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노인건강
· ISBN : 9791141052072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23-11-13
목차
차례
Ⅰ. 한국 노인 체육정책의 형성과 추진 과정 13
1. 들어가는 글 15
2.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20
가. 건강 문제 21
나. 경제 문제 24
다. 심리적 문제 25
라. 사회적 문제 26
마. 자살 문제 29
3. 노인 복지정책과 노인체육의 대두 33
가. 노인복지법의 재정과 개정 33
나. 노인 체육정책 형성 관련 노인 복지 정책 변천 36 다. 생활스포츠로서의 노인체육의 대두 39
4. 노인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46
가. 노인체육 전담 기구 전담 기구 설치 및 활성화 47
나. 노인 e-스포츠 보급 및 헬스케어 시스템의 구축 49
다. 노인의 걷기 운동을 통한 웰빙 50
라. 태권도 품새와 명상의 활용법 활용 52
마. 대도시 노인들의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자아실현 및 고독감 해소 54
5. 평생체육 학습자를 위한 스크린 실버 존 개발 59
가. 신체활동을 통한 다양한 욕구 충족 62
나. 신체활동에 대한 학습 동기 유발 강화 64
다. 맞춤형 처방을 통한 체력 증진 67
라. 나가며 70
6. 노인 체육정책의 형성과 성과 72
가. 보건복지부의 노인 체육관련 정책 73
나. 문화체육관광부 차원에서의 노인 체육정책 79
다. 노인의 생활스포츠 참가 제약 요인 86
7. 나가는 글 99
Ⅱ. 노인의 삶과 여가스포츠 문화 103
1. 들어가는 글 106
2. 여가 문화의 변화 114
가. TV가 점령한 국민 여가 시간 114
나. 제대로 된 여가문화가 없다 116
다. 현대인의 TV 중독증 117
라. TV 끊기 운동과 TV 절제 운동 118
마. 대중문화와 여가문화의 관계 119
3. 노인의 삶과 건강 121
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노인 123
나. 신체·심리적 측면에서의 노인 128
다. 건강과 노화 측면에서의 노인 132
4. 노인과 여가 문화 136
가. 노인의 여가의 의의 138
나. 노인과 여가 실태 142
다. 여가 활성화 방안 146
라. 노인체육 활성화 정책 150
마. 체육복지 활성화 방안 154
5. 노인 여가 복지시설과 생활스포츠 159
가. 노인 여가 복지시설 161
나. 노인 여가활동과 생활스포츠 163
다. 생활스포츠 프로그램의 정책적 방향 164
라. 국가 및 지역사회의 역할 167
6. 노인 생활스포츠 진흥을 위한 정책 과제 174
가. 노인 생활스포츠 참여율 높이기 175
나. 융합 효과 극대화 176
다. 국가 경쟁력 제고하는 생활스포츠 178
라. 걸림돌 없는 생활스포츠 환경 제공 179
7. 효과적인 노인 여가스포츠 181
가. 노인 여가스포츠 참여 기피 이유 및 요인 183
나. 노인 여가스포츠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187
다. 효과적인 노인 여가스포츠 프로그램 189
라. 노인과 여가스포츠 문화 191
8. 고령화 사회에서 스포츠의 역할 및 과제 195
가. 노인체육학의 학문적 그리고 정립 일상 생활능력 수행 향상 196
나. 노인의 신체운동의 가치 탐색 198
다. 노인 건강 및 여가문제 해결을 위한 스포츠 확대 참여 200
라. 은퇴 후 성공적인 노화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포츠 참여 확대 202
마. 노인의 가족 내 통합을 위한 스포츠 참여 확대 205
바. 운동 실천과 웰다잉의 관계 206
사. 성공적인 노화 208
9. 생활체육 운영실태와 적용 방안 212
10. 나가는 글 220
Ⅲ. 노인을 춤추게 하자 225
1. 들어가는 글 227
2. 100세 세대 앉는 습관을 줄이고 신체활동을 늘려라 230
3. 건강 100세 시대, 맑은 공기로부터 232
4. 늙어서도 자꾸 젊다고 우기지 마라 234
5. 100세 시대 은퇴 자금 지원책 조속히 마련돼야 237
6. 늘어나는 장수 시대 어르신의 리더십 238
7. 내가 만난 영국의 노인들 240
8. 늙어가는 것의 불안 노리는 사회 242
9. 老年, 인간답게 살다, 인간답게 삶을 마무리 할 수 있어야 한다 244
10. 노년은 독립과 행복의 시기 246
11. 팔굽혀펴기 열다섯 번이면 다 해결된다 248
12. 100세 시대 출발은 사소한 일에 목숨 거는 일부터 버리는 것 251
13. 인문학에서 배우는 은퇴 설계 253
14. 80세에 시작해 세계 챔피언이 된 99세 이야기 255
15. 100세 시대와 삶의 질 257
16. 요양병원-공무원 유착 비리, 노인복지 예산 줄줄 샌다 259
17. 고령화 지진에 대비한 전담부서 만들어야 260
18. 퇴직 보험금보다 건강한 체력 유지가 우선 261
19. 핑퐁 외교와 농구 외교 263
20. 지하철에서 장년과 청년이 충돌하는 의학적 이유 265
21. 너도 내 나이 돼 봐라 268
22. 노인 일자리, 건강한 100세 시대를 만든다 270
23. 현실로 다가온 저출산·고령화 위기 272
24. 습관이 당신의 미래 바꾼다 273
25. 남성 갱년기 건강성한 극복법 275
26 지금이 가장 젊은 때이다 277
27. 결혼을 지탱하는 힘 279
28. 老年, 출판 드라마 281
29. 불효자식 키우고 있다 283
30. 핵가족과 청소년 및 노인 문제 284
31. 퇴직이 더 행복한 50대 남자들 286
32. 70세 여대생이 계속 나와야 행복한 나라 289
33 비싼 교육비와 바른 고령화 소홀히 다뤄선 안돼 291
34. 생활체육진흥법 제정은 국민 기본권 293
35. 노인을 위한 나라는 어디에 있는가 295
36. 소외 노인이 없는지 복지 사각지대 잘 살피도록 297
37. 노익장 젊은 노인 298
38. 기초연금제도, 처음부터 다시 짜라 399
39. 기초연금 정부안의 최대 약점 301
40. 세대 간 일자리 상생을 위한 과제 303
41. 노년도 사회적 책임 다하는 어른 되고 싶다. 305
42. 어르신 건강카드 효과 극대화 하자 306
43. 다모클레스의 칼, 그리고 중세 308
44. 노인 10명 중 7명 자녀와 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