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91155500583
· 쪽수 : 824쪽
· 출판일 : 2014-08-31
책 소개
목차
개정신판 서문
개정판 서문
한국어판 서문
개정신판 역자 서문
개정판 역자 서문
01. 정치란 무엇인가?
02. 정치이념과 이데올로기
03. 정치와 국가
04. 민주주의와 정당성
05. 민족과 민주주의
06. 정치경제학과 지구화
07. 정치, 사회 그리고 정체성
08. 정치문화와 대중매체
09. 대의제, 선거와 투표
10. 정당과 정당제도
11. 집단, 이익단체와 운동
12. 정부, 체제 그리고 정권
13. 행정부와 리더십
14. 의회
15. 헌법, 법률과 재판관
16. 공공정책과 관료제
17. 다차원적 정치
18. 안전: 국내와 국제
19. 세계질서와 지구 거버넌스
20. 정치의 위기인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정치는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일반적 규칙을 만들고, 보존하고 수정하는 활동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편으로 정치는 불가피하게 다양성과 갈등에 관계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집단적으로 행동하고, 협력하고자 하는 의지와 연결되는,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활동이다. 모든 갈등이 해결되거나 혹은 해결될 수 없는 까닭에 갈등 해소를 위한 연구로 보는 것이 옳다. |본문 64쪽, ‘정치란 무엇인가’ 중에서
‘인간안전’ 개념은 안전에 관한 생각을 국가에서 벗어나 개인에게로 향하게 하였다. ‘공포로부터의 자유’를 넘어서서 ‘궁핍으로부터의 자유’로 안전 관념을 확대함으로써 인간안전은 안전 관념을 심화하고 확대하였다. 그럼으로써 인간안전은 잠재적으로 국제공동체의 책임을 확대하였다. 하지만 비판가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즉 이로 인해 안전 개념이 사실상 무의미하게 될 위험성이 있으며, 폭력과 불안전을 척결할 국제공동체의 능력에 관해 잘못된 기대감이 양산되었다고 말이다.
|본문 719쪽, ‘안전: 국내와 국제’ 중에서
정치위기에 관한 관심들은 일반적으로 점증하는 시민불참여의 증거에서 유래하며, 특히 투표율의 하락과 당원수와 당원 활동수준의 하락에서 나타난다. 하지만 그러한 추세들은 정치참여의 위기의 징조라기보다는 항의 운동들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신매체’가 정치토론과 정치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좀 더 널리 사용됨에 따라 한 종류의 참여에서 다른 종류의 참여로의 이동을 나타낼지도 모른다.
|본문 784쪽, ‘정치의 위기인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