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55289648
· 쪽수 : 403쪽
· 출판일 : 2016-01-19
책 소개
목차
Prologue 프롤로그
제1편 부동산 투자의 기초
제1장 부동산 투자의 이해
01. 부동산 투자의 개념 및 특징
1-1. 부동산 투자의 정의
1-2. 부동산 투자와 투기
1-3. 부동산 투자의 특징
1-4. 부동산 활동과 투자자
02. 부동산 투자의 유형
2-1.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2-2. 부동산 일반투자와 경매투자
2-3. 시세차익형 투자와 수익형 투자
03. 부동산 투자분석과 의사결정
3-1. 부동산 투자분석의 필요성
3-2. 부동산 투자결정과정
3-3. 부동산 투자분석의 내용
제2장 국내 부동산 투자시장의 흐름
01. 부동산 투자시장과 정책의 변천
1-1. 1950~60년대 투자시장과 정책
1-2. 1970년대 투자시장과 정책
1-3. 1980년대
1-4. 1990년대
1-5. 2000년대
1-6. 2010년대
제3장 부동산 투자분석 기법
01. 부동산 투자분석의 기초
1-1. 화폐의 시간가치
1-2. 현금수지 측정
02. 부동산 위험과 수익성 분석
2-1. 부동산 투자와 위험
2-2. 부동산 투자 위험의 유형
2-3. 부동산 투자와 수익률
2-4. 부동산 투자와 위험의 관계
2-5. 민감도 분석
03. 부동산 투자분석 기법
3-1. 순현가법
3-2. 내부수익률법
3-3. 평균수익률법
3-4. 자본 회수 기간법
3-5. 경험셈법
3-6. 비율분석법
04. 포트폴리오 이론
4-1. 포트폴리오 이론의 개념
4-2. 포트폴리오 이론의 특징
4-3. 부동산 포트폴리오의 효과
4-4. 재산 3분법
제2편 부동산 투자전략
제1장 주거용 부동산 투자전략
01. 주거용 부동산의 유형
02. 단독주택 투자
2-1. 단독주택의 개념과 특징
03. 다가구주택 투자
3-1. 다가구주택의 개념과 특징
04. 다세대주택 투자
4-1. 다세대주택의 개념과 특징
05. 아파트 투자
5-1. 아파트의 개념과 특징
제2장 상업용 부동산 투자전략
01. 상가 투자
1-1. 상가의 개념과 특징
02. 근린상가 빌딩(근린건물) 투자
2-1. 근린건물의 개념과 특징
제3장 수익형 부동산 투자전략
01. 도시형 생활주택 투자
1-1. 도시형 생활주택의 개념과 특징
1-2. 도시형 생활주택의 장점
02. 오피스텔 투자
2-1. 오피스텔의 개념 및 특성
2-2.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의 비교
03. 고시원 투자
3-1. 고시원의 개념과 특징
3-2 도시형 생활주택, 오피스텔, 고시원의 비교 (도시형 생활주택 VS 준주택)
제4장 토지 투자전략
01. 농지 투자
1-1. 농지의 개념과 특징
1-2. 농지전용허가
02. 임야(산지) 투자
2-1. 임야(산지)의 개념과 특징
2-2. 산지전용허가
03. 도로 투자
3-1. 도로의 개념과 특징
제3편 부동산 경매투자
제1장 부동산 실전 경매의 이해
01. 부동산 경매의 개념과 유형
1-1. 부동산 경매의 개념
1-2. 부동산 시장과 경매 시장의 관계
1-3. 부동산 경매의 특징
1-4. 부동산 경매의 유형
1-5. 부동산 경매와 공매
02. 부동산 경매절차
2-1. 부동산 경매절차의 진행
제2장 부동산 권리분석
01. 부동산 지적공부의 이해
1-1. 부동산 등기의 개념과 효력
1-2. 부동산 등기의 종류 및 특징
1-3. 부동산 등기부등본의 이해
1-4. 토지이용계획확인원과 건축물대장
02. 부동산 권리분석의 이해
2-1. 부동산 권리분석의 개념 및 특징
2-2. 말소기준권리와 원칙
03. 부동산 실전 권리분석
3-1. 부동산 일반 권리분석
3-2. 부동산 특수 권리분석
제3장 주택 및 상가임대차보호법
01. 주택임대차보호법
1-1.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이해
02. 상가임대차보호법
2-1. 상가임대차보호법의 이해
제4장 부동산 경매 배당과 세금
01. 부동산 경매의 배당
1-1. 배당의 개념 및 내용
1-2. 배당요구
1-3. 배당순위
02. 부동산 경매의 세금
2-1. 부동산 취득관련 세금
2-2. 부동산 보유관련 세금
2-3. 부동산 양도관련 세금 (양도소득세)
제4편 NPL 투자
