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55654774
· 쪽수 : 221쪽
· 출판일 : 2015-05-31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3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5
제2장 개념 및 산업 범주의 정의 7
1. 콘텐츠, 콘텐츠 산업 및 정보통신(ICT)산업의 개념 및 범주 9
1) 콘텐츠 정의 · 9
2) 콘텐츠 산업의 정의 10
3) 콘텐츠 산업의 범주 11
4) 정보통신산업의 정의 12
5) 콘텐츠 산업과 정보통신산업의 협업전략의 필요성 13
2. 표준산업분류체계 현황 15
1) 표준산업분류의 의의 15
2) 산업 단위 결정 방법 17
3) UN 표준산업분류(ISIC) · 17
4) 북미 표준산업분류(NAICS) 20
5) 일본 표준산업분류(JSIC) 24
6) 한국 표준산업분류(KSIC) 26
7) NAICS, JSIC 그리고 ISIC 표준산업분류 비교 28
제3장 콘텐츠 산업 동향 31
1. 거시적 측면에서의 메가트랜드(Mega Trends) 33
2. 콘텐츠 산업의 주요 동향 35
1) Web 3.0시대의 진행 · 35
2) 콘텐츠 확보를 위한 기업 간 전쟁 38
3) 가치사슬을 연계한 비즈모델 확산 44
4) 기존 미디어 권력의 약화 · 45
5) 콘텐츠 소비의 모바일 화와 운영체계 전쟁 · 46
3. 콘텐츠 산업 가치사슬 영역별 주요 동향 48
1) 소비자 변화 48
2) 미디어 변화 55
3) 네트워크 변화 64
4) 정보기기 변화 ·75
5) 웹(Web)과 플랫폼(Platform) 영역에서의 변화 85
6) 앱 스토어(App Store)의 변화 89
제4장 해외 콘텐츠산업 정책 현황 및 전망 99
1. 유럽연합(EU)의 정책 현황과 전망· 101
1) 콘텐츠산업 정책 현황 및 개요·102
2) 최근 정책 보고서 개요 110
2. 영국의 정책 현황과 전망 118
1) 콘텐츠산업 현황 및 정책 개요 · 118
2) 최근 정책 보고서 개요 ·124
3. 프랑스의 정책 현황과 전망 136
1) 콘텐츠산업 현황 및 정책 개요 136
2) 최근 정책 보고서 개요 ·144
4. 일본의 정책 현황과 전망 150
1) 콘텐츠 산업 현황 및 정책개요 · 150
2) 최근 정책 보고서 개요 157
제5장 한국의 콘텐츠 및 정보통신(ICT)산업 정책의 연혁과 구조 · 163
1. 한국의 콘텐츠산업정책과 IT정책의 연혁 ·165
1) 콘텐츠산업정책의 연혁 · 165
2) ICT산업정책의 연혁 · 170
2. 콘텐츠산업정책의 구조와 영역 · 172
1)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 정책 · 173
2) 문화기술 (CT) R&D 정책 173
3) 투자-유통환경 지원정책 174
4) 제작기반 조성 및 지역문화산업 지원정책 · 176
5) 해외시장 진출 지원정책 177
6) 저작권 보호 및 이용 활성화 정책 178
7) 공정경쟁관련 지원정책 179
3. ICT산업정책의 구조와 영역 · 180
1) ICT산업경쟁력 강화 지원정책 · 181
2) ICT 산업 고도화 지원정책 · 182
3) ICT산업 국제 협력 지원정책 182
4) 정보화 촉진정책 183
4. 콘텐츠산업정책과 ICT산업정책의 비교와 시사점· 184
제6장 결론 및 제언 · 187
1. 스마트 환경 하에서의 콘텐츠 정책 방향 189
2. 콘텐츠산업과 ICT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산업정책 · 191
1) 혁신환경 조성 192
2) 협업적 거버넌스 193
3. 콘텐츠 산업과 가치사슬 간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협업 전략 · 196
1) 고객의 요구에 의한 사업 기회 197
2) 사업자의 필요에 의한 사업 기회 199
3) 기술개발에 의한 사업 기회 · 202
4) 사업허가나 규제철폐에 의한 사업 기회 204
4. 콘텐츠산업 중심의 진흥체계 구축 방안 205
1) 콘텐츠 산업 진흥체계 현황 · 206
2) 콘텐츠 산업 진흥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 · 207
참고문헌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