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 명상의 기원

불교 명상의 기원

(최초 붓다의 가르침을 추적하다)

알렉산더 윈 (지은이), 박대용 (옮긴이)
CIR(씨아이알)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9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불교 명상의 기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 명상의 기원 (최초 붓다의 가르침을 추적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91156109952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1-11-15

책 소개

저자 알렉산더 윈이 자신의 옥스퍼드대학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해 단행본으로 출간한 것이다. 초기불교 명상에서 구차제정(九次第定)의 문제와 붓다의 스승으로 묘사된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의 진위 논쟁이 갖는 연계성을 철저히 분석해 정리한 최초의 책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지은이의 말
약어

제1장 서 론

1. 불교의 최초기 형태의 문제
2. 불교 기원에 대한 연구
3. 문헌들과 고안물들
4. 어원에 관한 주의

제2장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

1. 문헌 출처와 그 역사적 문제
2. 《오분율》에 나타난 전기 이야기의 역사적 진위 논란
3. 두 스승에 관한 추가 문헌
4. 웃다까 라마뿟따와 라마
5. 「성구경」에 나타난 다른 특이점
6. 붓다의 성도에 대한 기술로서 「성구경」
7. 해탈의 호칭으로서 ‘무소유’와 ‘비상비비상’ 용어
8. 소결

제3장 무색처정과 초기 브라만전통

1. 『마하바라따』와 초기 불전에 나타난 명상 게송들
2. 요소들과 무색계
3. 까시나의 영역kasiṇāyatana
4. 요소명상과 초기 브라만전통
5. <해탈법품> 속의 요소명상
6. 초기 브라만전통의 우주론과 명상
7. 두 스승의 목표 : 초기 우파니샤드식 유사성
8. “보는 중이면서 보지 못한다”라는 경구
9. 3장의 결론

제4장 초기 브라만전통의 요가철학

1. 바시슈타와 까랄라자나까 왕의 대화(Mbh XII.291)에 나타난 우주생성론
2. 「유무가」에 나타난 우주생성론
3. 「슈까누쁘라쉬나하」(Śukānupraśnaḥ, Mbh XII.224)에 나타난 우주생성론
4. 제4장의 결론
5. 제4장 부록: 초기 요가철학의 업설

제5장 <피안도품>에 나타난 명상

1. <피안도품>의 유산
2. 「우빠시바 바라문의 질문 경」(Stn 1069-76게)
3. 『숫타니파타』 1071-72게: 해탈vimutto/몰입’dhimutto
4. 『숫타니파타』 1071-72게: 속박anānuyāyī
5. 『숫타니파타』 1073-74게: 머무름sītisiyā
6. 『숫타니파타』 1073-76게: 식어감sīti+√bhū과 소멸함atthaṃ+√gam의 비유
7. 성자의 불가언설不可言說
8. 「우빠시바 바라문의 질문 경」의 역사적 중요성
9. 「우다야 바라문의 질문 경」(Stn 1105-11게)
10. 「뽀살라 바라문의 질문 경」(Stn 1112-15게)
11. 5장의 결론

제6장 결론_불교 명상의 기원과 초기불교

1. 초기불교와 브라만전통 간의 관계
2. 초기불교의 논쟁: 선정주의인가 지성주의인가?
3. 초기불교에서 지적 성향
4. 색계 4선과 그 발전
5. 붓다의 진설眞說에 대한 식별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알렉산더 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리버풀 출생. 브리스톨대학 학부에서 폴 윌리엄스(P. Williams) 교수와 루퍼트 게틴(R. Gethin) 박사로부터 불교의 기본 교육을 사사하고, 2006년 옥스퍼드대학의 리처드 곰브리치(R. Gombrich)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2년 11월 성철 스님 탄신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포럼 참가. 현재는 옥스퍼드대학 불교학연구소(약칭 OCBS)의 총괄업무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The Oral Transmission of Early Buddhist Literature”(IABS Vol 27, 2004); “The Historical Authenticity of Early Buddhist Literature: A Critical Evaluation”(Vienna: 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XLIX, 2005); “On the Sarvastivadins and Mulasarvastivadins”(Indian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Studies 9, 2008); “Early Evidence for the “no-self”doctrine? A note on the second anātman teaching of the Second Sermon”(Thai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09); “Miraculous Transformation and Personal Identity: A note on the First anātman Teaching of the Second Sermon”(Thai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09) 등이 있다.
펼치기
박대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 김천 출생.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학부ㆍ 석사ㆍ 박사 졸업(지도교수: 전호련(海住)). 연구분야는 디그나가의 아포하론을 중심으로 한 불교인식논리학이다. 2010년 미국 국립자살예방센터 전문가 과정 수료 및 2012~2013년 영국 옥스퍼드대학 불교학연구소 초청연수(지도: 리처드 곰브리치), 2017년 캐나다 토론토대학에서 열린 제18회 세계불교학회 참가. 2019년 3월 대만 국립정치대학에서 열린 ‘현상학과 중국철학’ 컨퍼런스 참가. 동년 8월 덴마크 코펜하겐대학 주관성연구소 여름학교 수료. 現) 2022년 제6회 국제다르마끼르띠학회 집행위원. 現) (사)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겸 편집이사. 現) 동국대 불교학술원 연구초빙교수(2021~2026년 한국연구재단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최근 논문으로 <한국 초기불교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전망―1980년대 이후, 학문영역을 중심으로―>(2017), <불교인식론에 있어 비인식 이론의 전개(I)>(2018), <라뜨나까라샨띠의 Prajnāpāramitopadeśa의 문헌학적 검토>(2018), <디그나가의 아포하론에 있어 ‘말의 의미’>(2018), <바르뜨리하리의 브릿띠삼웃데샤>(2018), <쁘라마나삼웃짜야(브릿띠)1.21-24에서 디그나가의 바이쉐시까 지각론 비판>(2020), <‘구차제정’(九次第定)을 통한 붓다의 반般열반은 사실일까 허구일까?>(2020),<디그나가의 미망사학파 지각론 비판>(2021), <디그나가의 니야야학파 지각론 비판>(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