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5700693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09-26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경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01 전환기 서울 경제의 지형 변화를 읽다
02 건강한 도시는 계속 성장한다
03 디지털 플랫폼 시대를 열어야 할 때
2부 함께 가자,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04 중소기업도 시대에 따라 변해야 산다
05 ESG는 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다
06 서울시 소상공인 S·E·O·U·L 하자
3부 역동적 창업생태계를 조성하라
07 잠재적 유니콘 기업을 키우기 위한 제언
08 혁신역량 강화로 기술 기반 창업을 활성화하라
4부 기술 발전에 따른 고용환경 변화에 주목하라
09 대전환기 일의 미래와 남겨진 숙제
10 디지털 플랫폼 노동과 일하는 사람의 권리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코로나19와 같이 예상하지 못한 변수는 언제든지 출현할 수 있다. 코로나19 위기는 급격한 사회경제적 변화, 기업 패러다임의 변동,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변화 등을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서울시가 도입해야 할 새로운 경제가치로 공정상생, 균형성장, 혁신강화를 언급했다. 경제가치를 토대로는 공정경제, 상생경제, 혁신경제, 그린경제, 위기대응경제 등의 키워드와 함께 세부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 새로운 경제가치와 실행 방안 등은 현재 서울시뿐 아니라 전 세계가 처한 경제적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찾는 데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다시 언급하자면 서울 경제는 세계와 연결되어 있으며, 세계 경제가 곧 서울 경제이기 때문이다.
서울의 지속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과제는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과제와 그리 다르지 않다. 그냥 얻어지는 건강이 없듯 저절로 얻어지는 서울의 지속성장은 없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타고난 몸도 중요하지만 나이가 들면서는 주요 영양소의 섭취와 균형 잡힌 식단에 신경을 써야 한다. 더불어 젊었을 때만큼은 아니더라도 꾸준히 적당한 운동을 해야 한다. 지속성장이 가능한 도시의 산업구조를 유지하려면 고도화와 다 양성을 확보하려는, 그러면서도 규모에 비해 경제 활력도를 높게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서울과 수도권의 풍부한 자원은 주요한 경제와 산업혁신의 공통재로 작동한다. 하지만 혁신은 경제, 산업만이 아닌 글로벌 가치사슬에서의 사회문화적 과정이며, 혁신성장의 추동력은 광역적보다는 국지적으로 형성되는 특성이 있다. 마곡, 상암, 서울디지털단지, 테헤란밸리 등 기존의 산업과 연구개발 중심의 혁신지구는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생활테크 혁신으로 다양한 외국의 인재를 수용하는 고급인력 다문화 풀을 조성하고 지원하여 글로벌 대중문화의 중심, 글로벌 인재의 중심으로 성장하여 두뇌 순환(brain circulation)의 핵심 노드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의 산업정책도 기존의 혁신지원, 교육지원, 인프라지원 등 기존의 정책 이외에 장소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전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