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실기
· ISBN : 978894754569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0-04-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4
CHAPTER 1 웹툰 시나리오를 쓰려면
창작자가 되려면 … 12
작품의 장르 결정 … 14
익숙한 장르를 선택하라 … 16
마음 속에 품었던 장르 선택 … 18
시나리오 구성법 … 20
현대 이야기의 구성 흐름 … 22
이야기 서술방식의 시점 구분 … 24
CHAPTER 2 캐릭터와 플롯
시나리오 양대 축 … 30
플롯이 생명 … 32
플롯은 갈등 … 34
플롯의 조건 … 36
비극적인 플롯 4가지 … 44
CHAPTER 3 시나리오의 시작과 중간, 결말
시나리오 전개법 … 50
극의 도입부 … 52
극의 중반부 … 54
최종은 카타르시스 … 56
CHAPTER 4 캐릭터 구성
시나리오 속 캐릭터 … 62
캐릭터 구성 조건 … 64
캐릭터 구성 요소… 67
창조적인 캐릭터 … 70
캐릭터는 작가의 분신 … 73
캐릭터의 감정 표현 … 75
포즈로 느끼는 감정 … 77
몸짓 구조 언어 … 79
CHAPTER 5 만화예술의 특징, 선
선의 미와 개성적 패턴 … 84
선의 역할 … 86
입체감 표현, 선 … 88
원근감 표현, 선 … 90
질감 표현, 선 … 92
CHAPTER 6 콘티 구성법
콘티 구성 … 96
콘티는 칸으로 시작 … 98
칸 틀은 도형 … 100
칸 활용법 … 102
칸 중심에 표현되는 이미지 구성 … 105
시간을 컨트롤하는 칸 … 107
공간이 주는 시간 … 109
이미지가 주는 시간 … 111
캐릭터 포지션이 주는 감정 … 114
좌우 포지션이 주는 감정 … 116
상하 포지션이 주는 감정 … 118
CHAPTER 7 블로킹 사이즈
블로킹 사이즈로 느끼는 감성 … 122
1. 롱 쇼트 … 123
2. 풀 쇼트 … 124
3. 미디엄 쇼트 … 124
4. 바스트 쇼트 … 125
5. 클로즈업 … 125
CHAPTER 8 투시법과 소실점
소실점 … 128
투시 원근법 … 130
수평선 … 132
1점 투시 … 133
2점 투시 … 134
3점 투시 … 135
CHAPTER 9 구도 설정
구도의 이해 … 138
1. 삼각 구도 … 139
2. 수평선 구도 … 139
3. 수직선 구도 … 140
4. 대각선 구도 … 140
5. 원형 구도 … 141
6. 사선 구도 … 142
7. 기타 구도 … 142
좌우의 시각 현상 … 143
- 상승 사선과 하강 사선 … 143
CHAPTER 10 실전 체크 포인트
칸 연출 체크 … 148
감성적 이미지 체크 … 153
블로킹 사이즈 체크 … 159
흐름의 방향성 체크 … 165
표현적 시점 적절성 체크 … 172
CHAPTER 11 웹툰 제작 기본 매뉴얼
웹툰 이미지 저장법 … 182
- 기초적인 정보 제출 … 182
- 이미지 제출 방법 … 183
- 표지나 포스터 이미지 제작 유의사항 … 184
CHAPTER 12 예비 작가 작품 엿보기
웹툰 콘티와 페이지 형식 콘티 … 196
박미소 예비 작가 … 198
전예림 예비 작가 … 210
서정민 예비 작가 … 222
오지은 예비 작가 … 234
CHAPTER 13 기성 작가 작품 엿보기
기성 작가 작품을 통해 관찰해야 할 것 … 248
이희재 작가 … 249
한승준 작가 … 260
원수연 작가 … 271
박명운 작가 … 283
참고문헌 … 297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예비 창작자들은 용기와 결단력을 갖고 있는 한편, 자신을 의심하고 주저하는 심리적 불안감이 크다. 그래서 예비 창작자들은 창작의 기본적인 테크닉과 부족하지만 사건을 만들고, 풀어가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처럼 기초적인 기량을 닦기 위해서는 직간접 체험을 통해 느끼고 배우며, 노력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다.
인간은 긴 시간 훈련된 뇌의 인식에 의해 칸 내에 구성된 이미지의 크기에 따라 시간 흐름의 속도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시각적으로 느끼는 거리감에 의해 일차적인 시간의 흐름을 인식한다. 그 외에 시간의 흐름을 표현한 다양한 효과 처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다양한 블로킹 사이즈의 표현은 대중의 가독성을 높이는 특징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블로킹 사이즈로 이미지를 구성하면 대중들이 시각적인 지루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캐릭터와 사물의 포지션과 공간적 여백 등의 연출을 총동원해서 이야기를 전달한다. 대중은 그 내용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느끼며 이야기 속의 희로애락을 함께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