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어여설

논어여설

최술 (지은이), 박준원 (옮긴이)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9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논어여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어여설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사상 > 유가사상
· ISBN : 9791130411354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13-09-13

책 소개

우리 몸속을 구성하는 100조에 이르는 세포의 상당 부분이 가스를 만들거나, 그 가스에 반응해 무엇인가 일을 한다. 세포들끼리 신호를 전달할 때 긴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고, 혈관을 확장하는 기능을 맡기도 한다.

목차

나의 논어 연구 경력 ················3


후유들의 격물궁리의 설이 성인이 말씀하신 배움의 좋은 점보다 못함을 논증하다 ·········7
1. 배움은 듣고, 보고, 경험한 것에 달려 있다 ····7

≪논어≫의 내용을 논증하다 ············12
1. <학이> 편의 대의 ·············12
2. 성인은 평범하고 실제적인 것에 힘쓸 것을 가르쳤다 ················17
3. 중궁이 정치에 대해 물은 것 ··········21
4. 자공이 정치에 대해 물은 것 ··········26

≪논어집주≫의 오류를 논증하다 ··········30
1. 맹의자가 효에 대해 물은 것 ··········30
2. 침의 ····················34
3. 관중의 죽음에 대해 책망하지 않은 것 ······35
4. ‘삼간다’는 것은 말을 삼간다는 것이다 ·····39

≪논어≫의 분장과 분구를 논증하다 ········43
1. 분장 ····················43
2. 분구 ····················47

강장가들의 통속적인 ≪논어≫ 해석의 오류를 논증하다 ·················54
1. 강장의 오류 ·················54
2. 염자가 자화에게 곡식을 준 것 ·········55
3. 원사가 곡식 9백을 사양한 것 ·········58
4. 정나라 소리는 음란하다는 것 ·········63
5. 효자로다, 민자건이여 ············65

후유들이 함부로 주자의 오류라고 비판한 것을 논증하다 ·················71
1. 후유들의 잘못된 주자 비판에 대한 논증 ·····71
2. ‘배운다’는 것은 본받는다는 말이다 ·······73
3. 하늘이 바로 이(理)다 ·············75
4. 사람이 다쳤는가 물으시고,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76

≪논어≫ 전후 10편의 문체가 다름을 논증하다 ····79
1. 공자가 임금과 대부의 질문에 답한 것 ······79
2. 임금과 대부가 공자에게 질문한 것 ·······83
3. 문인들이 공자에게 질문한 것 ·········85
4. 공자에 대한 호칭 ··············89

≪맹자≫의 오류에 대해 덧붙여 논증하다 ······94
1. 해석의 오류 ·················94
2. 구두의 오류 ·················98

≪논어≫의 편장을 논증하다 ···········102
1. 사실로 믿을 수 없는 여섯 장과 두 절 ·····103
2. 사실인지 의심이 가는 여섯 장 ········110
3. 글의 내용은 의심할 수 없지만, 문체가 같지 않은 아홉 장 ·············118
4. 문체가 매우 의심스러운 두 장 ········125
5. 문인들이 공자 앞에서 ‘부자’라고 불렀지만, 사실인지 의심스러운 두 장 ······128
6. 내용과 문체 모두 의심할 것이 없는 스무 장 ··133
7. 조금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으나, 본의를 잃지 않은 두 장 ··············145
8. 사실대로 믿을 만한 넉 장과 일곱 절 ······148
9. 의심할 만한 일은 없으나 편말과 편중의 문장이 같지 않고, 간혹 빠진 것이 있는 다섯 장 ·155


해설 ······················161
지은이에 대해 ··················185
옮긴이에 대해 ··················188

