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애니메이션
· ISBN : 9791196604851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3-03-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4
Chapter 01 만화 예술의 역사
인류는 만화적 예술 행위로 소통 • 12
세계의 근대 만화 • 16
한국 최초의 만화 • 24
만화는 예술인가 오락인가 • 28
만화 예술의 이론적 해석 • 31
만화의 특성 • 33
웹툰 이해 • 37
웹툰, 어떻게 시작되었나 • 40
Chapter 02 선의 역할과 기능
선의 의미적 해석 • 48
선은 단순함의 미학 • 50
선의 메시지 • 53
선의 예술 만화 • 55
선의 입체와 원근 • 56
인물 선과 배경 선 표현법 • 59
Chapter 03 상징기호
기호의 역사적 배경 • 64
기호의 종류 • 65
상징기호의 역할 • 68
Chapter 04 말풍선
말풍선의 기원 • 74
말풍선의 종류와 기능 • 75
말풍선과 이미지 • 77
Chapter 05 효과음
효과음 표현의 인식 • 82
음량과 음색 • 84
Chapter 06 캐릭터 구성
캐릭터란 • 88
캐릭터 구성 요소 • 90
캐릭터 구성 방법 • 92
캐릭터에 어울리는 체형 • 95
캐릭터의 표정 • 99
Chapter 07 시점
시점의 기능 • 104
각도로 표현되는 감성 • 107
Chapter 08 감성 표현
사이즈로 느끼는 감성 • 114
감성을 끌어내는 구성 • 118
포지션에 의한 감성 • 120
Chapter 09 구도
투시 원근법의 유래 • 128
투시 원근법 • 130
구도의 유형 • 133
Chapter 10 연출
독자의 연상 효과란 • 140
독자의 의식적인 연상 • 142
칸과 칸의 이동 연출 • 144
이미지 연출의 중요성 • 148
Chapter 11 콘티 뉴이티
콘티의 기원 • 152
콘티의 시작 • 153
만화에서 콘티란 • 154
칸틀 배열은 연출 • 156
칸틀의 기본적 역할 • 159
칸틀 내의 시간적 개념 • 162
칸틀 내의 공간과 시간 개념 • 165
거리와 시간의 관계 • 169
Chapter 12 스토리 구성
아이디어를 창조하려면 • 176
이야기 구성법의 종류 • 178
현대의 이야기 구성 흐름 • 181
플롯이란 • 182
갈등의 요소 • 184
플롯의 조건 • 186
스토리 작가와 만화가의 관계 • 188
만화가와 글쓴이의 호흡 • 190
플롯 중심과 캐릭터 중심의 차이점 • 191
Chapter 13 프로 작가들의 패턴 연구
개성적 국내 프로 작가들의 연출법을 배워보자 • 196
맺음말 • 252
참고문헌 • 25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 근대 만화의 역사는 대략 100년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이미 1745년 조선시대부터 풍자만화가 그려져 즐겨 보았던 예가 있다. 근래에 발견된 조귀삼의 《의열도》에서 볼 수 있는 <의구도> 등의 작품은 이야기 만화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네 칸 만화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서양의 근대 만화보다 앞선 것이었다. <의구도>의 내용을 살펴보면, 여행 중인 선비가 산불이 난 상황도 모르고 만취한 상태로 잠들자, 주인 곁을 지키던 개가 온몸에 물을 적셔 주인을 살리고 대신 불에 타 죽는 충견의 이야기다. 그리고 조선시대 후기 김홍도의 <벼 타작> 등은 그 시대 양반계급의 오만함과 가진 것 없는 서민을 착취하는 내용을 대담하게 풍자한 한 칸 만화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이다.
만화 속의 세계는 현실 세계에 비해 매우 단순하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어떤 만화나 마찬가지다. 아무리 그림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도 실제의 세계만큼 복잡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 단순성이야말로 만화의 강점이며, 매력이다. 복잡한 세상의 많은 문제가 칼로 자르듯 시원하게 해결되지 않지만, 만화 속에서만큼은 모든 일이 명쾌하게 해결되고 밝혀지고 해결되지 않는가. 그 매혹적인 단순성의 마력 때문에 만화가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붙잡는 것은 아닐까?
인체를 잘 그리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많은 만화가 지망생은 인체 구성에 대한 비례적 공식에 의존해 그릴 것이다. 물론 이를 균형 잡힌 인체를 그리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하면 된다. 하지만 만화의 특성상 그와 같은 공식을 통한 체형 표현은 다양성의 한계를 느낄 수 있다. 그래서 만화 예술의 특성을 감안한 연습에 가장 좋은 방법은 크로키(Croquis)를 추천하고 싶다. 순간의 움직임을 재빠르게 표현해보는 방법, 이렇게 훈련된 스킬로 인체를 표현한다면, 다양하고 광범위한 제스처와 스타일, 인물의 체형 표현에 효과적이다. 만화에서 인체 표현은 그 상황에 어울리는 포즈를 아주 잘 잡아내는 구성이 중요하다. 인체를 균형감 있게 그리는 방법에 앞서 그 인물의 포즈와 제스처를 얼마나 잘 표현했는가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