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진국의 역습

선진국의 역습

(원아시아 메타모포시스)

매일경제 세계지식포럼 사무국 (지은이)
매일경제신문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진국의 역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진국의 역습 (원아시아 메타모포시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55420669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3-12-10

책 소개

매일경제가 주최하는 '세계지식포럼'의 내용을 엮은 책이다. 세계지식포럼은, 매일경제가 두뇌한국, 지식강국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2000년 10월 출범한 글로벌 포럼이다. 2013년 14회를 맞아 세계 각국에서 200여 명의 연사를 초청했다.

목차

간사 5
머리말 9

01 선진국의 역습이 시작된다
CHAPTER 1 아베노믹스 vs. 리코노믹스 26
CHAPTER 2 세계경제 어디로 가나 33
CHAPTER 3 재정정책이 우선이다 52
CHAPTER 4 아시아는 지역 내 경제 통합이 필요하다 68
CHAPTER 5 상위 1% vs. 99% 74
| 대담 |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 85

02 도시가 창조의 원천이다
CHAPTER 1 아시아 도시들 서구 도시의 개방성과 수용성 배워야 94
CHAPTER 2 서울로의 인구 집중은 도시(City) 장점… 다양성 있는 도시에 많은 인재 몰려 99
| 대담 |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 리처드 플로리다 토론토대 교수 103
CHAPTER 3 교육과 인적자원이 도시 재탄생의 근간 107
| 대담 | 박원순 서울시장 & 에드워드 글레이저 하버드대 교수 111
CHAPTER 4 해양도시 부산, 기후변화 영향에 대비해야 114
CHAPTER 5 자연 친화적인 중국 도시화가 글로벌경제에도 도움 119
| 인터뷰 | “생산, 소비, 재활용까지… ‘올인원’ 창조도시가 미래도시 대안” 123

03 왜 ‘원아시아 대변혁’인가
CHAPTER 1 폭증하는 중산층이 아시아 대융합 이끌 것 128
CHAPTER 2 아시아 잇는 초고속철 구축해 원이코노미 만들자 134
CHAPTER 3 금융제재 등 강력한 압박수단 있어야 북핵 문제 해결 가능 138
CHAPTER 4 아시아 영토분쟁 일촉즉발, 다자간 해결기구 필요 143
| 인터뷰 | “‘원아시아’ 완성도는 B등급… 아시아의 목소리 너무 작다” 147
| 인터뷰 | “‘원아시아’는 다양한 종교·문화·역사 포용할 수 있는 ‘열린 통합’ 형태로 이뤄져야” 151
| 인터뷰 | “시진핑의 중국, 이웃과 갈등 아닌 공생 원해” 155
| 인터뷰 | “중국, 전통 윤리의식과 현대적 사고가 뒤섞여 혼란스런 상황” 160

04 인터넷, 교실의 벽을 허물다
CHAPTER 1 지구촌이 하나의 교실… 미국 빈곤층 성적 하위 7% → 상위 2% 164
CHAPTER 2 온라인 교육 도입으로 무명 대학이 하버드 추월할 수 있어 171
CHAPTER 3 온라인 교육 진화로 상당수 대학 문 닫을 수 있어 vs. 교육 소프트웨어가 강의실 대체 못해 175
CHAPTER 4 세계은행·카이스트 강의도 온라인 진행 180

05 테크놀로지 프런티어에게 배운다
CHAPTER 1 글로벌 위기 돌파 위해선 창조적 기술이 필요 184
CHAPTER 2 중국 비즈니스의 투명성 확보되는 방향으로 로드맵이 나올 것 189
CHAPTER 3 럭셔리시장 연간 10~15% 성장도 가능 194
CHAPTER 4 이제는 기후변화 시대에 적응해야 할 시기 198
CHAPTER 5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차, 서로 장단점 보완하는 공존의 대상 204
CHAPTER 6 탄소섬유는 고도의 친환경제품 208
CHAPTER 7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시작에 불과, 건강에 도움을 주는 디스플레이 나올 것 212
CHAPTER 8 보잉 항공기의 주요부품 한국에서 제조, 투자 꾸준히 늘려야 215

06 벤처 창업, 실패의 벽을 넘어라
CHAPTER 1 기업가는 타고나는 것 아냐, 아이디어만 있으면 가능 220
CHAPTER 2 빅데이터 위력 상상 초월… ‘잊힐 권리’ 없으면 악몽 225
CHAPTER 3 우리는 디지털 원형감옥에 갇혀 있어 230
CHAPTER 4 3D프린팅에 스마트 소재 입히면 4D프린팅 237
CHAPTER 5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하는 것 241
CHAPTER 6 디지털 감각이 인간의 제6감각 되고 있어 245
CHAPTER 7 사이버 공격 대응, 국제적 차원의 집단 방어체제 구축해야 250
| 인터뷰 | “빅데이터는 ‘살아있는 정보’… 정보 간 연결고리 찾아야” 257
| 인터뷰 | “한국, 정부의 창업 육성 의지 강해 좋은 결과 나올 것” 260

