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령화 사회와 삶

고령화 사회와 삶

海東 김용수, 김택호 (지은이)
부크크(bookk)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령화 사회와 삶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령화 사회와 삶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12022981
· 쪽수 : 251쪽
· 출판일 : 2025-07-14

목차

차례


Ⅰ. 들어가는 글 13

Ⅱ. 노인과 삶 16

1. 계속 고용과 재고용 현대 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논쟁 21
2. 왜 노인은 화를 쉽게 내는 것일까? 22
3. 어르신, 껌 좀 씹을까요? 25
4. 전 국민 걷기운동을 제안하며 27
5. 나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 28
6. 행복을 위해 마음의 근력을 키우자 30
7. 양과 질 모두를 잡는 노인 일자리 확대 시급하다 32
8. 삶 전반전 마친 50대 남은 인생 건강하려면, 새로운 의미 찾아서 34
9. 존엄한 삶과 죽음을 위하여 36
10. 마지막 유언장 37
11. 보통 이 정도 합니다 39
12. 한국, 5명 중 1명 노인, 고령사회 7년만에 초고령사회로 40
13. 65살 인구 20% 넘었다, 한국은 초고령사회 진입 42
14. 65살이 노인? 기대수명 늘어도 40년 넘게 그대로인 이유 43
15. 노인 빈곤율과 초고령사회 50
16. 부자들은 사전 증여한다는데, 나도 집 2채로 절세 효과 볼 수 있을까 52
17. 정년 연장·계속 고용 안착의 열쇠 55
18. 대한민국 이제 초고령사회, 5명 중 1명 65세 이상 노인 56
19. 이제 초고령 한국인데 노인=65세 이상 43년 전 기준선 59
20. 국민 20%가 노인, 한국 초고령 속도 빠른 이유는 60
21. 초고령사회 한국 노인 기준 상향, 정년 연장 목소리 커진다 63
22. 초고령 한국 노인복지 65세, 70대로 높아지나 66
23. 명랑하게 저항하는 사람들 68
24. 염화미소(拈花微笑) 70
25. 건강 수명 9년 격차 72
26. 산타이고 순례길에서 찾은 인생 2막 73
27. 인구 위기 본질과 노인 연령의 합리적 조정 방안 75
28. 초고령사회의 청년 세대를 위하여 77
29. 어머니의 말씀 79
30. 비스마르크의 착각 81
31. 노인 1인 가구와 행복지수를 높이는 식생활 83
32. 낯선 남편과 남미 여행 85
33 고령소비자 이동전화 서비스 요금 과다 청구 피해 주의 88
34. 죽음 앞에서 90
35. 초고령화시대 기초연금제도 손질이 필요하다 91
36. 외로운 노인의 위험한 연대 93
37. 노인 일자리도 오프런, 짠물 연금이 만든 취업난 95
38. 삶은 원래 곤란하다는 듯 100
39. 제일 많이 일하고 가난한 한국노인 101
40. 지인의 죽음을 애도하며 103
41. 장수시대의 연금개혁, 65세란 노인 기준 올려야 105
42. 가족 돌봄에 나이가 무슨 상관인가요 107
43. 웰다잉 고독사 109
44. 어떻게 살 것인가 110
45. 연명치료 원치 않는 노인 80%, 실제 결정 13%뿐 112
46. 위기 때마다 함께 한 OECD 30년 113
47.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것인가 115
48. 노년 세대는 어쩌다 정치권의 찬밥이 됐나 117
49. 나는 꼰대다 119
50. 진정 성공한 삶 120
51. 고령층의 디지털 교육, 국가 차원의 대책 절실하다 121
52. 어떻게 살았느냐와 무엇을 했느냐 123
53. 연구자 죽음의 5단계 125
54. 노령 연금 70세 상향과 고용 제도화를 126
55. 선택이 부른 필연 128
56. 하늘의 뜻을 깨닫기 위한 여정 130
57. 노인 부양 132
58. 노인만을 위한 시설이 필요없다 133
59. 평생 건강 동행하는 손목닥터 9988 136
60. 노인 연령 상향 성공하려면 136
61. 시니어는 돈을 안 쓴다고? 138
62. 다이어트 140
63. 100세 시대 안정적인 노후생활 푸른 씨앗서 시작 141
64. 장애인 고령화와 사회보장제도 142
65. 선제적 노인 소방안전대책이 절실하다 144
66. 치매부모의 법정대리인 성년후견인 146
67. 초고령사회의 스마트 고령친화도시 147
68. 노년층 MBTI에 빠지다 149
69. 노인으로 취급한 죄 152
70. 증가하는 고령 자영업과 고령층 일자리 늘려야 154
71. 나이가 문제일까 155
72. 의료화된 노인에서 탈출하려면 157
73. 초고령사회 정년 연장 어떻게 해야 할까? 159
74. 100세 시대 70세 사망법안? 162
75. 노후에 쉽게 다칠 수 있는 마음의 건강을 위해 164
76. 치매 환자 100만명, 돌봄 시스템은 잘 구비돼 있나 166
77. 경로당에 간 사나이 167
78. 근육 만들기 169
79. 노년기, 배움의 의미와 가치 171
80. 100년 인생 소중한 자산과 가치를 지켜주는 유언대용 신탁 173
81. 요양시설, 현대판 고려장이 아니길 바란다 174
82. 운동의 생활화, 제가 건강하게 살고 있는 이유죠 176
83. 수명 연장을 택할 것인가, 건강 수명을 늘릴 것인가 178
84. 시골 어르신들, 왜 쓰레기를 태울까 180
85. 70세 마라톤 풀코스 완주 인생의 버킷리스트 182
86.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184
87. 고령화의 버팀목, 요양 병원을 다시 설계해야 할 시간 186
88. 초고령화시대의 맞춤형 농촌 정책 필요 188
89. 돌봄통합지원법 노인복지 사각 해소 기대 189
90. 정년 퇴직자의 고민 190
91. 새로 알려진 치매의 원인과 치료 193
92. 노인이 온다 194
93. 박정자의 생전 장례식 196
94. 인구 감소, 얼마나 걱정해야 할까 198
95. 뜨기 힘든 눈꺼풀 노인성 안검하수 의심해야 200

