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07087
· 쪽수 : 110쪽
· 출판일 : 2025-09-26
책 소개
목차
디지털 시대의 미술 교육
01 미술 교육에서 AI 리터러시
02 현대 미술에 나타난 예술가-AI 협업 사례
03 미술 창작 교육에서 AI 활용
04 미술 감상 교육에서 AI 활용
05 미술 교육에서 AI와 창의성
06 미술관 교육에서 AI 활용
07 시각 문화 교육에서 AI
08 융합 미술 교육에서 AI 활용
09 AI와 미술 치료
10 미술 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AI 리터러시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술 교육에서 AI 리터러시 교육은 학생의 창작 주체성과 학문적 정직성을 보호하는 기초가 되어야 할 것이다. 또 미술 교육에서는 AI를 수단이나 기술로만 제한하지 않고, 예술적 사고와 윤리적 판단을 포함하는 복합적 역량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AI 시대의 미술 교육이 갖춰야 할 핵심 역량으로서 AI 리터러시는 AI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작, 감상, 윤리적 측면까지 다각도로 판단해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잠재력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AI 리터러시는 단순한 기능적 기술 능력이 아닌, 디지털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형성하는 핵심 교육 내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01_“미술 교육에서 AI 리터러시” 중에서
작품 제작 단계에서의 AI 활용을 살펴보자. 전통적으로 학생들이 구상한 작품을 완성해 가는 과정에서는 스케치 → 채색 → 수정 등의 순차적 단계를 거친다. 이제는 이러한 흐름 속에 AI를 부분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다. 첫째 텍스트?투?이미지(text-to-image) 과정에서는 프롬프트 문장을 입력해 AI가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안인기, 2023). 또는 학생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의 화풍을 분석한 후 프롬프트에 입력해 해당 화풍으로 원하는 장면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패들렛(Padlet), 캔바(Canva),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Bing Image Creator) 등과 같은 도구를 활용한 프롬프트 훈련을 통해 AI와 공동 창작이 가능해진다.
-03_“미술 창작 교육에서 AI 활용” 중에서
2023년 국립중앙박물관도 AI 챗봇·AR 통합 도슨트를 적용해 관람객의 동선과 음성 질의를 실시간 분석하고 원격 관람까지 지원, 노년층과 장애인 관람 장벽을 낮췄다. 2025년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과 오르세 미술관은애스크모나(AskMona) 챗봇을 시범 운영하며 QR 코드 기반 자연어 대화로 맞춤 해설을 제공해 만족도 85%를 기록했다. AI가 ‘디지털 해설자’가 되면서 관람객은 사용자 주도적 탐색과 감정 이입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06_“미술관 교육에서 AI 활용”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