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57060535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6-02-20
책 소개
목차
서문
Ⅰ 에너지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 최근 에너지 환경 변화
· 저유가의 배경과 탈석유 트렌드
Ⅱ 전력산업의 주요 이슈
· 국가감축목표를 어떻게 볼 것인가?
· 우리나라 스마트그리드 정책구조의 이해와 교훈
· 참여적 원전정책 결정
· 원전 경제성의 諸 문제
· 원전의 역할과 도전
Ⅲ 주요 국가의 에너지 정책과 전력산업
· 일본의 에너지 시스템 개혁
· 일본 전력원 구성정책의 고민과 논점
· 유럽 전력계통 현황
· 재생에너지 기반 저탄소에너지 전환 가능성 모색
· 2020년 이후 신기후 체제 전망과 에너지 정책 방향
Ⅳ 대한민국 에너지 정책 방향
· 국내 에너지 정책
· 에너지믹스와 전원정책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에너지 수요관리
· 기후변화 대응과 발전 부문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참고문헌
저자 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타임 프레임이 길고 에너지원 간의 조화가 중요한 에너지 산업에서는 다양한 에너지원 간의 충돌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자(rule maker)가 있어야 한다. 이것이 정부의 역할이고, 정부는 큰 틀에서 국가경제와 산업 전체를 조망하고 합리적인 정책을 통해 에너지원 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다해야 한다.
어느 하나의 에너지원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 못하는 현실을 인정하고 사실에 근거하는 건설적인 주장을 함으로써 그 안에서 최적의 균형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우리에게 필요하고 해야만 하는 일이다.
향후 에너지 시장과 산업구조는 지구 환경의 악화 속에서 구조적으로 급변할 가능성이 있다. 저탄소 사회로 가려는 정책적 압력이 고조되는 가운데 석유 등의 화석연료는 환경 코스트를 생각하면 점차 경쟁력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