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38399692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5-10-15
책 소개
목차
1. 초고령사회, AI로 넥스트 에이징을 주도하라
1-1 한국 사회의 인구구조 변화
1-2 인공지능과 초고령화가 만나는 임계점
1-3 왜 지금 ‘준비’가 필요한가
2. 리셋 제너레이션 : 베이비붐 세대의 미래 전략
   “은퇴는 끝이 아닌 시작 : 베이비붐 세대의 ‘리셋 라이프’ 가이드”
2-1 글로벌 흐름과 세대 이해
     마지막 부양과 첫 번째 고독 :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역설
     은퇴를 거부하는 사람들 : 미국 베이비붐 세대와 새로운 패러다임
     은퇴 후에도 삶은 계속된다 : 일본 실버인재센터의 교훈
     100세 시대, ‘뉴 시니어’의 탄생
     트렌드 키워드
2-2 경제와 비즈니스의 전환
     퇴직 리스크 구간의 관리 전략 : 은퇴 레드존을 넘어서는 지혜
     베이비붐 세대의 현금흐름 전략과 다층소득 구조
     자산의 전략적 소비와 장수 리스크
     시니어 소비 트렌드 : 건강, 여가, 금융, 주택
     트렌드 키워드
2-3 삶의 전략과 정책 제안
     세대별 맞춤 정책 : 창업, 재취업, 돌봄 분화
     자산 현금화 전략
     후견, 신탁, 보험 청구권 : 법제도 활용의 미래
     빈방에 들어서다 : 은퇴 이후의 삶
     트렌드 키워드
3. Physical AI 시대 : 인간과 기계의 새로운 공존
   “AI, 시니어의 ‘든든한 동반자’가 되다!”
3-1 글로벌 인사이트
     기계와 친구가 되다 : AI와 노년의 만남
     돌봄 로봇과 케어테크 : 고령화 시대의 새로운 동반자
     고령친화적 UX 디자인과 ‘배리어프리 AI’
     AI와 인간, 공감의 경계에서
     트렌드 키워드
3-2 산업과 비즈니스
     AI 케어 혁명 : 스마트홈, 웨어러블, 돌봄 로봇이 바꾸는 시니어 라이프
     시니어 맞춤형 헬스 AI : 약물·식단 관리의 새로운 지평
     노인 일자리와 AI 자동화의 협력 모델
     시니어 교육을 위한 AI 튜터·디지털 메이트 등장
     트렌드 키워드
3-3 생활 속 전략과 실천
     시니어 디지털 전환 트레이닝 : 실전형 사례
     시니어와 AI의 조우 : 실용적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 전환
     고독을 나누는 기계 : AI 돌봄 서비스와 시니어의 변화하는 일상
     기계와 사람 사이에서
     트렌드 키워드
4. 지속 가능한 초고령사회 설계
   “속도보다 깊이, 베이비붐 세대와 AI가 함께 살아가는 사회란 무엇인가?”
4-1 글로벌 정책과 개념 확장
     자연과 공동체 속에서 늙어간다는 것
     지속 가능 경제 모델 : 기본소득, 복지 전환, 기후 정의
     다세대 공동체 주거와 커뮤니티 케어
     트렌드 키워드
4-2 비즈니스 전환과 대응 전략
     루틴 재설계 : 속도 조절과 심화한 삶
     고령친화산업과 ESG의 만남
     노인들이 만들어 가는 새로운 세상
     노인과 자본이 만나는 곳
     트렌드 키워드
4-3 개인 삶의 변화 전략
     영성·나눔·유산 설계의 여정
     외로움을 넘어 연결로 : 시니어의 사회적 발자국
     잃어버린 계절을 찾아서 : 시니어와 기후 위기
     트렌드 키워드
5. 부록
5-1 고령화+AI 시대, 당신의 ‘미래 리셋’을 위한 9단계 가이드
5-2 AI 시니어 페르소나 마케팅 시스템 가이드
6. 특별 기고
6-1 100세 시대, 나의 건강을 지키는 새로운 시각과 지혜로운 마음 갖기_기민아
6-2 피보나치의 시니어 투자 매뉴얼_이윤영
6-3 연령대별로 똑똑하게 준비하는 개인형 IRP 활용법_김형리
6-4 치매머니_홍종석
6-5 좋아하는 것으로 충전하며 사는 삶_이지연
6-6 낭만 시니어_김민지
6-7 시니어, 문화의 창조자로 살아가는 새로운 공동체 모델_강은주
6-8 사람 중심 고령친화 디자인_이한결
6-9 쇼츠 커머스 : 짧은 영상이 만드는 새로운 판매의 시대_권순길
6-10 AI와 함께 ‘창조자 시니어’로, 다시 꽃피는 봄날_조연미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 베이비붐 세대는 미국이나 일본보다 8~9세 젊다. 6·25 전쟁 후 재건기와 산업화 시기에 걸친 독특한 출산 패턴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드문 ‘이단 구조’의 인구 팽창이었다. 이들의 진짜 특별함은 ‘마처세대’라는 역설적 위치에 있다. ‘마지막 부모 부양과 첫 자녀 독립 세대’의 줄임말이다. 특히 2차 베이비붐 세대는 ‘마지막으로 부모를 부양하는 동시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첫 세대’다. 위로는 장수하는 부모를 모시고 아래로는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자녀들과 마주한다.
?한국과 일본의 고령화 패턴은 유사하면서도 한국의 속도가 훨씬 빠르다. 일본은 2007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이 21%)에 진입해 2025년 기준 17년 차를 맞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9.3%에 달한다. 반면 한국은 2024년 12월 공식적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일본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전환하는 데 11년이 걸렸지만, 한국은 단 7년 만에 이 변화를 겪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불과 10~12년 내에 일본의 현재 수준인 3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큰글자책] 시니어 레거시](/img_thumb2/979113839798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