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경영자 스토리 > 국외 기업/경영자
· ISBN : 979114071262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2-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성공하는 기업들의 변하지 않는 습관, 프로세스
1장 프로세스로 성공을 설계하라
화려한 비저너리 스티브 잡스와 조용한 오퍼레이터 팀 쿡
위대한 운영자는 회사의 DNA까지 바꾼다
비전과 프로세스의 균형, 영국 창업 경험에서 얻은 깨달음
급변하는 시대에 필요한 체계적 오퍼레이션의 힘
오퍼레이션 시스템을 지탱하는 두 개의 축, 고객 중심과 조직력 강화
기업의 ‘승리 습관’을 구축하는 프로세스의 힘
그들만의 프로세스가 아닌 모두를 위한 프로세스가 되려면
어느 기업에서도 프로세스는 통한다
2장 혁신적인 제품을 만드는 스탠더드 오퍼레이팅 프로세스
혁신적인 제품은 혁신적인 프로세스 속에서 탄생한다
[제품 아이데이션 프레임워크 1] 고객의 ‘문제’를 정의하기
[제품 아이데이션 프레임워크 2] 문제의 ‘완벽한 해결’에 집중하기
[제품 아이데이션 프레임워크 3] 이상적 고객 경험에서 시작하는 퓨처 백 기획
혁신적 제품 기획을 위한 아이데이션 프레임워크 적용하기
아이디어는 시작일 뿐, 사업 타당성 검토하기
현장에서 바로 사용하는 실전 PR/FAQ 템플릿
논리적인 생각을 이끌어내는 글쓰기의 중요성
[제품 출시를 위한 PR/FAQ 적용하기 1]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한 사내 언어 프로토콜
스타트업일수록 더욱 필요한 PR/FAQ 프로세스
[제품 출시를 위한 PR/FAQ 적용하기 2]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라
PR/FAQ 프로세스를 실무에 제대로 도입하려면
3장 민첩하게 움직이는 조직을 만드는 스탠더드 오퍼레이팅 프로세스
실행력이 느린 조직과 빠른 조직의 결정적 차이
실행력이 빨라지는 업무 관리 프로세스
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방지하는 주간 회의 운영방식
애자일 프로세스 도입 시 유의 사항
기업의 ROI를 극대화하기 위한 프로세스 활용법
4장 진취적인 조직문화를 만드는 스탠더드 오퍼레이팅 프로세스
조직문화의 진정한 의미와 그 위력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조직문화의 특징
직원이 아닌 업무의 ‘주인’을 채용한다
실력과 가치관을 모두 검증하는 기준, 리더십 원칙
지원자의 과거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행동사건면접
단단한 조직문화를 만드는 단 하나의 목적의식, ‘고객 중심’
고객의 소리가 사업과 승진에 반영되어야 하는 이유
설립 6년 만에 업계 2위가 된 스타트업의 비밀
공정한 성과 평가를 위한 스탠더드 오퍼레이팅 프로세스
셀프 평가 제도의 적용 방법
5장 프로세스로 성공을 설계하고자 하는 리더가 알아야 할 것
프로세스와 사람 간의 균형이 중요하다
프로세스의 효과는 리더의 결단에 좌우된다
에필로그 | 비저너리에서 오퍼레이터가 되기까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성공하는 기업은 비저너리와 오퍼레이터가 공존하며 함께 시너지를 발휘할 때 탄생한다. 세기의 경영자로 평가받는 제너럴 일렉트릭(GE)의 전 CEO, 잭 웰치가 강조한 것처럼 비전과 전략에 더해 실질적인 실행 능력을 갖춘 사람만큼 강력한 기업가는 없다. 실행이 뒷받침되지 않는 기업의 비전은 아름다운 환상에 불과하지만 비전을 현실로 만드는 오퍼레이터 역량이 뒷받침되는 기업은 세상을 바꿀 수 있다. 화려한 비저너리 스티브 잡스와 완벽한 오퍼레이터 팀 쿡이 만나 지구상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을 만들어낸 것처럼 말이다.
_<1장 프로세스로 성공을 설계하라> 중에서
프로세스의 또 다른 장점은 조직의 역량을 꾸준하게 강화시키는 행동 양식을 축적해 일회성의 반짝 성과가 아닌 장기적인 성공에 필요한 기반을 구축하게 해준다는 점이다. 고객 중심적인 제품을 만들도록 잘 설계된 프로세스를 따라 제품과 서비스를 기획하게 되면 어느새 이러한 행동 양식이 기업 내부에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축적된 행동 양식은 조직의 습관으로 굳어져 혁신적이며 고객의 사랑을 받는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수 있
도록 만든다. 미국의 유명 미식축구 코치이자 그린베이 패커스 감독으로 큰 활약을 한 빈스 롬바르디는 경기에서 승리하려면 승리에 필요한 모든 일을 어쩌다 한 번 하는 팀이 아니라, 늘 꾸준하게 하는 팀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승리는 습관(winning is a habit)’이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_<1장 프로세스로 성공을 설계하라> 중에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기업의 ROI를 극대화하려면 미래의 기업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만을 선별하여 선택적으로 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직원들이 시장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혁신적인 제품만을 구상하도록 하고, 제품 출시의 타당성 여부를 다양한 시각에서 꼼꼼하게 분석하고 검토할 수 있게 해주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는 기업의 제품 관리 역량을 강화하는 매우 중요한 운용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수인 클레이튼 크리스텐슨의 연구 조사에 따르면, 매년 3만 개가 넘는 새로운 소비자 제품이 출시되지만 이 중 95퍼센트는 실패한다고 한다. 단 5퍼센트만이 시장에서 성과를 낸다는 얘기인데, 현재 우리 회사의 제품이 그 5퍼센트에 들어갈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
_<2장 혁신적인 제품을 만드는 스탠더드 오퍼레이팅 프로세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