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30421094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4-09-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문화교육?예술교육의 이해
01 문화의 개념적 이해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02 예술 개념의 탄생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에 대한 다양한 정의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03 문화교육과 예술교육, 국내 담론의 흐름
문화교육의 개념적 이해
예술교육의 개념적 이해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2부 문화예술교육의 시선들
04 예술가의 시선으로 바라본 예술교육
예술교육의 범주
전통적 미학 담론에 기반을 둔 예술교육론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05 교사의 시선으로 바라본 예술교육
전통적 교육의 이해
진보주의교육사상의 두 축
진보주의교육과 예술교육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06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본 예술교육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선
새로운 시선으로 본 예술교육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07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경향성
문화예술교육 담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또 다른 시선들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3부 문화예술교육의 영역
08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꿈꾸다
작은 학교, 지역문화예술교육과 만나다
교육, 예술과 통하다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09 사회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문화예술교육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
엘 시스테마의 확장 사례들
문화예술단체의 다양한 움직임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4부 문화예술교육 정책
10 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경향
미국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경향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경향
영국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경향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11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과 경향
국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전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이해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5부 문화예술교육의 현재
12 국내 문화예술교육 현황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13 현재 제기되는 몇 가지 쟁점
예술강사와 서발턴(subaltern)
예술교육가, 새로운 직업의 탄생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를 둘러싼 쟁점들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을 둘러싼 쟁점들
교사의 시선으로 바라본 학교문화예술교육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6부 문화예술교육 기획
14 문화예술교육단체로 살아가기
문화예술교육단체가 직면한 도전들
문화예술교육 기획이란 무엇인가?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15 문화예술교육 기획과 전문 인력
문화예술교육 기획 전문 인력
문화예술교육 기획의 실제
전략적 기획의 도구들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이론과 현장의 이야기를 씨줄과 날줄처럼 엮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론서다. 젊은 예술인들이 경험하게 될 여러 가지 ‘구조적 문제’, 또 이것을 이겨 낼 수 있는 ‘철학’, 문화예술교육 기획이 확장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 그리고 문화예술교육단체의 현실과 이에 대한 고민 등 그동안 교육 현장에서 보고 느낀 점을 담았다.
수업을 관찰하다 보면, 경험과 교육철학이 부족한 예술강사의 수업을 보는 것만큼 예술교육의 가치를 초라하게 만드는 일이 없다. 또 행정과 무관심의 벽에 가로막혀 문화예술교육의 생생함이 사라지는 것을 보는 것처럼 답답한 일도 없다. 그럼에도 문화예술교육은 아이들처럼 성장하고 변화한다. 이제 5000명에 육박하는 예술강사, 어려운 현실에서 최선을 다하는 문화예술교육단체, 문화예술교육 환경을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모든 이들의 존재가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더욱 강하고 빛나게 만들어 줄 것이다.
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경향 중 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영국, 미국, 프랑스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들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내용과 철학, 목표, 지향, 구조 등에 대한 다양한 사례와 견해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둘러싸고 있는 전반적 범주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우리는 다양한 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내용을 한국적으로 변용하거나 한국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에 대한 분석과 논의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