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천부경

천부경

(신(神)이 길을 걷는 우주진화(宇宙進化)의 원리(原理))

한상영 (지은이)
지식공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천부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천부경 (신(神)이 길을 걷는 우주진화(宇宙進化)의 원리(原理))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56220176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4-03-20

책 소개

천부경(天符經)은 81자의 경문으로 우주와 지구, 신(神)과 인간, 천지인(天地人)의 존재원리를 보여주는 우리 민족의 뿌리가 되는 경전이다. 홍익인간(弘益人間)과 재세이화(在世理化), 인내천(人乃天)으로 상징되는 고유의식이 천부경에서 나왔다.

목차

서문
천부경 해제
| 세상에 갇힌 인간(人間)
| 세상의 무기, 생존(生存)
| 인류의 휴가 끝내기
| 천부경의 가치
| 천부경의 유래와 논란
| 천손민족(天孫民族)으로서의 의무
| 천부경의 쓰임


전편(前篇)
개 론 우주 진화(進化)와 변화(變化) 사이의 경계, 인간
제 1 장 천부경(天符經)의 본심론(本心論)

본편(本編)
제 2 장 천부경(天符經)의 구조적 원리와 해석 체계
1절 일시무시일 석삼극 무진본(一始無始一 析三極 無盡本)
2절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3절 일적십거 무궤화삼(一積十鉅 無櫃化三)
4절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5절 대삼합육 생칠팔구(大三合六 生七八九)
6절 운삼 사성 환오칠(運三 四成 環五七)
7절 일묘연 만왕만래 용변부동본(一妙衍 萬往萬來 用變不動本)
8절 본심 본태양앙명 인중천지일(本心 本太陽昻明 人中天地一)
9절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

제 3 장 천부경(天符經)의 원문해설(原文解說)
|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
| 석삼극(析三極)
| 무진본(無盡本)
|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 일적십거(一積十鉅)
| 무궤화삼(無櫃化三)
|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 대삼합육(大三合六)
| 생칠팔구(生七八九)
| 운삼(運三)
| 사성(四成)
| 환오칠(環五七)
| 일묘연(一妙衍)
| 만왕만래(萬往萬來)
| 용변부동본(用變不動本)
| 본심(本心)
| 본태양앙명(本太陽昻明)
|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
|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


후편(後篇)
제 4 장 천부경론소(天符經論疏). 인간과 신(神), 지구와 우주 그리고 절대무(絶代無)
|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
| 석삼극(析三極)
| 무진본(無盡本)
|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 일적십거(一積十鉅)
| 무궤화삼(無櫃化三)
|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 대삼합육(大三合六)
| 생칠팔구(生七八九)
| 운삼(運三)
| 사성(四成)
| 환오칠(環五七)
| 일묘연(一妙衍)
| 만왕만래 (萬往萬來)
| 용변부동본(用變不動本)
| 본심(本心)
| 본태양앙명(本太陽昻明)
|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
|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

제5장 역경(易經)과 도덕경(道德經)으로 찾아가는 길, 천부지도(天符之道)
| 인간의 길, 천부지도(天符之道)
| 바르게 세워야 제대로 보인다
| 뿌리를 찾아야 밝음이 된다
| 천부경(天符經)과 역경(易經)
| 건괘(乾卦)
| 곤괘(坤卦)
| 건곤(乾坤)의 쓰임(用)
| 반본환원


부록(附錄)
Ⅰ. 천부경(天符經)의 사상(思想)
Ⅱ. 천부경(天符經)의 수(數)

저자소개

한상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삶의 모습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주어진 기회에 관심이 많은 학인(學人)이다. 스스로 채움이 참된 닦음이라는 믿음으로, 인간의 길을 가르쳐주는 역경(易經)과 도덕경(道德經)과 같은 동양의 고전들을 그 학문(學問)의 방편으로 삼고 있다. 고전에 담긴 ‘모든 사람들이 진리를 가까이 할 수 있기를 바라는 옛사람들의 마음’을, 누구나 가까이 할 수 있도록 경전 그대로의 가르침을 ‘경계 너머’의 쉬운 말로 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도덕경, 삶의 경계를 넘는 통찰』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세상은 인간을 위해 인간이 만들고, 인간만이 공유하는 인공의 천지간(天地間)이다. 인간의 세상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인간의 의식은 신(神)과 우주(宇宙)로부터 분리되었다. 세상적 삶에 필요한 선택만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문명(文明)과 종교(宗敎)가 세상의 두 축으로 자리잡았다. 문명(文明)의 지성(知性)이 지구적 존재로서의 삶을 가르침으로써, 우주적 진화가 아닌 지구적 변화에 인간이 갇히게 되었다. 여기에 종교가 신(神)을 대신함으로써, 신(神)과 이어진 존재적 진화의 끈도 끊어졌다. 우주가 지구를 만들어 인간을 운행의 주체로 선택한 과정과 목적이 잊혀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우주와 인간을 잇던 정신(精神) 역시 변질되었다.


생존(生存)은 문명(文明)과 종교(宗敎)로 대변되는 세상이 인간에게 가르친 것이다. 생존은 죽음을 인간의 의식영역으로 끌어들이는 도구이다. 본래 인간에게 생존과 죽음은 삶의 당연한 과정에 불과했다. 문명과 종교에 의해 의미가 부여되면서 특별해진 것이다. 문명은 인간을 생존의 가치를 위한 경쟁에 나서도록 하고, 종교는 생존에 무상(無常)과 순종으로 무늬(文)를 입혔다. 이 과정을 통해 인간의 생(生)에 극과 극의 기준이 고착화되었고, 생존의 욕망과 죽음의 두려움이 뒤섞이면서 삶에 집착하게 되었다. 본래 인간에게 생존이란, 목적이 아닌 거듭 주어지는 기회에 불과한 것임을 잊도록 만든 것이다.


천부경(天符經)에는 인간이 스스로 틀림없는(自然) 그 길을 걸어야 하는 이유가 담겨 있다. 이를 위해서 인간의 존재성을 한결같이 지속됨이 없는(無常) 것에서 한결같이 지속되는(常) 것으로 바꾸어야 한다. 이처럼 잘못된 인간의식의 뿌리를 뽑아 주는 것이 신(神)의 역할이다. 이와 같은 우주적 신성(神性)의 원리를 완벽하게 담아낸 천부경은, 인간이 세상의 경계를 넘어 본래의 존재성을 회복하는 것에 훌륭한 길잡이로 쓰일 수 있다. 지구가 진화의 길(道)을 벗어나지 않도록 심어준 인간의 본성(本性)이 덕(德)이다. 인간에게 우주적 신성(神性)인 도(道)와 지구적 본성인 덕(德)이 합쳐져 도덕(道德)으로 존재하게 된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