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57060788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7-01-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에너지에 대한 생각의 변화
1. 에너지에 대한 모든 생각
2.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
2부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
1. 미국
정책 환경의 변화 | 시장의 변화 | 주요 전력사의 대응
2. 유럽
독일: 정책 환경의 변화 | 시장의 변화 | 주요 전력사의 대응
프랑스: 정책 환경의 변화 | 시장의 변화 | 주요 전력사의 대응
3. 아시아
일본: 정책 환경의 변화 | 시장의 변화 | 주요 전력사의 대응
중국: 정책 환경의 변화 | 시장의 변화 | 주요 전력사의 대응
4. 새로운 에너지 시대에 대한 국가별 대응 종합- 에너지의 시대 정신
국가의 경제 발전 단계에 따라 차이나는 원자력 대 신재생의 우선순위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는 주요 플레이어 전력사의 대응
3부 새로운 지평을 여는 대한민국
1. 대한민국 정책 환경의 변화와 영향
국가에너지 계획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미래 전력을 위한 주요 변수 전원믹스 변화 및 전망
2. 원자력을 둘러싼 최근 주요 이슈
3. 원전을 바라보는 여러 각도와 리스크
원전 기여론 | 원전 불가론 | 원전 불가피론
4. 신재생에너지
현황 |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5. 현실에 기초하여 미래를 준비하기
욕망의 절제와 가격을 통한 에너지 수요관리 | 기술혁신을 통한 새로운 에너지 세계 | 원전의 해외 진출을 통한 원자력의 새로운 세계
6. 앞으로의 과제
입장의 차이는 대화와 타협으로 극복 | 후손과의 대화 | 때를 놓치지 않는 집단지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쩌면 인류는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직면한 것인지도 모른다. 에너지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현재 이용가능한 모든 에너지를 활용해도 이를 충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국가별 에너지 빈부의 격차가 지나치게 큰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큰 문제이다. 에너지 시설의 안전이나 온실가스 배출 문제보다 값싸고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절실한 나라가 있는가 하면,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대의를 앞세우며 선별적으로 에너지원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나라도 있다. 한국은 그 중간 어딘가에 서 있다._7쪽
흔히 역사를 배우는 이유를 과거의 사실을 통해 현재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라고 말하곤 한다. 이는 곧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의 승자가 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겪었던 경험에서 얻은 혜안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가올 패러다임 변화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런 관점에서 지금까지 에너지 정책이 어떤 기조에 따라 변화했는지, 미래 에너지 세계를 지배할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선진국들은 어떤 정책을 펴고 있으며 주요 에너지 선도 기업들은 어떤 대응 전략을 전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_26쪽
앞으로 전력 산업은 발전, 송·배전, 수요자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다양한 참여자가 산업계에 등장할 것이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ICT 기술과 이미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 정보 분석 및 활용 노하우를 강점으로 전력 시장에 적극 진출할 뜻을 내비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전력 융합 비즈니스 환경 또한 조성될 수 있다. 소비자들이 아낀 전력을 되팔 수 있는 전력거래시장인 네가와트 시장(negawatt market)이 활성화되고, 수요자 근처에 설치된 분산전원을 활용하여 전력생산자이자 소비자의 역할을 하는 에너지 프로슈머의 수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_4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