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5600118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3-08-18
책 소개
목차
제1부 사회문제 해결과 리빙랩
제1장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보는 세 가지 관점
제2장 사회문제 해결과 리빙랩 그리고 패러독스
제3장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진화과정과 과제
제2부 전문가 조직과 리빙랩
제4장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과 리빙랩: 사례분석
제5장 대학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현황과 과제
제6장 과학기술자의 리빙랩 경험과 인식: 포용적 혁신의 실천과 한계
제3부 시민·사용자와 리빙랩
제7장 공공문제해결을 위한 리빙랩의 최종사용자집단 구성
제8장 사회적경제조직의 혁신활동 경험과 과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제9장 일선행정의 혁신과 리빙랩: 치안현장 문제해결을 위한 폴리스랩 사례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글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과학기술혁신 담론들의 내
용을 검토한다. 각 담론이 어떤 전제와 논리를 가지고 있고 한계는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이 향후 혁신정책의 주요 흐름으로 자리 잡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을 체계화하고 주류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협업적 관점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과학기술혁신의 새로운 모델’로 접근한다. 따라서 산업혁신이나 기초연구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의 차이에 논의를 집중하고 있다. 기존 기술개발활동과 목표 및 추진체제가 어떻게 다른가를 설명하는데 주력하기 때문에 해결해야할 사회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 작업은 아직 충분하지 않다. 또 과학기술을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과학기술적 문제해결이 효과가 있는 사회문제를 발굴하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때문에 아직 사회문제를 시스템 차원에서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