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55801802
· 쪽수 : 628쪽
· 출판일 : 2022-03-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개정판 추천의 글
초판 추천의 글
초판 머리말
서론 - 현대 간화선 사상의 쟁점을 중심으로
제1부 간화선의 철학적 기반
제1장 명상붐의 전개와 불교계의 대응
Ⅰ. 주요 쟁점 - 필자의 개인적 내러티브적 접근
Ⅱ. 명상의 유입기 - 1970년대, 민주화 운동과 돈점 논쟁
1. 명상과 참선
2. 내적 문화적 갈등
3. 돈점 논쟁
Ⅲ. 명상의 대중화 시기 - 1990년대, 위빠사나와 간화선 논쟁
1. IMF 금융위기
2. 위빠사나와 간화선 논쟁
3. 간화선 진영의 대응
Ⅳ. 명상붐의 토착화 시기 - 2010년대, 상담과 심리치료 활용
1. 템플스테이와 승가교육 개혁
2. 알아차림, 사띠 논쟁
3. 상담과 심리치료의 활용
Ⅴ. 맺는말
제2장 위빠사나와 간화선 비교
Ⅰ. 주요 쟁점 - 위빠사나와 간화선
Ⅱ. 인식론의 입장
1. 위빠사나의 인식론
2. 간화선(看話禪)의 심성론 - 초기불교의 입장과 비교하면서
Ⅲ. 실천론의 입장
1. 위빠사나의 실천론
2. 대승과 간화선의 깨달음 - 초기불교 수행법과 비교하면서
Ⅳ. 맺는말 - 남방 ‘위빠사나’와 북방 ‘간화선’의 보완적인 관계설정을 위해서
제3장 대승불교의 성립과 비판불교의 비판
Ⅰ. 주요 쟁점
Ⅱ. 대승불교의 성립
1. 부파불교의 대중부
2. 재가자 그룹의 불탑신앙
3. 대승경전의 출현
4. 명상수행 체험의 체계화
Ⅲ. 대승경전에서의 해명
1. 불탑과 불성
2. 번뇌와 불성
3. 불성과 아트만
4. 여래장과 법무아의 자비
Ⅳ. 불성과 연기법
1. 다뚜(dhātu)의 이해
2. 일원론적 발생론
3. 연기설의 이해
4. 통합적 이해
Ⅴ. 맺는말
제2부 간화선 사상의 성립
제4장 하택신회의 견성사상
Ⅰ. 주요 쟁점
Ⅱ. 하택신회의 중심과제
1. 당대와 송대 평가의 문제점
2. 돈황본 『신회어록』에 나타난 신회의 모습
Ⅲ. 지(知)와 견(見)의 관계
1. 자성견(自性見)과 수연견(隨緣見)
2. 진공묘유(眞空妙有)
Ⅳ. 견성의 성불론
1. 불성과 번뇌의 관계
2. 견성의 두 단계
Ⅴ. 맺는말
제5장 마조의 평상심시도
Ⅰ. 주요 쟁점
Ⅱ. 진리관, 일심(一心)에 대한 해석
1. 종밀의 비판
2. 종밀 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Ⅲ. 수증론, 수행의 방법론
1. 종밀의 마조 비판
2. 종밀 비판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Ⅳ. 현실의 윤리적 문제
1. 주자의 비판
2. 윤리적 고려
Ⅴ. 맺는말
제6장 종밀의 사종선과 송대 교외별전 사상
Ⅰ. 주요 쟁점
Ⅱ. 종밀과 각범의 선종사(법통) 인식문제
1. 비판의 배경
2. 전의설(傳衣說) 개환
Ⅲ. 사종선의 심성론과 수증론
1. 종밀의 사종선 분류와 홍주종 비판
2. 송대 임제종의 하택종 비판
Ⅳ. 맺는말
제7장 대혜종고의 간화선 확립
Ⅰ. 주요 쟁점
Ⅱ. 원오극근과의 만남과 깨달음
Ⅲ. 경절의 가풍
1. 지금 여기의 직면
2. 깨달음의 길
Ⅳ. 화두, 궁극의 일구
1. 임제의 삼구
