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6868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16-11-16
책 소개
목차
01 폭력의 의미
02 물리적 폭력
03 맥락적 폭력
04 언어적 폭력
05 미디어 폭력과 효과
06 폭력 학습효과
07 폭력 배양효과
08 폭력물 규제
09 프로그램 등급제
10 폭력 콘텐츠
저자소개
책속에서
가벼운 폭력도 폭력이며 특히 강자가 약자에게 행하는 폭력은 더 위험한 폭력이다. 꿀밤은 장난이나 유희가 아니고 엄연히 폭력이다. 왜냐하면 상대에게 힘을 행사해 고통을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꿀밤은 점점 그 정도가 심해져 상대에게 더 큰 고통을 주는 꿀밤을 개발하고 더 강한 힘이 가해졌다. 꿀밤 주고받기가 일상화되고 꿀밤을 맞아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재미로 삼는다면 시청자들은 이를 그대로 학습하여 아무런 의식 없이 그냥 재미로 다시 모방한다. 그 결과로 교실 안팎에서 유사한 폭력 사건들이 발생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미디어 폭력의 실제와 그 위험성” 중에서
폭력에 대해 보상이 주어지거나 처벌을 가하지 않을 경우, 이용자들에게 폭력을 정당하게 인식해 폭력이 학습되도록 조장될 수 있다. 폭력이 보상을 받거나 실제로 처벌받지 않아 정당화되거나 도덕적으로 방어될 수 있다고 묘사될 경우 이를 접한 이용자들은 폭력 행사에 대한 도덕적, 규범적 판단이 흐려져 폭력에 의한 문제 해결 방식이 효율적이라고 인식할 수 있어 결국 폭력성을 유발하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맥락적 폭력” 중에서
특히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미디어가 보여 주는 가현실과 사회적 현실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다. 미디어가 현실적인 사실에 치중한다 하더라도 극적 효과를 덧붙이는 등의 처리로 완전한 사실만을 표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 보니 완전한 현실은 어려우며 현실에 치중한다고 해도 현실적일 수밖에 없지만 시청자들은 현실(reality)과 현실적(realistic)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한다. 현실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실로 인지하는 것이다.
“폭력 배양효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