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30803173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4-12-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한국 현대 서사시의 변용과 선택의 개관
제1부
이광수의 장시에 나타난 서사성
1. 서론
2. 이광수 시의 출발과 장르 인식
3. 민족의식의 구현과 서사양식의 특성
4. 결론
「옥중호걸」과 안중근 사건
1. 서론
2. 전집 수록 과정의 오기와 시 해석의 오류
3. 「옥중호걸」의 창작 배경
4. ‘투옥된 안중근’ ― 「옥중호걸」
5. ‘사형 당한 안중근’ ― 「곰」
6. 영웅서사시의 가능성
이광수의 장시 「극웅행」의 상호텍스트성
1. 서론
2. 서사무가와 단군신화의 상호텍스트성
3. 환몽서사와 환상여행의 낭만성
4. 판소리 사설의 패러디와 리듬의식
5. 결론
「국경의 밤」과 「지새는 밤」의 상호텍스트성
1. 서론
2. 김동환과 김억의 거리
3. 「국경의 밤」과 「지새는 밤」의 상호텍스트성
4. 결론
제2부
「오적」의 판소리 패러디 양식
1. 서론
2. 김지하의 민중문학론과 판소리 패러디
3. 판소리 패러디의 「오적」
4. 결론
「황룡사구층탑」의 연희성
1. 서론
2. 대화 서술과 무대 지문 서술
3. 다성적 화자와 판소리의 창자
4. 코러스의 가능성
5. 등장인물의 갈등 연출
6. 결론
「황룡사구층탑」의 불교설화 수용 방법
1. 서론
2. 이중적 서사구조
3. 「황룡사구층탑」에 수용된 설화
4. 결론
모윤숙 서사시의 담화구조와 낭만적 상상력
1. 서사시의 선택과 서사정신
2. 청자 지향의 담화구조와 다성적 화자의 입체성
3. 『황룡사구층탑』의 낭만적 상상력
4. 장르의 경계를 넘어
고정희 장시 「사람 돌아오는 난장판」의 창작 과정과 특성
1. 서론
2. 고정희 장시의 창작 과정
3. 「사람 돌아오는 난장판」 구성방식의 특성
4.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