제1장 NPL의 이해
01. 담보부 부실채권(NPL, Non Performing Loans)의 개념과 특징
1-1. 담보부 부실채권(NPL)의 개념
1-2. 담보부 부실채권(NPL)의 특징 및 기능
1-3. 담보부 부실채권(NPL) 시장의 이해
02. 담보부 부실채권(NPL, Non Performing Loans) 인수를 위한 권리분석
2-1. 채권양도
2-2. 담보부 부실채권 물건의 권리분석
03. 담보부 부실채권(NPL, Non Performing Loans)의 매입방식
3-1. 론세일(Loan Sale) 방식
3-2. 채무인수 방식
3-3. 사후정산방식
제2장 NPL의 투자전략
01. 담보부 부실채권(NPL) 투자의 이해
1-1. 담보부 부실채권(NPL) 투자의 개념
1-2. 담보부 부실채권(NPL) 투자와 부동산 경매투자의 비교
02. 담보부 부실채권(NPL)의 투자절차
2-1. 담보부 부실채권(NPL) 권리분석과 수익성 분석
2-2. 담보부 부실채권(NPL) 매입을 위한 협상과 계약
2-3. 담보부 부실채권(NPL)의 매입
2-4. 담보부 부실채권(NPL)의 회수
03. 담보부 부실채권(NPL) 유동화와 경매
3-1. 채권양도와 경매
3-2. 채무인수와 경매
3-3. 채권자 입찰참가와 경매
3-4. 유입한 부동산의 재매각과 경매
제5편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투자
제1장 도시계획시설의 이해
01. 도시계획시설의 개념 및 특성
02.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기준
2-1. 교통시설
2-2. 공간시설
2-3. 유통 및 공급시설
2-4. 공공문화 및 체육시설
2-5. 방재시설
2-6. 보건위생시설
2-7. 환경기초시설
03.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실행
3-1. 단계별 집행절차의 수립
3-2. 도시계획시설사업 시행자의 지정
3-3. 실시계획의 작성 및 인가
3-4. 실시계획의 고시
3-5. 사업시행 및 공사완료 공고
제2장 장기 미집행시설 이해
01. 장기 미집행시설의 정의
02. 장기 미집행시설의 현황
제3장 장기 미집행시설 해제 가이드라인
01. 장기 미집행시설 해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02. 가이드라인의 특성
2-1. 가이드라인의 성격과 의의
2-2. 가이드라인의 적용대상 및 범위
03. 가이드라인의 적용의 기본원칙
3-1. 기본적 고려사항
3-2. 재검토 기준
3-3. 가이드라인의 적용 순서
제4장 장기 미집행시설 해제 기준
01. 우선해제시설 분류에 따른 해제기준
1-1. 공통적 기준
1-2. 도로의 해제기준
1-3. 공원의 해제기준
1-4. 녹지의 해제기준
1-5. 기타시설의 해제기준
02. 단계별 집행계획수립에 따른 해제기준
2-1. 기본원칙
2-2. 도시·군계획시설사업 집행예산 산정
2-3. 도시·군계획시설사업 집행순위
03. 비재정적 집행방안 수립에 따른 해제기준
3-1. 기본원칙
3-2. 민간투자사업 기준
3-3. 도시·군계획사업의 공공기여에 의한 집행 기준
제5장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투자방안
01. 장기 미집행시설의 도시계획제도 보완
1-1. 도시계획시설부지 매수청구권
1-2. 도시계획시설결정 실효제도
1-3. 지방의회 해제권고제
1-4.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재검토계획 수립
1-5. 도시계획시설사업의 분할시행 가능
02. 장기 미집행시설 실효제도(일몰제)
2-1. 장기 미집행시설 실효제도의 개념
2-2. 장기 미집행시설 실효제도의 실효과정
03.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매수청구권
3-1.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부지 매수청구권의 개념 및 특성
3-2.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부지 매수청구 절차
3-3 매수청구권제도의 문제점
Appendix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