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41608613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 영화의 탄생
1. 영화의 외적 발전
2. 영화의 내적 발전
1부 영화극의 심리학
3. 깊이와 운동
4. 주의집중
5. 기억과 상상
6. 공감
2부 영화극의 미학
7. 예술의 목적
8. 다양한 예술의 수단
9. 영화극의 수단
10. 영화극의 요구
11. 영화극의 기능
우리는 왜 영화관에 가는가(1915)
주
해설 1세대 시네필이 보내는 영화에 대한 찬가_유현주
책속에서
영화의 발전이 시작된 지점이 어디인지 말하는 것은 자의적이며, 그 발전이 어디로 향할지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어떤 발명이 그 탄생을 표시하는가? 움직임을 화면 위의 이미지로 최초로 옮겨놓은 장치가 그것일까? 아니면 움직이는 대상의 다양한 국면을 처음으로 촬영했을 때가 영화의 발전이 시작된 순간인가?
연극의 무대 감독은 바다를 회화적으로 그릴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몇 가지 색을 입힌 천을 움직여 물결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의 효과는 실제 절벽에서 진행되는 장면과 물결이 배우들의 발 아래 요동치고 그들 주변에 파도 거품이 이는 최고의 바다 영상을 능가하지는 못한다.
역에 서 있는 기차 안에서 창밖을 내다보고 기차가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옆 레일의 기차가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움직이지 않는 구름 사이로 빠르게 움직이는 듯 보이는 달을 볼 때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스스로 고정한 것을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시각적 장에서 일어난 상대적 변화를 자신이 고정하지 않은 부분의 움직임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