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세무/회계
· ISBN : 9791156983255
· 쪽수 : 251쪽
· 출판일 : 2021-09-06
책 소개
목차
발간사 I 기업보고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
1 장 I ESG 경영의 탄생
1. 지속가능경영 및 ESG의 개념
2. ESG 관련 기업 사례
2 장 I ESG 경영의 대두
1. ESG 생태계 형성
2. ESG 경영의 부상
3 장 I ESG 경영 시대, 기업의 변화 방향
1. ESG는 유행이 아닌 뉴 노멀
2. 경영진의 ESG 선언
3. ESG 경영의 내재화
4 장 I ESG 정보 공시, 평가 및 인증
1. ESG 정보 공시 및 평가의 필요성
2. ESG 정보 보고 기준과 표준화
3. ESG 정보 공시 의무화
4.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인증
5 장 I 부 록
지속가능성 정보 보고 및 인증 현황
참고문헌
색 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ESG의 핵심은 기업의 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지표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과거 CSR의 일부 개념을 확장하여 평가가 가능하도록 변형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로 ‘환경’,‘사회’, ‘지배구조’ 이 세 가지 카테고리를 제시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ESG의 개념이 태동된 것이다. - 1장 ESG 경영의 탄생
오늘날 기업에 대한 기대 수준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개개인의 권리와 의무가 존재하듯, 기업도 사회의 영향력 있는 일원으로서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에 기업이 가진 역량과 자산을 십분 발휘해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기여를 해야 하는 것이다. 소비자와 지역사회, 근로자와 가족, 국토와 지구의 환경을 위해 기업 스스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공헌하라는 요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 2장 ESG 경영의 대두
ESG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의 전환과 함께 기업가치의 ‘뉴 패러디임’으로의 전환을 이끌고 있다. 전통적인 경영전략에서는 재무성과 중심의 성과관리와 공시가 중요한 관심사였다면, ESG는 비재무성과 관리와 공시를 중요시한다. 재무 및 비재무성과 창출과 관리, 공시의 통합화는 기업가치의 뉴 패러다임이다.
- 3장 ESG 경영 시대, 기업의 변화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