저자소개

최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무승(武承), 호는 동벽(東壁)이다. 건륭(建隆) 5년(1740) 7월 29일 하북성(河北省) 대명부(大名府) 위현(魏縣)에서 태어나, 1816년 2월 6일 7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평생 고증학에 전념해 34종 88권의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저술 중 핵심은 《고신록(考信錄)》인데, 이것은 중국의 선진사(先秦史) 전반을 철저히 고증한 역작으로 총 12종 36권이다. 이들은 전록(前錄)에 《고신록제요(考信錄提要)》 2권, 《보상고고신록(補上古考信錄)》 2권, 정록(正錄)에 《당우고신록(唐虞考信錄)》 4권, 《삼대고신록(三代考信錄)》 12권, 《수사고신록(洙泗考信錄)》 4권, 후록(後錄)에 《풍호고신별록(?鎬考信別錄)》 3권, 《수사고신여록(洙泗考信餘錄)》 3권, 《맹자사실록(孟子事實錄)》 2권, 《고고속설(考古續說)》 2권, 《고신부록(考信附錄)》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지고 대표적인 저작은 공자와 제자들의 행적을 고증한 《수사고신록》·《수사고신여록》과, 맹자의 행적을 고증한 《맹자사실록》이다.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소문난 최술은 14세에 대명부 동자시(童子試)에서 장원을 했고, 20세 때에는 순천부(順天府) 향시에서 부방(副榜)을 해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두 차례 과거에서 낙방하자, 최술은 30세 무렵부터 철저한 고증학을 무기로 위서(僞書)의 견강부회를 바로잡고 이단(異端)의 망언들을 도려낼 ‘고신록’ 제서(諸書)를 집필할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후 그는 고증에 필요한 자료를 모으고, 열정적으로 저술에 전념해 많은 저작들을 저술해 나갔다. 52세 때에 최술은 자신의 저술을 세상에 전해 줄 애제자 진이화(陳履和, 1761∼1825)를 운명적으로 만나게 되었다. 최술의 어릴 적 스승이었던 주영(朱煐)의 제자였던 진이화는 최술의 저작을 열람하고 감동해 제자가 되기를 간청했다. 이후 그는 자신의 가산을 모두 쏟아부어 최술의 저서를 판각하는 데 평생을 바치게 된다. 56세에 최술은 복건성(福建省) 나원현(羅源縣)의 지현(知縣)에 제수되어 처음으로 관직에 나아갔고, 4년 후에는 상항현(上杭縣)으로 옮겨 백성들에게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그러나 정사에 바쁜 와중에도 그는 결코 저술 작업을 소홀히 하지 않았다. 드디어 75세 때인 1815년 최술은 자신의 전집 34종 88권을 완성해 총목록을 정리했다. 그리고 모든 책들을 진이화에게 전해 줄 것을 부탁하고, 이듬해인 1816년 세상을 마쳤다. 최술의 사후에 그의 저서는 부탁한 대로 제자인 진이화에 의해 판각되어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최술의 저술은 그의 사후 100년 가까이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다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학계의 비상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일본의 나카 미치요(那珂通世)가 1902년 《사학잡지(史學雜誌)》에 〈고신록 해제(考信錄解題)〉를 발표하면서 이 책의 학술적 가치가 논의되기 시작했으며, 1932년 중국의 《사학연보(史學年報)》에 이 글이 번역, 소개되면서 중국 학계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최술의 《고신록》은 당시에 유행하던 이른바 ‘신사학(新史學)’의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저술로 량치차오(梁啓超)·후스(胡適)·첸쉬안퉁(錢玄同)·구제강(顧?剛) 등의 극찬을 받았다.
펼치기
박준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담정총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9년 이후로 현재까지 경성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조선 후기 문인인 담정 김려와 주변 작가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2003년 이후에는 최술의 고증학에 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최술에 관한 연구 논문으로는 〈최술의 수사고신록 연구〉(2004년, 중국학), 〈최술의 수사고신록과 수사고신여록에 나타난 주자학의 수용 양상〉(2006년, 한문교육연구), 〈다산의 경학 저술에 수용된 최술의 고증학〉(2007년, 한문교육연구), 〈수사고신록의 사기 비판〉(2009년, 한문교육연구) 등이 있다. 주요 역서로는 《우해이어보》(2004년, 도서출판 다운샘), 《국역 수파집》(공역, 2007년, 신지서원), 《수사고신록》(공역, 2009년, 한길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근세의 경전을 해석하는 자들은 꼭 성인의 말에 따로 한 가지 가설을 만들어서, 억지로 성인의 뜻이 이렇다고 주장한다. 성인이 직접 하신 말을 믿지 못하겠다고 한다면 경전을 모독하고 성인을 배반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논어≫ 후반부 다섯 편 가운데 <자장>만이 공자 문하(門下) 제자들의 말을 기록했다는 것은 의심할 바가 없다. <계씨>, <양화>, <미자>, <요왈> 네 편 가운데는 의심스러운 곳이 매우 많다. 그리고 앞의 열다섯 편 끝 부분에도 간혹 한두 장 정도는 서로 다른 부분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