2. 원오극근의 일구
3. 대혜의 화두
Ⅴ. 의단(疑團), 의심의 덩어리
1. 공안과 화두
2. 피할 수 없는 자리
Ⅵ. 맺는말 - 현대 간화선을 위한 고언
제3부 간화선 수행의 쟁점
제8장 공안선과 간화선
Ⅰ. 주요 쟁점
Ⅱ. 공안의 의미
Ⅲ. 원오극근의 공안선
1. 공안선의 출현
2. 현성공안
Ⅳ. 대혜종고의 간화선
1. 공안과 화두의 구별
2. 화두선의 성격
Ⅴ. 맺는말
제9장 간화선과 돈점문제
Ⅰ. 주요 쟁점
Ⅱ. 대혜의 간화선 상담사례
1. 이참정의 깨달음
2. 깨달음 이후의 수행
Ⅲ. 몽산덕이의 간화선수행
1. 『몽산화상보설』의 돈오점수
2. 『몽산법어』의 간화선 수행 과정
Ⅳ. 맺는말
제10장 화두참구의 수행체계
Ⅰ. 주요 쟁점
Ⅱ. 화두의 정의
Ⅲ. 불성의 현대 심리학적 이해
1. 불성과 영성 - 건강이란 무엇인가?
2. 불성/영성의 심리학적 이해
3. 불성/영성의 불교적 이해
4. 간화선과 수용전념치료
Ⅳ. 화두참구의 수행구조와 점검
1. 누가, 참구하는가 - 이뭣고, 당나라시대의 경우
2. 어떻게, 참구하는가 - 무자 화두, 송나라시대의 경우
3. 무엇을 참구대상으로 삼는가 - 보조, 나옹, 한암의 한국 간화선 전통
4. 구산선사의 경우
Ⅴ. 맺는말
결론
-참고문헌/영문초록/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간화선(看話禪)이란 삶에 내재된 갈등의 언구(言句)를 참구하는 수행법이다. 여기서 ‘화(話)’는 이야기로서 선가의 선문답에서 유행하는 핵심적 이슈를 포함한다. 모든 문답에는 모순과 갈등을 내포한다. 기존의 관점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 그래서 그곳에는 갈등이 생겨난다. 새로운 시각이 요청된다. 이런 창조적인 갈등이 문화를 이끈다.
선종에서 유행된 갈등 이슈는 마음의 본질로서 성품, 불성에 관한 물음이다. <무엇이 나인 가?>, <나의 본질, 성품은 무엇인가?> 이런 대화는 일상의 대화와는 양립하기 어려운 심리적 갈등을 만들어낸다. 본성, 영성에 대한 이런 갈등 문답을 선문답이라 한다.
간화선의 수행과정을 크게 ‘공적’과 ‘영지’로 보고 이것이 현대 한국 간화선의 전통으로 본다. 공적(空寂)은 텅 비어 있음과 고요함의 경험으로서 번뇌가 고요해진 측면을 말한다면 신령한 앎의 영지(靈知)는 본래면목을 깨닫는 본래적 지혜를 의미한다. 이런 과정은 보조지눌 이후로 나옹혜근, 현대의 한암과 구산선사에 이르기까지 한국 간화선의 핵심된 체계라고 본다.
명상은 언제 시작되었을까? 명상이란 마음의 고요와 통찰을 개발하고 근본적인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방법, 혹은 지금 여기에서 인간의 고통을 이해하고 해탈케 하는 삶의 방식이라고 정의한다면, 명상은 어느 시대에나 존재했고, 모든 문화 속에서 찾아낼 수 있는 공통된 인간의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좁은 의미로 명상을 문화 현상으로 이해하고 특별하게 불교적인 관점으로 제한해서 이해한다면, 명상은 곧 불교이기에 명상의 유입은 불교가 전래한 삼국시대부터라고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