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3066500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3-19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적정 거리두기를 시작하며
프롤로그 우리는 왜 이렇게 괴로울까?
1장. [생각] 생각과 거리두기
법칙 1. ‘생각하는 나’는 착각이다
법칙 2. 생각은 자동적이다
법칙 3. 생각은 상징적 효과를 지닌다
법칙 4. 생각과 거리가 가까울 때 문제가 발생한다
법칙 5. 생각은 ‘꾸러미’로 떠오른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 생각 분리하기
법칙 6. 주의는 ‘나’의 의도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2: 주의력 되찾기
법칙 7. 생각은 하나의 심리적 사건이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3: 생각 알아차리기
법칙 8. 생각은 부정확하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4: 생각함정 다루기 - 근거 부족
법칙 9. 생각은 부정적으로 치우친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5: 생각함정 다루기 - 부정 편향
법칙 10. 생각은 ‘나’ 중심적이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6: 생각함정 다루기 - 책임 과다
2장. [감정] 기꺼이 경험하기
법칙 11. 회피할수록 강해진다
법칙 12. 고통은 불가피하지만 괴로움은 선택할 수 있다
법칙 13. 기꺼이 경험하면 괴롭지 않다
법칙 14. 반추에 빠지면 악순환이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7: 생각함정 다루기 - 반추
법칙 15. 본래 좋고 나쁜 것은 없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8: 생각함정 다루기 - 평가
법칙 16. 감각은 하나의 심리적 사건이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9: 감각 어휘 습득하기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0: 감각 알아차리기 - 신체의 비언어적 표현, 보디 스캔, 근육 이완, 그라운딩
법칙 17. 감정은 하나의 심리적 사건이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1: 감정 어휘 습득하기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2: 감정 알아차리기
법칙 18. 나의 이야기는 ‘나’가 아니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3: 생각함정 다루기 - 개념화
법칙 19. 믿음 또한 하나의 생각일 뿐이다
법칙 20. ‘나’는 착각이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4: ‘나’ 알아차리기
3장. [행동] 가치로 나아가기
법칙 21. 자유는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다
법칙 22. 경험회피는 악순환이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5: 악순환 분석하기
법칙 23. 초점을 맞출 곳은 생각이 아니라 가치다
법칙 24. 가치는 매순간 내가 선택한 삶의 방향이다
법칙 25. 회피와 버티기는 가치가 아니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6: 가치 명료화하기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7: 가치 확언하기
법칙 26. 가치는 선순환이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8: 선순환 분석하기
법칙 27. 행동은 생각이 아니라 ‘나’가 하는 것이다
법칙 28. 행동은 단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19: 단계적인 목표 수립하기
법칙 29. 가치는 노력이 아니라 전념하는 것이다
* 적정 거리두기 훈련 20: 단계적인 목표 수립하기
법칙 30. 삶은 매순간에 있다
닫는 글 생각과 거리두고 가치로 나아가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생각하는 사람은 어떤 모습인가”라는 질문에 많은 이가 조각가 로댕Auguste Rodin의 ‘생각하는 사람’을 떠올린다. 의자에 앉아 한곳을 응시하며 골똘히 생각하는 이의 모습은 인간이 의도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생각한다고 믿게 만든다. 하지만 이 믿음은 명백한 오류이다.
<생각은 자동적이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제대로 인식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지금까지 당신의 관심사는 생각의 내용이었다. 부정적인 생각이었다. 더 나은 생각이었다. 더 좋은 방향으로 생각하는 법이었다. 하지만 그것들은 큰 문제가 아니다. 더 큰 문제는 우리가 생각을 지나치게 밀착해서 바라보며 그것들을 제압하려고 고군분투한다는 점이다. 한 걸음 떨어져서 생각을 바라보면 전혀 다른 관점이 열린다. 생각을 ‘나’ 자신과 동일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생각과 거리가 가까울 때 문제가 발생한다>
텅 빈 마음은 우리의 목표가 아니다. 생각을 멈추려고 애쓰면 더 많이 생각하게 된다. 회피할수록 강해진다. 마음을 치유한다고 알려진 모든 방법은 고통을 제거하거나 통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저 생각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마음속 생각들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행복이나 평온, 이완은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없다. 오히려 매 순간을 그런 감정으로만 채우는 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더 깊고 본질적인 자유를 얻을 수 있다.
<회피할수록 강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