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토불교 성립론

정토불교 성립론

(정토신앙의 논리와 윤리)

김호성 (지은이)
조계종출판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정토불교 성립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토불교 성립론 (정토신앙의 논리와 윤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55801529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0-12-23

책 소개

실제로 정토신앙의 역사에서 그 문제는 문제가 되지 않는 신앙상의 경지가 있음을 학문적으로 고찰하며 반론을 펼친다. 그리하여 “정토신앙 역시 불교”이며, 어쩌면 “정토신앙이야말로 대승불교의 꽃”일 수 있다고 말한다.

목차

머리말 • 004

제1부. 본질, 혹은 핵심은?

1장. 본원本願의 초대와 안심安心의 확립―「원왕생가願往生歌」의 정토해석학 • 020
Ⅰ. 「원왕생가」, 정토시浄土詩의 백미 • 021
Ⅱ. 광덕의 신앙고백 • 023
1. ‘무량수불’과 ‘이 몸’의 대면對面 • 023
2. ‘무량수불’과 ‘이 몸’의 동시 성불 • 028
Ⅲ. 광덕 부인의 증언 • 035
1. 칭명稱名염불의 의미 • 036
2. 칭명염불과 16관의 관계 • 042
Ⅳ. 일연의 전언 • 047
Ⅴ. 종래의 견해와 다른 새로운 이해 • 050

2장. 극락의 존재 여부와 염불의 가능성 • 053
Ⅰ. 문제 : 극락은 존재하는가? • 055
Ⅱ. 이미 주어져 있는 해답들 • 060
1. 신란親鸞, 본원의 진실을 보라 • 060
2. 잇펜一遍, 지옥도 극락도 다 버려라 • 068
Ⅲ. 새로운 해답의 모색 • 076
1. 의상義相, 새로운 해답의 선례先例 • 076
2. 아미타불이 되어라 • 083
Ⅳ. 문제의 해소 : 신심의 발견 • 086

제2부. 신자들의 삶은?

1장. 출가, 재가, 그리고 비승비속非僧非俗―야나기 무네요시의 『나무아미타불』 제17장을 중심으로 • 094
Ⅰ. 출가의 문제에서 재가의 문제로 • 096
Ⅱ. 출가와 스테히지리捨聖 • 100
1. 출가, 부처님 법대로 • 100
2. 지계持戒를 넘어 유행遊行으로 • 105
Ⅲ. 출가와 비승비속 • 112
1. 출가에서 비승비속으로 • 114
2. 비승비속, 재가를 거쳐 다시 출가로 • 122
Ⅳ. 출가는 쉽고, 재가는 어렵다 • 129

2장. 탈권력脫權力의 사제동행師弟同行―구라타 햐쿠조의 『스님과 그 제자』를 중심으로 • 136
Ⅰ. 정토 신자의 삶과 사제 관계 • 138
1. 인연 • 138
2. 문제의 제기 • 142
Ⅱ. 작품의 이해를 위한 예비적 고찰 • 146
1. 『스님과 그 제자』 이전의 구라타 햐쿠조 • 146
2. 『스님과 그 제자』의 대강 • 149
Ⅲ. 작품의 구조와 주제 • 155
1. 작품의 구조 분석 • 155
2. 작품의 주제 파악 • 159
Ⅳ. 권력 없는 공동체 • 168

3장. 한 염불자의 삶과 신심―구라타 햐쿠조의 신란 이해 • 172
Ⅰ. 어떻게 살고, 어떻게 믿을까? • 174
1. 구라타 수용受容의 한·일 비교 • 174
2. 연구의 목적과 범위 • 179
Ⅱ. ‘오직 『탄이초』’의 교판敎判 • 181
Ⅲ. 현실고現實苦를 살았던 염불 일생 • 189
1. 평전 서술의 방법론 • 189
2. 새로운 신란상親鸞像의 정립 • 191
1) 현실고 속에서 구제의 길을 찾다 • 191
2) 범속의 길에서 권력을 벗어놓다 • 197
Ⅳ. 「탄이초강평歎異抄講評」에 대한 몇 가지 소감 • 200
1. 공감, 일념一念과 다념多念의 회통會通 • 202
2. 아쉬움, 평전과 강평의 무연無緣 • 208
3. 비판, 구심과 원심의 부조화不調和 • 214
1) 개인윤리에서 사회윤리로 • 214
2) 모순에서 정당화로 • 218
3) ‘구심도 신란, 원심도 신란’은 불가능한가? • 221
Ⅴ. 구심과 원심의 조화 • 225

제3부. 정토신앙의 길을 찾아서


1장. 일본 정토불교의 사례 살펴보기―2010년 이후를 중심으로 • 232
Ⅰ. ‘일본’이라는 벽壁을 넘어서 • 234
Ⅱ. 삼대 조사에 대한 개별적 고찰 • 237
1. 호넨法然 • 237
2. 신란親鸞 • 242
3. 잇펜一遍 • 249
Ⅲ. 삼대 조사에 대한 종합적 고찰 • 254
Ⅳ. 삼대 조사 이전과 이후 • 257
1. 이전 • 257
1) 쿠야空也 • 257
2) 겐신源信과 요시시게노 야스타네慶滋保胤 • 259
2. 이후 : 렌뇨蓮如 • 263
Ⅴ. 삼대 조사 이외의 정토사상 • 265
1. 융통염불종 • 265
2. 중세 천태종 • 268
Ⅵ. 새로운 연구자의 출현을 기다리며 • 271

2장. 정토신앙을 둘러싼 고뇌와 그 극복― 2010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 274
Ⅰ. 정토학 연구의 현 단계 • 275
Ⅱ. 자력과 타력, 그 오해와 이해 • 278
1. 타력을 자력으로 오해하기 • 278
2. 정토문을 성도문으로 설명하기 • 283
Ⅲ. 선과 염불, 갈등과 공존 • 286
1. 염불선과 염불의 갈등 • 286
2. 선과 염불의 공존 가능성 • 295
1) 선정쌍수禪淨雙修 • 296
2) 삼문수업三門修業 • 297
Ⅳ. 남아 있는 몇 가지 과제 • 301

제4부. 비판에 대한 반비판은?

