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55801888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2-08-30
책 소개
목차
01. 기조 발제
월산 큰스님의 사상과 가르침
성타 스님 | 불국사 회주
02. 기조 발제
월산 큰스님의 업적을 생각하면서
종우 스님 | 불국사 주지
03. 월산 큰스님의 생애와 사상
김광식 | 동국대학교 특임교수
04. 월산 큰스님의 선사상(1)
한태식(보광) | 대각사상연구원장,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05. 월산 큰스님의 중도선 사상(2)
한태식(보광) | 대각사상연구원장,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06. 월산 큰스님과 불국사 선원
석길암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조교수
07. 불국선원 건립의 사상적 의미와 특징
김종두(혜명)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08. 불국사의 강학 전통
한상길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
09. 근현대 불국사의 사격
한상길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
10. 월산 큰스님과 법보신문
이재형 | 법보신문 편집국장
11. 금오문중의 위상과 성격
김순석 |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원
월산 대종사 연보
跋文
저자소개
책속에서
『월산 대선사 생애와 中道禪 사상』은 학자들의 두 차례에 걸친 세미나를 통하여 자료의 고증과 조실 큰스님의 업적을 학문적인 차원에서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조실 큰스님의 선사상을 中道禪으로 규명한 것은 백미가 아닐 수 없다. 평소에 중도적인 삶을 사셨으며, 중도에 대한 법문과 서묵도 많이 남기셨다. 이를 한 마디로 中道禪이라 하였으니 한국 선사들 중에도 그 가르침이 우뚝하지 않을 수 없다. 항상 ‘한 법도 버리지 않는 것이 中이요, 한 마음도 산란하지 않는 것이 道라[不捨一法中 一心不亂道]’는 법문을 즐거이 하셨다.
-간행사 중에서
스님의 수행은 철저한 참선 수행의 정진이었습니다. 특히 화두를 들고 정진한 간화선 수행이었습니다. 이런 것은 은사인 금오 큰스님, 그리고 만공 큰스님의 영향을 받은 것에서 나온 것이라 하겠습니다. 그리고 큰스님은 제도권의 선원에서도 정진을 하셨지만 이른바 토굴에서도 정진을 하셨습니다. 예전의 토굴은 그야말로 정진만을 위한, 생사를 해결하려는 수좌들의 수행처였습니다.
그리고 큰스님께서는 불국사에 승가대를 세우셨습니다. 예전에는 강원, 승가학원이라고 불렀습니다. 불국사에는 본래 1910년대에 강원이 있었으나 식민지 불교라는 혼란과 본사로 지정되지 못한 형편으로 중단되었습니다. 큰스님께서는 그런 역사적 전통을 복구하여 불국사를 경북 지역 불교의 중심으로 만드셨습니다. 운기 스님, 상묵 스님, 덕민 스님 등 명성이 있는 강주스님의 헌신을 통해서 전통이 구현되어 불국사 강원은 역사적인 모범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