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만화 십팔사략, 민民심心으로 세상을 세우라

만화 십팔사략, 민民심心으로 세상을 세우라

(만화 십팔사략 후편)

조득필 (지은이)
매일경제신문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6,9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2,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만화 십팔사략, 민民심心으로 세상을 세우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만화 십팔사략, 민民심心으로 세상을 세우라 (만화 십팔사략 후편)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55424773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16-06-16

책 소개

만화로 재미있게 읽는 고전 지혜 시리즈 4권. 만화와 함께 역사 오버랩, 이해 돋보기, 내용 속 교훈을 통해 역사적 사건의 의미를 재구성해 보여주고 있다. 오래된 18가지 역사 이야기를 압축해 흥미 있는 만화로 풀어냈다.

목차

머리말

당(唐)의 건국
현무문(玄武門)의 변
당태종의 치(當太宗의 治)
측천무후(則天武后)
무후천하(武后天下)
이융기(李隆基)
양귀비(楊貴妃)
황소의 난(黃巢之亂)
송나라(宋時代)
전연지맹(羶淵之盟)
포청천(包靑天)
왕안석(王安石)
아골타(阿骨打)
북송 멸망(北宋 滅亡)
남송(南宋)
칭기즈칸(成吉思迂)
금 멸망(金 滅亡)
남송 멸망(南宋 滅亡)

맺음말

저자소개

조득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세한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웹툰 연출》 《시크릿 플라워》 《십팔사략(후), 사략으로 세상의 이치를 보라》 《십팔사략(전), 민심으로 세상을 지배하라》 《맹자, 인의로 세상을 지배하라》 《한비자, 법술로 세상을 논하라》 전래동화 - 일러스트(의좋은 형제, 우렁각시 등 60편 제작) 세계명작 - 일러스트(백설공주, 신데렐라 등 60편 제작) 한국위인 60인, 세계위인 60인 일러스트 및 글(120인 제작) 《선 테크닉 : 만화기초탈출》 등 집필 대중만화 <무림팔권>, <무림흑풍>, <검은 나비>, <어둠 속의 해결사> 등 200여 편의 대중만화로 독자와 희로애락을 함께함
펼치기

책속에서

▷ 역사 오버랩
당의 고조 이연은 둘째 아들 이세민의 활약으로 당나라를 세운다. 그러나 태자 건성과 원길이 이세민을 제거하려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현무문에서 태자 건성과 원길을 제거하고 정치를 안정시킨 후 세민에게 왕위를 이양한다. 태종 이세민은 왕위에 오른 뒤 중앙집권제를 확립하고 영토를 확장해 당 왕조 300년의 기초를 튼튼히 다졌다.
―p6 〈당의 건국〉 중에서

▷ 이해 돋보기
[왕세충과 두건덕]
무덕 3년(620) 진왕 이세민이 낙양을 중심으로 세를 키우는 왕세충(王世充)을 토벌하기 위해 나선다. 이세민(李世民)의 집요한 공격으로 고전하던 왕세충이 하북의 두건덕(竇建德)에게 원병을 요청한다. 왕세충과 두건덕의 사이는 별로 좋지 않았지만 서로의 계산이 맞아 협력하기로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세민은 두건덕의 군대가 사수(汜水, 하남성 형양현)에 접근하자 급습작전을 써서 두건덕의 군사들을 물리치고 그를 포로로 잡게 된다. 왕세충은 두건덕 군사가 궤멸됐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음을 느끼고 그의 태자, 조신의 등 2천여 명을 거느리고 진왕 이세민의 군영으로 가 항복했던 것이다.
왕세충과 두건덕은 장안으로 압송되어 왕세충은 자신의 원수에 의해 살해됐고, 두건덕은 이연황제에 의해 사형당했다.
그 후에도 끊임없는 침략과 반란 등이 있었으나 이세민의 용맹과 지략에 의해 평정되곤 했다. 특히 유혹달(劉黑闥)은 두건덕을 사형에 처한 이연을 향해 복수전을 치열하게 펼쳤지만 결국 이세민에게 피하고 만다. 이런 저런 수난을 겪은 당나라는 6년(623)에 이르러서야 점차 안정을 찾았던 것이다.
― 〈당의 건국〉 중에서

▷내용 속 교훈
중원에서 사슴을 쫓는다. 장강 이남의 후량 황제라고 불렀던 소선은 무덕 4년 포로가 되어 장안으로 압송되어 왔다. 그는 당의 고조 이연황제에게 이렇게 말했다. “수나라가 사슴을 잃자 영웅들이 앞 다투어 그 사슴을 쫓았는데 불행하게도 나 소선은 천명을 받지 못해 폐하에게 잡히는 신세가 됐습니다.”즉, 천하를 얻는 것은 천명이 뒤따라야 가능하다는 말이다.
― 〈당의 건국〉 중에서

▷역사 오버랩
송(宋)의 태조 조광윤(趙匡胤927~976). 송왕조 창건은 그가 후주 친위군의 통수로서 남침해오는 요나라 군사를 맞아 대군을 거느리고 진교역에 이르렀을 때 장군들은 그를 황제로 옹립하고 개봉으로 돌아왔다. 장군들은 후주의 어린 황제(7세) 공제로부터 선양을 받는 형식으로 조광윤이 제위에 오르게 된다. 황제가 된 조광윤은 나라 이름을 송(宋)으로 바꾸고 그해를 건륭(乾隆) 원년으로 삼았다.
― p114〈송나라〉 중에서

▷이해 돋보기
태종이 지도 3년(997) 사망하자 그 뒤를 셋째 아들 조항(조항)이 3대 황제위에 오르는데 그가 진종(진종)이었다. 송나라 초기 태조와 태종의 치세 30여 년간은 송 왕조의 창업 건국 시기였지만, 이때 안정된 나라를 만들어가는 데는 외부의 요인들이 컸다. 즉, 북쪽의 거란족인 요 왕조가 내분에 휩싸여 혼란에 빠져 남쪽 송나라에 압력을 가할 여유가 없었던 것이 크게 작용한 것이다. 937년 나라 이름을 요(遼)로 바꾸었던 거란은 982년에는 다시 ‘거란’이라 칭했다. 요나라의 내분이 수습되자 20만 대군을 황하 북쪽 언덕까지 남하시켜 송나라를 위협하고 있었는데...
― 〈송나라〉 중에서

▷내용 속 교훈
愼終如始 則無敗事(신종여시 즉무패사)
마무리도 처음처럼 신중하게 하면 그르칠 일이 없다. -노자, 도덕경-

끝은 또 다른 시작이다. 끝이 좋아야 다시 좋은 일이 생기는 법이다. 아름다운 마무리는 처음의 마음으로 돌아가는 지름길이다. 누구나 시작이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끝에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를 평가한다. 그러니까 시작보다 끝의 결과가 평가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끝을 중요시하고 아름답고 의연한 것은 자신에게 높은 평가를 얻는 일이다.
― 〈송나라〉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