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91130421087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5-06-05
목차
머리말
1부 독일제국 시기 직업교육 형성의 역사 (19세기 초∼1918)
01 독일 직업교육과 장인시험제도의 형성 과정 9
02 프로이센의 실업 · 직업교육제도의 형성 37
03 작센의 실업 · 직업교육제도의 형성 65
04 뷔르템베르크의 실업 · 직업교육제도의 형성 93
2부 독일제국 직업교육제도 형성에 영향을 끼친 요인들
05 세계박람회와 독일의 산업화 과정 및 실업 · 직업교육제도 126
06 독일 기업의 인력 양성 교육 150
07 독일제국 시기의 여성실업교육 175
3부 근현대 직업교육의 변화와 발전 (1919∼1990)
08 바이마르공화국 · 나치 시기 · 서독 시기의 직업교육제도 207
4부 현재 독일의 직업교육 (1991년 이후)
09 와인양조자 양성교육: 국립바인스베르크와인학교 229
10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직업교육정책과 독일의 직업교육 251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독일 제조업 경쟁력의 원천은 장인 정신에 기원을 두고 있다. 장인 정신은 도제부터 장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기능인 계층에 깃들여 있는 정신적 자세를 뜻한다. 도제는 장인 밑에서 수련을 쌓으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는데, 독일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도제 직종만도 467가지나 된다. 장인들은 수공업적 전통 속에서 자란 숙련 노동자들로 독일 노동계층의 상층부를 차지하며 도제를 거느리고 직공장 또는 십장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은 그룹별로 노동의 도제화를 이루어 집단 규율을 갖추고 장인 중심의 생산 체제를 유지한다. 그래서 독일 기업에서 경영인이 유통 담당자라면 ‘마이스터(Meister)’로 불리는 장인은 생산 책임자라 할 수 있다.
_<01 독일 직업교육과 장인시험제도의 형성 과정> 중에서
이처럼 전통 신분 계급적 수공업 교육 형태를 가진 실업학교제도의 생성 배경은 독일제국의 ‘중산층 정책(Mittelstandspolitik)’에서 그 연원를 찾을 수 있다. 자본주의적 경쟁에서 구(舊) 중산층에 속하는 나머지 수공업 관련자와 소상인·소농인이 프롤레타리아로 전락하는 것을 막는 것이 관건이었으므로 교육정책을 통해 당대 적대 세력이었던 ‘사회주의에 대항한 요새’를 강화하고자 한 것이다. 이로써 독일 실업학교제도는 당대의 보수주의 정치가와 사회주의자 간의 충돌에서 나온 정치적 부산물일 수 있다는 시각을 제시한다.
_<01 독일 직업교육과 장인시험제도의 형성 과정> 중에서
19세기 초 자유주의의 도입으로 영업자유권이 실시되었지만, 이러한 자유주의의 분위기 가운데 전통적인 수공업 및 실업교육제도가 붕괴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산업화 시기를 맞아 전통에서 근대로 거듭나 기술선진화를 위해 독자적인 교육 부분의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민간 차원의 주도로 학교 설립이 자유로이 진행되었고, 민간 차원의 움직임은 시대의 요구와 맞물려 실업학교 및 산업계 각 분야의 전문가 단체들을 형성시켰다. 또 이 전문가 단체들은 자신들이 종사하고 경험하는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였고, 협회 형성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며 교육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나갔다. 19세기 후반이 되면서 국가 또한 이러한 민간 차원의 활발한 활동에 참여하면서, 기술선진화를 위해 관심을 키워나간 것은 프로이센의 생동감 있는 산업화를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된다.
_<02 프로이센의 실업·직업교육제도의 형성> 중에서
아에게와 마찬가지로 전기·기계 회사인 지멘스에서도 학습작업장과 회사 자체 내의 작업학교가 설립되었다. 이에 관해 보면 1890년대 지멘스-할스케(Siemens & Halske)는 기업 자체의 숙련공 양성에 투자했는데 1891년 베를린에 시범적으로 학습작업장을 설치해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노동력 외에 10명의 도제를 양성했다. 이처럼 실제에 기반을 두고 수업했던 경험은 그 후 몇 년 뒤 지멘스 자사 고유의 전문 이론적 훈련으로 발전되었고, 드디어 1906년 11월 1일에는 77명의 학생을 데리고 지멘스-할스케작업학교(Werkschule von Siemens & Halske)를 설립했다. 약 2년 후에 정밀기계공 양성을 위한 실제 훈련이 중앙도제작업소에서 실시되었다. 이 기업 고유의 학교는 오늘날까지 존재하며, 독일의 가장 오래된 직업학교 가운데 하나에 속한다.
_<06 독일 기업의 인력 양성 교육> 중에서
유럽연합 형성 이전에 유럽공동체가 이끌었던 성공적인 공동 교육정책 프로그램은 에라스무스(Erasmus, European Studies For The Mobility of University Students)였다. 이 프로그램은 유럽 대학들의 상호 협력을 목표로 1976년 입안되었으나 1986년 7월 1일 처음 실시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유럽공동체 내 대학생들의 교류를 활성화하겠다는 것으로 1987년 7월부터 1990년 6월까지 3년간 실행되었다. 이 후 1993년 11월 유럽연합이 탄생하면서 마스트리흐트조약의 126조와 127조를 기초로 해 1995년 처음 시행된 프로그램이 두 개의 프로그램인 소크라테스(Socrates)와 레오나르도다빈치(Leonardo Da Vinci)프로그램이다. 이전의 에라스무스는 소크라테스 사업에 통합되었으며 소크라테스는 1단계로 1995∼1999년, 2단계로 2001∼2006년까지 시행되었다.
_<10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직업교육정책과 독일의 직업교육>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