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91130803029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4-11-06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교과서와 문학교육
국어 교과서의 문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메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서론
국어교과서와 「메밀꽃 필 무렵」
결론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어문 교육의 한 양상
― 박태원을 중심으로
서론
일제강점기 아동문학과 조선어 교육에 대한 자의식
해방 직후 국어 교육과 작문교과서
결론
제2부 문학교육의 확장
문학교육과 문학치료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중심으로
서론
문학치료와 독자반응비평
용서와 치유의 서술 방식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결론
문학교육의 현장, 문학관과 문화 콘텐츠
서론
문학관의 현황과 기능
문학공간의 확장과 문화 콘텐츠의 서사 전략
결론
대학 글쓰기 교육의 실제
― 한국과 미국 대학을 중심으로
서론
University of Illinois 와 연세대학교 공대 글쓰기 운영 방식 비교
University of Illinois 와 연세대학교 공대 글쓰기 교재 비교
결론
제3부 현대소설의 지평
이효석의 기교와 서정성
서론
리얼리즘과 ‘시적 경지’의 소설론
서정적 상상력과 주관성의 지평
결론
고전 다시 쓰기의 의미
― 김유정·박태원의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서론
김유정과 박태원
「홍길동전」 다시 쓰기의 양상과 의미
결론
현대소설에 나타난 재만 조선인의 삶
― 강경애의 「소금」을 중심으로
서론
이주와 여성의 사회화
균열과 여성 서사
모성과 여성 서사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