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반교육학

일반교육학 (천줄읽기)

요한 헤르바르트 (지은이), 김영래 (옮긴이)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400원 -5% 2,500원
360원
13,5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00원 -10% 480원 8,160원 >

책 이미지

일반교육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반교육학 (천줄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30473475
· 쪽수 : 182쪽
· 출판일 : 2016-02-15

책 소개

<일반교육학 (천줄읽기)> 개정판. 일반교육학에서는 교육의 전체 영역을 포괄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안목이 갖추어진 교육자에 의해 모든 종류의 교육 활동이 유기적인 상호 연관관계 속에서 이루어질 때 인간다움을 조화롭게 양성하는 수업, 즉 교육적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목차

해설 ix
지은이에 대해 xv

서론 1

1부. 교육의 목적 27
제1장. 아동의 관리 29
1. 아동 관리의 목적 30
2. 아동 관리의 주요 규칙들 32
제2장. 본래적 교육 42
1. 교육의 목적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42
2. 흥미의 다면성: 강한 도덕적 성격 46
3. 입사점으로서의 학생의 개별성 51
4. 이전에 구별되었던 목적들을 통일하는 욕구에 대하여 54
5. 개별성과 성격 56
6. 개별성과 다면성 58

2부. 흥미의 다면성 63
제1장. 다면성의 개념 65
1. 심화와 숙고 66
2. 명료연합체계방법 69
제2장. 흥미의 개념 72
1. 흥미와 욕구 73
2. 주의기대요구행위 74
제3장. 다면적 흥미의 대상 77
1. 인식과 공감 77
2. 인식과 공감의 구성 요소 78
제4장. 수업 83
1. 경험과 교제의 보완으로서 수업 83
2. 수업의 단계 92
3. 수업의 자료 94
제5장. 수업의 진행 과정 98
1. 순수하게 묘사하는-분석적인-종합적인 수업 98
2. 수업의 분석적인 과정 109
3. 수업의 종합적인 과정 118
제6장. 수업의 결과 128
1. 삶과 학술 128
2. 유년기 교육의 종료를 바라보며 133

3부. 강한 도덕적 성격 137
제1장. 성격이란 무엇인가? 139
1. 성격의 객관적 부분과 주관적 부분 139
2. 의지의 기억선택원칙싸움 142
제2장. 도덕성의 개념에 관하여 147
1. 판단열정결의자기강제 148
제3장. 성격 형성의 자연스러운 과정 152
1. 행위는 성격의 원칙이다 153
2. 성격에 대한 사고권의 영향 156
3. 성격에 대한 소질의 영향 158
4. 성격의 도덕적 특색과 특히 관계되는 영향력들160
제4장. 훈육 166
1. 훈육의 성격 형성에 대한 관계 168
2. 훈육의 지침 170

옮긴이에 대해 180

저자소개

요한 헤르바르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요한 프리드리히 헤르바르트는 1776년 5월 4일 올덴부르크에서 법률가이며 지방정부의 법률고문인 아버지 토마스 게르하르트 헤르바르트, 어머니 루치아 마르가레테 헤르바르트(출생명 쉬테) 사이에 태어났다. 1788년부터 올덴부르크의 라틴어학교(김나지움)를 다녔는데, 그는 특히 고전어와 수학, 자연과학에 열심이었다. 또한 당시 명성이 높던 칸트의 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1794년 예나에서 부모의 희망에 따라 법학 공부를 시작했지만 철학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당시 예나대학에 있던 피히테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얼마 안 가서 거리를 두게 되었다. 1797년 봄 스위스 베른의 주지사 슈타이거의 두 아들을 가르치기 위해 가정교사로 입주했으며, 이 시기에 스위스에서 민중교육의 실천으로 명성을 얻고 있던 페스탈로치를 만나고 그의 교육관과 교육 실천에 감명을 받았다. 1802년 괴팅겐으로 가서 같은 해에 박사학위와 교수 자격을 취득하고, 1805년부터 철학과 교육학 조교수로 활동했다. 1806년 ≪일반교육학≫과 ≪형이상학의 주안점들≫을 출판해 철학적.교육학적 전체 체계를 확립했다. 1808년 칸트의 후임으로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정교수로 취임하여 철학의 여러 분야에 대해 가르쳤고, 1810년에는 새로 개설된 교육학과를 이끌고 일종의 부속학교를 설립·운영했다. 1811년 영국에서 이주해 온 상인가문의 딸 메리 제인 드레이크(Mery Jane Drake)와 결혼했다. 이후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쳤는데, ≪철학입문 교본≫, ≪심리학 교본≫, ≪학문으로서의 심리학≫ 등이 이 시기의 대표작들이다. 1831년 사망한 헤겔의 후임으로 베를린대학으로 옮기고자 했으나 프로이센 정부가 다른 학자를 헤겔 후임으로 임명하자 실망한 헤르바르트는 쾨니히스베르크대학을 떠나서 괴팅겐대학으로 옮겼다. 헤르바르트가 1837년 철학부의 학장을 지낼 당시, 새로 등극한 하노버 왕이 요구한-반개혁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충성 서약을 거부한 7인의 교수들에 대해 거리를 둠으로써 교수단과 학생들의 냉대를 당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헤르바르트는 쓸쓸한 말년을 보내다가 1841년 8월 14일 65세의 나이에 심장마비로 사망하여 괴팅겐의 시립묘지에 안장되었다.
펼치기
김영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독어독문과 학사, 교육대학원 석사, 독일 마인츠대학교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교육철학 전공)하였다. 서울 한성고등학교 독일어교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한마음선원 부설 한마음과학원 회원, 조계종 포교원 인성교육인증개발위원회 위원(현)으로 활동하고 있다. 관심 분야는 독일관념론 철학, 불교철학, 인성교육, 지혜교육 등이며, 『칸트의 교육이론』(학지사 2003) 『인성교육의 담론』(학지사 2019) 저서 외 다수의 연구 실적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무엇이 교육자에게 중요한 것이어야 하는지가 그에게 지도처럼, 또는 잘 건설된 도시의 약도처럼-유사한 방향들이 서로 같은 모양으로 교차하며, 사전연습 없이도 방향을 척척 찾을 수 있는-주어져야 한다. 그러한 지도를 나는 여기에서-어떠한 경험들을 찾아내야 하고 준비해야 하는지를 알고자 하는-미경험자들을 위해 제시하련다.


모든 사람은 모든 분야에 대한 애호가여야 하며, 누구나 하나의 분야에서 전문가여야 한다. 각각의 전문성은 개인의 자발적인 선택에 달려 있지만, 반면에 개인의 다양한 추구를 실마리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수용성의 양성은 교육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73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