1장. 염불 비판의 논리와 근대정신의 투영―만해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에 나타난 염불관을 중심으로 • 306
Ⅰ. 정토신앙을 외면하는 현실 • 308
Ⅱ. 염불 비판의 불교 내적 논리 • 310
1. 비판 : 염불당 비판의 논리 • 311
1) 칭명염불稱名念佛에 대하여 • 312
2) 타방정토他方淨土에 대하여 • 317
3) 왕생론往生論에 대하여 • 321
2. 대안 : 참염불의 선택 • 324
Ⅲ. 염불 비판에 투영된 근대정신 • 329
Ⅳ. 얻은 것은 이성, 잃은 것은 자비 • 336

2장. 아함경과 『무량수경』의 화쟁론和諍論 • 340
Ⅰ. 서분序分 • 342
1. 연구의 목적 • 342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44
Ⅱ. 정종분正宗分 • 349
1. “고유명사는 이미 고유명사가 아니다” • 349
2. “원본을 그대로 베끼는 일이 아님은 말할 필요도 없다” • 355
3. “모든 책은 익명이며, 영원히 단 한 사람이 쓴 것이다” • 361
4. “여래가 세상에 출현하든 출현하지 않든 확정되어 있다” • 367
1) “아함/니카야는 ‘원음 X’에 대한 해설이다” • 367
2) “91겁 전에 비빠시Vipassī불이 세상에 나셨다” • 370
3) “석존도 마하가섭으로부터 깨침을 얻었다” • 374
4) “석가모니불과 마하가섭은 동등한 깨침을 얻었다고 믿는다” • 377
5. “이 이야기의 기원은 역시 붓다일 수밖에 없다” • 379
1) “그 공덕을 의상 스님에게 돌릴 수도 있는 것이다” • 381
2) “저자는 현대적 인물인데, 우리 사회가 만들어낸 것이다” • 384
6. “허虛에 즉卽하여 실實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 388
1) “그림자가 하는 것이 더 제격 아니냐는 겁니다” • 388
2) “역사는 변해도 설화는 변하지 않는다” • 393
Ⅲ. 유통분流通分 • 401
1. 문제 제기의 배경 • 401
2. 정의正義의 요약 • 403

후기┃2번째와 7번째 논문의 보충 • 409
약호 및 참고 문헌 • 420
찾아보기 • 433
부록┃저자의 논문 목록(1989∼2020) • 446

저자소개

김호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에서 인도철학과 불교를 공부하였으며, 가르치고 있다. 일본의 대학 세 곳에서 세 차례 방문연구를 하였다. 그동안 펴낸 책에 대해서는 부록에 정리한 바와 같고, 논문은 「백화도량발원문의 이해에 대한 성찰 ―결락된 부분의 복원에 즈음하여―」을 비롯하여 110여 편을 발표하였다. 2017년 『나무아미타불』을 번역하면서, “신앙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정토로 회향하겠다”고 마음먹었다. 정토불교를 알리고자 ‘편지’를 써서 이메일로 발송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염불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 하는 문제는 결코 극락의 존재 여부와 같은 외부 대상의 문제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어떤 존재인가를 문제 삼는 자기성찰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즉 법(法)이 아니라 기(機)의 문제라고 보는 것이다. 기의 관점에서 법은 정해진다고 보는 것이다. 나의 기에 계합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법이라도 나를 구제해줄 수는 없다. 나의 기에 계합하는 법만이 나를 구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입장을 나는 기법상응(機法相應)이라 부르고자 한다.


우리나라 불교의 입장, 즉 출가와 재가의 이중구조, 다른 말로 하면 출가냐 재가냐 라고 하는 이원대립 속에 놓여 있는 우리나라 불교의 입장에서 본다면, 비승비속인 신란의 자리는 없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는, 오히려 그 많은 재가자들에 의해서 신란의 불교가 주류로 자리매김되었다. 그럼으로써 붓다가 만들어 놓은 구제의 그물에다가, 신란은 그 그물의 코를 좀 더 촘촘히 했던 것으로 나는 생각하고 있다. 어리석고, 죄 많고, 작은 물고기들까지 다 잡힐 수 있게 말이다.


자비무별(慈悲無別), 자비에는 차별이 없다. 자비무적(慈悲無敵), 자비에는 적이 없다. 자비로, 용서로 우리는 대립을 넘어설 수 있는 것이다. 거기에서 비로소 진정한 사랑이 가능하게 되리라. 구원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권력에 의한 인간의 배제와 탄압은 이렇게 용서할 수 없을 때, 자비를 베풀 수 없을 때 비로소 발생한다. 하지만, 이렇게 용서할 수 있고, 이렇게 자비를 베풀 수 있으며, 이렇게 선악의 판단을 중지할 수 있을 때는 권력이 인간을 배제하거나 탄압하지 못하리라. 신란 교단에는 그런 희망이 남아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