07 대변혁 시대의 리더를 만나다
CHAPTER 1 관료적인 정부는 창의력을 키우는 데 방해될 뿐 266
CHAPTER 2 중동의 가장 큰 문제는 종교 내 분파갈등 271
| 인터뷰 | “北, 돈 때문에 핵 개발… 도발 가능성은 낮아” 274
CHAPTER 3 극우·극좌에 휘둘리는 미국? 결국 중도가 통치 278
CHAPTER 4 한국 1인당 수출 독일의 절반… 히든 챔피언 적기 때문 283
| 대담 |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 헤르만 사이먼 287
CHAPTER 5 대기업-벤처 시너지 낼 한국형 모델 만들어야 294
| 대담 | 사울 싱어 《창업국가》 저자 & 윤종록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299
CHAPTER 6 최고의 아이디어는 적당히 비관적일 때 나온다 305
CHAPTER 7 커피 한 잔 가격으로 전 세계 40억 명 인구는 하루를 살아 310

부록 315

저자소개

매일경제 세계지식포럼 사무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계를 바꿀 거대한 기회는 항상 위기 속에 나타났다. 팬데믹, 전쟁, 초인플레이션 등 전 세계가 겪고 있는 위기를 향후 더 나은 세계로 나아가는 ‘성장통’으로 탈바꿈시키려면 그에 맞는 준비가 필요하다. 제25회 세계지식포럼의 주제는 ‘공존을 향한 여정’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맨큐 교수는 기술 발전이 소득 불평등을 가져오는 요인이라고 봤다. 재능이 풍부하고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들의 서비스 수요는 늘어나고, 교육 수준이 낮은 노동자는 기술에 의해 대체되기 때문
이다. 그는 상대적으로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일수록 세계화의 혜택도 더 많이 누릴 것이라고 봤다.
맨큐 교수는 《과잉교육을 받는 미국》이라는 책을 언급했다. 과거에는 대졸자가 노동인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비교적 적었고, 그래서 대학을 갈 가치가 없다는 말도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이 발간된 이후 추세가 바뀌었다. 대졸자와 비대졸자의 임금 격차가 점점 벌어졌다. 오늘날에는 대학을 가는 게 맞다는 결론이 났다.
맨큐 교수는 “어떤 가설은 시류에 맞지 않는 것으로 판명난다”며 “우리가 예상할 수 없는 기술 변화로 인해 현실은 다르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예컨대 1920년대만 해도 농부가 전체 인구의 2%라고 한다면 ‘사람들이 굶어죽겠구나. 국민 전체를 먹여 살릴 수 없을 것이다’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농업기술이 발달하면서 이제는 2%의 농민이 98%를 먹여 살리고 있다. 이 모든 것이 기술 진보의 승리다.
- part 1. 선진국의 역습이 시작된다 中


플로리다 교수는 서울의 경쟁력이 아시아 국가 도시 중 상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보수적인 다른 아시아 도시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개방돼 있다고 했다. 하지만 행정수도 세종시 설립으로 최근 서울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플로리다 교수는 “서울에서 약 100㎞ 떨어진 세종시가 행정 비효율을 야기하고 있다”며 “정부는 서울시장이 서울의 경제 발전과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하며, 지역 균형발전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플로리다 교수는 도시경쟁력을 가르는 핵심 기준으로 ‘창조 계급(Creative Class)’을 내세웠다. 플로리다 교수가 창안한 개념인 창조계급은 기술 종사자나 예술가 등 창조적 직업군을 뜻하는데, 이같이 다양한 사람들이 모인 도시일수록 경제적 잠재력도 높다고 그는 설명했다. 플로리다 교수는 이들을 ‘보헤미안 그룹’으로도 불렀다. 그는 “창조적 경제혁명이 수십 년에 걸쳐 일어나고 있다”며 “유능한 최고경영자(CEO)와 예술가들의 창조성이 도시를 위대하게 변모시킨다”고 지적했다.
- part 2. 도시가 창조의 원천이다 中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이 마지막 10피트 상공에서 활공 각도를 줄이기 전에 하강 기류를 만난다거나 갑자기 비행기 뒤쪽에서 바람이 불면 비행기 고도가 갑자기 떨어지면서 ‘쾅’ 하고 내리게 된다. 이런 상황을 ‘하드 랜딩(hard landing)’이라고 한다. 사실 조종사도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일단 어느 정도의 ‘지-포스(G-force)’를 넘는 하드 랜딩을 하고 나면 규정에 의해 랜딩 기어를 포함한 착륙시스템을 다시 점검하고 재운항 한다. 요즘 항공기들은 웬만한 하드랜딩은 잘 견딜 수 있게 설계가 되어 있으므로 좀 놀랐더라도 그렇게 위험한 것은 아니니 조종사들을 너무 나무라지 않기 바란다.
- part 2. 현장 속의 모바일 CEO오피스 中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