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관세음보살이여, 관세음보살이여](/img_thumb2/979117261048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7261048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4-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관세음보살의 목소리
서장) 관세음보살 입문
관세음보살을 소개합니다
관음신앙에는 무슨 이익이 있는가
1부 관세음보살의 모든 것
제1장) 관세음보살은 존재하는가
흔들리는 믿음
앎의 세 가지 방법론
관세음보살의 존재 증명
우리는 존재하고 있는가?
뒤바뀐 생각이 바로 서면
제2장) 관세음보살은 어떤 분인가
한 목소리
형식은 달라도 내용은 같다
본체를 묻지 말고 작용을 물어라
서원을 아버지로, 수행을 어머니로
형상 없는 진리, 형상 있는 진리
형상 속에서 진리를 보라
역사적 존재냐 신앙적 존재냐
제3장) 관세음보살 불교의 성립
‘믿음의 길’의 탄생
관음신앙 안의 세 가지 길
「백화도량발원문」의 관음신앙
관음신앙의 세 가지 유형
관세음주의 vs 중생주의
제4장) 중생주의의 관세음보살
「백화도량발원문」의 성관음
『반야심경』의 관세음보살
선에서 말하는 관음수행
『능엄경』에서 말하는 관음수행
『화엄경』의 관음신앙과 중생주의
중생주의의 극복
제5장)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
『무량수경』에 비춰본 『관음경』
『천수경』의 관세음보살과 아미타불
『관무량수경』의 관세음보살
『무량수경』의 관세음보살
2부 새로 찾은 관세음보살
제6장) 『관음경』의 관세음주의
구제자 관음의 고향
관세음주의라 판단하는 이유
관세음보살의 활약상
놀라운 『관음경』
희명의 노래
제7장) 새로 읽는 『관음경』
중송의 구조 재정리
중송 중 제4송의 오역 수정
제20송, 관세음보살의 눈
제24송, 관세음보살의 소리
『관음경』 중송에서 번역이 누락된 부분
제8장) 완본 『관음경』의 우리말 옮김
후기 모든 것은 모든 것이 아닙니다
부록 저자의 저서・역서 목록(1986~2022)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의 주인공 관세음보살에는 통상 ‘넓고 큰 자비’를 가진, 즉 ‘대비’라는 형용사가 동반됩니다. 문수, 보현, 지장보살 등, 그 어떤 보살이 자비롭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관세음보살이 더욱더 ‘자비’에 힘을 기울인다는 것입니다.
이때 관세음보살은 긴급 상황 속에서 구제해 주시는 구제자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이미지의 관세음보살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 불교의 궁극적인 목적은 그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불교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일까요? 이 글을 쓰는 저의 성불이고,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 여러분들의 성불입니다. 이 ‘긴급 구제’와 ‘성불’ 사이에서 관세음보살은 활동하고 계신 것입니다.
오히려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세상만사가 우리 뜻대로 되지 않는 바로 그곳에 종교의 역할이 있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기도 성취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문제없어. 괜찮아.”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것은 안심입명일 것입니다. 저는 안심입명이야말로 종교의 정의라고 봅니다. 종교는 안심입명을 주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안심’은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이고, ‘입명’은 인생관을 정립하여 생사에도 흔들리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