살해죄 239
4. 영아살해죄 241
5. 촉탁․승낙에 의한 살인죄 242
6. 자살교사․방조죄 243
7. 위계․위력에 의한 살인죄 244
8. 살인예비․음모죄 등 245
제2항 상해와 폭행의 죄 245
1. 의 의 245
2. 상해의 죄 246
3. 폭행죄․존속폭행죄 249
4. 특수폭행죄 251
5. 폭행치사․상죄 252
6. 상습 상해․폭행죄 252
7. 자격정지의 병과 253
제3항 과실치사상의 죄 253
1. 의 의 253
2. 과실치상죄 253
3. 과실치사죄 254
4. 업무상 과실․중과실치사․상죄 254
제4항 낙태의 죄 257
제5항 유기와 학대의 죄 257
1. 의 의 257
2. 유 기 죄 258
3. 존속유기죄 260
4. 중유기죄․존속중유기죄 260
5. 학대죄․존속학대죄 260
6. 아동혹사죄 261
7. 유기 등 치사상죄 261
제2절 자유에 관한 죄  262
제1항 협박과 강요의 죄 262
1. 의 의 262
2. 협 박 죄 262
3. 기타 범죄 264
4. 강 요 죄 264
5. 가중적 구성요건 및 미수범․감경규정 265
제2항 체포와 감금의 죄 266
1. 의 의 266
2. 체포․감금죄 266
3. 존속체포․감금죄 268
4. 중체포․감금죄, 존속중체포․감금죄 268
5. 특수체포․감금죄 268
6. 기타 범죄 269
제3항 약취와 유인의 죄 269
1. 의 의 269
2. 미성년자약취․유인죄 269
3. 추행․간음․결혼․영리목적 약취․유인죄 271
4. 노동력 착취, 성매매와 성적 착취, 장기적출목적 약취․유인죄 271
5. 국외이송목적 약취․유인죄 271
6. 인신매매죄 271
7. 추행․간음․결혼․영리목적 인신매매죄, 노동력 착취, 성매매와 성적 착취․장기적출목적 인신매매죄, 국외이송목적 인신매매죄, 피인신매매자 국외이송죄 272
8. 약취․유인․매매․이송 등 상해․치상죄, 동 살인․치사죄 272
9. 약취․유인․매매․이송된 사람의 수수․은닉 등 죄 273
10. 예비․음모죄, 형의 감경, 세계주의 273
제4항 강간과 추행의 죄 274
1. 의 의 274
2. 강 간 죄 274
3. 유사강간죄 275
4. 강제추행죄 276
5. 준강간․준강제추행죄 276
6. 13세 미만자 의제강간․유사강간․강제추행죄 277
7. 강간 등 상해․치상죄, 강간 등 살인․치사죄 277
8. 미성년자․심신미약자 간음․추행죄 278
9.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간음죄 및 피구금자간음죄 278
10. 상습강간․강제추행죄, 상습준강간․준강제추행죄 279
제3절 명예와 신용․업무․경매에 관한 죄  280
제1항 명예에 관한 죄 280
1. 의 의 280
2. 명예훼손죄 280
3. 사자명예훼손죄 284
4. 출판물 등에 의한 명예훼손죄 284
5. 모 욕 죄 284
제2항 신용․업무와 경매에 관한 죄 285
1. 의 의 285
2. 신용훼손죄 285
3. 업무방해죄 286
4. 컴퓨터이용 특수업무방해죄 286
5. 경매․입찰방해죄 287
제4절 사생활의 평온에 관한 죄  288
제1항 비밀침해의 죄 288
1. 의 의 288
2. 비밀침해죄 288
3. 업무상 비밀누설죄 289
제2항 주거침입의 죄 289
1. 의 의 289
2. 주거침입죄 290
3. 퇴거불응죄 291
4. 특수주거침입죄 292
5. 신체․주거수색죄 292