Ⅲ. 노인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사고 202
Ⅳ. 늙은이의 불만·젊은이에 대한 당부 207
Ⅴ. 나가는 글 215

참고문헌/219
주석/245

저자소개

김택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天東 김택호 이 책을 엮은이 金澤虎는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에서 행정학 박사과정 중이다. 관심 있는 분야는 자녀 교육, 전인교육(全人敎育), 학교교육, 교육정책과 노인 복지, 학교 밖 청소년,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구술을 통하여 각종 정책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시도하고 있다. 주요 저서는 우리 교육, 이대로 좋은가, 우리 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 우리 교육, 대안은 없는가, 이 시대의 담론(談論), 인류 사회·문화와 삶, 삶 속의 담론(談論)과 논쟁(論爭) 1, 삶 속의 담론(談論)과 논쟁(論爭) 2, 과거의 삶을 찾아서, 미래의 삶을 만나다, 자녀의 전인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 고령화 사회와 복지, 고령화 사회와 문화, 흐르는 물처럼 살자, 고령화 사회와 담론(談論), 사유(思惟)하는 삶, 인간 문화를 사유하다, 인간 문화의 겉과 속 등 22편이 있다. 행정개혁시민연합 정책팀장으로 행정개혁 및 교육관련 칼럼리스트,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 위촉연구원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호락호락 논술연구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海東 김용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海東 김용수 저자 김용수는 중·고등학교 교사로 시작으로 교장으로 퇴임했다. 늦은 나이에 강원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마쳤으며, 스포츠 칼럼리스트, 국기원 태권도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체육사랑연구회장, 강원체육사랑연구회장, 강원체육시민연대 대표, 해동(海東) 글쓰기 연구회장, 자서전 쓰기 연구회에 활동하고 있다. 이 책은 시대가 변화되는 과정 속에서 수많은 현실을 새롭게 조망하고 심도 있는 이야기를 제공하고자『생각하는 삶-산문』을 편저하게 되었다. 주요 저서는 구술사, 논술의 길 찾기, 논술의 산과 길, 사유(思惟)하는 삶, 자녀 교육보감(敎育寶鑑), 전인교육(全人敎育) 길잡이, 건강한 삶 속으로(1∼2), 태권도(跆拳道), 학교 밖 청소년의 이해와 대안, 학교폭력, 학교폭력과 학교 밖 청소년의 이해와 대안, 고령화 사회와 체육, 우리 교육, 이대로 좋은가, 우리 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 이 시대의 담론(談論), 인류 사회·문화와 삶, 삶 속의 담론(談論)과 논쟁(論爭), 과거의 삶을 찾아서, 미래의 삶을 만나다(1∼2), 한국 체육·스포츠가 나아갈 길, 자녀의 전인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 고령화 사회와 건강, 고령화 사회와 복지, 고령화 사회와 문화, 갈팡질팡 세상이야기(1∼5), 종횡무진 사람이야기(1∼24), 흐르는 물처럼 살자(1∼5), 자서전 쓰기, 자서전을 쓰면서 행복 찾기, 자서전 쓰는 법, 나의 삶 자서전 쓰는 법, 자서전 쓰기 특강(1∼2), 주제별 담론(1∼10), 인간 문화의 겉과 속(1∼12), 준비하면 행복한 노년을 맞을 수 있다, 준비 없이는 꿈꾸는 노년은 없다, 노인 복지의 안과 밖, 행복한 노년을 준비하자, 어르신을 춤추게 하자, 사랑의 발견(1∼3), 생각하는 삶(수필, 에세이, 산문), 사랑이라고 부르는 것들, 삶과 사유(思惟), 영혼(靈魂)의 일치를 느끼게 해준 여인, 당신과 나, 당신과 나 그리고 우리, 사랑이 도대체, 뭐길래, 인간 문화를 사유(思惟)하다 등 저서 및 번역서 177편이 있다. 중학교 교사, 고등학교 교사, 중등학교 교감, 중·고등학교 교장으로 35년 동안 학교 현장에서 근무했으며, 한국체육사학회부회장, 한국스포츠인류학회부회장, 강원체육사랑연구회장, 강원구술사학회부회장, 강원우슈협회부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Daum: 해동 글쓰기 연구회, 자서전 쓰기 연구회, 한국(강원)체육사랑연구회, 강원체육시민연대 Facebook 자저전 쓰기 연구회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