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3834820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4-01-05
책 소개
목차
1. 시니어 트렌드 2024를 발간하며
1-1 트렌드 방향
1-2 3가지 관점
1-3 트렌드 키워드 지도
2. 라이프 스타일
2-1 2024 시니어 라이프 스타일 방향
어울림
영성
평생 현역
설외밸, 설렘과 외로움의 균형
금융 리터러시와 자기결정권
부동산 자산 리모델링
2-2 전문가 전망
3. 비즈니스 트렌드
3-1 2024 시니어 비즈니스 트렌드 방향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고령친화 금융 서비스업
고령친화 요양 서비스업
고령친화 의약품 제조업
고령친화 의료기기 제조업
고령친화 화장품 제조업
고령친화 급식 서비스업
고령친화 식품 제조업
고령친화 주거 서비스업
고령친화 여가 서비스업
3-2 전문가 전망
4. 글로벌 트렌드
4-1 2024 시니어 글로벌 트렌드 방향
환경 노년학
기술 노년학
금융 노년학
창의적인 노년기
4-2 전문가 전망
5. 맺음글
5-1 시니어 트렌드 2024 작업 회고
5-2 NEXT 시니어 트렌드 2025 제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러한 아직 경험한 적이 없는 세상, 즉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많고, 상속 분쟁이 이혼소송보다 많아진 세상에서는 트렌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현학적 표현으로 점철된 명백한 사실(Facts)의 나열보다는 더 나은 시니어 삶을 향한 ‘방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시니어 트렌드 2024’에서는 소음 거리가 되는 트렌드가 아니라, 대안을 찾아보고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건강, 현금흐름,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는 고령층의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세 가지 키워드이다. 먼저 나이가 들어가며 피하기 어려운 한 가지 분명한 변화는 노화다. 기대수명에서 전체 인구의 평균 질병 및 장애 기간을 제외한 수명인 ‘건강수명’은 2019년 기준 73.1세다. 대표적인 질병인 만성질환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약 90~95%는 1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약 90% 이상의 노인은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앓는다고는 하지만, 약 10%의 건강한 시니어는 그렇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