제5장 개인적 법익(재산)에 대한 죄
제1절 재산죄의 기초개념  293
제1항 재산죄의 분류 293
1. 재물죄와 이익죄 293
2. 영득죄와 손괴죄 293
3. 탈취죄와 편취죄 293
제2항 형법상 재물 294
1. 유체성설과 관리가능성설 294
2. 재산적 가치의 유무 294
3. 부동산의 객체성 294
4. 금 제 품 295
5. 인체일부와 사체 296
제3항 재산상의 이익 296
1. 의 의 297
2. 불법영득(이득)의사의 필요성 297
3. 불법영득의사의 내용 298
4. 소위 ‘사용절도’ 문제 298
제4항 친족상도예 299
제5항 불가벌적 사후행위 301
1. 의 의 301
2. 판 례 301
제2절 절도의 죄  302
제1항 의 의 302
제2항 절 도 죄 303
1. 객 체 303
2. 행 위 305
3. 주관적 구성요건요소 306
제3항 기타 유형의 절도죄 306
1. 야간주거침입절도죄 306
2. 특수절도죄 307
3. 자동차 등 불법사용죄 308
4. 상 습 범 309
제3절 강도의 죄  310
제1항 의 의 310
제2항 강 도 죄 310
제3항 가중적 구성요건 312
제4항 준강도죄 및 인질강도죄 315
1. 준강도죄 315
2. 인질강도죄 317
제5항 강도예비․음모죄 317
제4절 사기의 죄  318
제1항 의 의 318
제2항 사 기 죄 319
1. 객관적 구성요건 319
2. 주관적 구성요건 324
3. 관련문제 324
제3항 기타 수정된 사기죄 325
1. 컴퓨터 등 사용사기죄 325
2. 준사기죄 327
3. 편의시설부정이용죄 328
4. 부당이득죄 328
5. 상습사기(준사기, 부당이득)죄 329
제5절 공갈의 죄  331
제1항 의 의 331
제2항 공 갈 죄 331
제3항 특수공갈죄 334
제4항 상습공갈죄 334
제6절 횡령의 죄  335
제1항 의 의 335
제2항 횡 령 죄 335
제3항 업무상 횡령죄 338
제4항 점유이탈물횡령죄 339
제7절 배임의 죄  340
제1항 의 의 340
제2항 배 임 죄 341
제3항 업무상 배임죄 346
제4항 배임수증재죄 346
1. 배임수재죄 346
2. 배임증재죄 347
제5항 미수범 처벌 등 347
제8절 장물의 죄  348
제1항 의 의 348
제2항 장물취득․양도․운반․보관․알선죄 350
제3항 상습 장물취득․양도․운반․보관․알선죄 351
제4항 업무상 과실․중과실 장물취득․양도․운반․보관․알선죄 351
제5항 친족 간의 범행 352
제9절 손괴의 죄  353
제1항 의 의 353
제2항 재물․문서손괴죄 353
제3항 공익건조물파괴죄 356
제4항 가중적 구성요건 356
1. 중손괴죄․손괴치사상죄 356
2. 특수손괴죄 357
제5항 경계침범죄 357
제10절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죄  359
제1항 의 의 359
제2항 권리행사방해죄 360
제3항 점유강취죄․준점유강취죄 361
1. 점유강취죄 361
2. 준점유강취죄 361
제4항 중권리행사방해죄 362
제5항 강제집행면탈죄 362

판례색인 365
사항색인 374
참고문헌

김일수/서보학, 형법총론(제11판), 박영사, 2006 (김일수/서보학)
김일수/서보학, 형법각론(제8판), 박영사, 2015 (김일수/서보학)
박상기, 형법총론(제7판), 박영사, 2007 (박상기)
박상기, 형법각론(제7판), 박영사, 2008 (박상기)
박현준, 경찰입문형법, 한국학술정보, 2013 (박현준)
배종대, 형법총론(제9개정판), 홍문사, 2008 (배종대)
배종대, 형법각론(제7전정판), 홍문사, 2010 (배종대)
신동운, 형법총론(제3판), 법문사, 2008 (신동운)
신호진, 신형법요론(총․각론), 문형사, 2011 (신호진)
오영근, 신형법입문, 박영사, 2013 (오영근)
이영란, 형법학(각론강의), 형설출판사, 2014 (이영란)
이재상/장영민/강동범, 형법총론(제9판), 박영사, 2017 (이재상/장영민/강동범)
이재상/장영민/강동범, 형법각론(제10판 보정판), 박영사, 2017 (이재상/장영민/강동범)
임 웅, 형법총론(개정판 보정), 법문사, 2005 (임웅)
임 웅, 형법각론(개정판 보정), 법문사, 2005 (임웅)
정성근/박광민, 형법총론(제4판), 삼지원, 2008 (정성근/박광민)
정성근/박광민, 형법각론(제3판), 삼지원, 2008 (정성근/박광민)
정영일, 형법총론(개정판), 박영사, 2007 (정영일)
정영일, 형법각론(개정판), 박영사, 2008 (정영일)

저자소개

김동련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박사 • 신안산대학교 입학학생처 부처장 • 사단법인 한국토지공법학회 이사 • 법제처 국민법제관 • 서울 디지털대학교 초빙교수 • 명지전문대학교 겸임교수 • 건국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선문대학교 등 출강 • 경찰청 경찰채용 출제위원 • 서울특별시 공무원 출제위원
펼치기
문희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 졸업 동 대학원 법학과 석사학위 취득 동 대학원 법학과 박사학위 취득 Osaka University 대학원 법학연구과 연구생 수료 Osaka University 대학원 법학연구과 박사 취득 한국형사법학회, 한국비교형사법학회, 한국법학회, 한국소년정책학회 이사 중앙경찰학교 외래교수 역임 경찰공무원시험 출제위원 전 유원대학교 경찰소방행정학부 교수 현 중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84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