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금, 알아야 바꾼다

세금, 알아야 바꾼다

(깨어 있는 시민을 위한 세금교과서)

박지웅, 김재진, 구재이 (지은이)
메디치미디어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0개 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760원 -10% 580원 10,000원 >

책 이미지

세금, 알아야 바꾼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금, 알아야 바꾼다 (깨어 있는 시민을 위한 세금교과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91157061259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8-07-23

책 소개

대한민국 세금 전문가들이 쓴 시민을 위한 세금 가이드로서 세금에 대한 편견을 깨고, 쉽게 안내한다. 저자들은 먼저 소득세, 법인세, 종합부동산세 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각 세금의 개념과 원리, 문제점과 현안 등을 정리한다. 나아가 이를 어떻게 보완할지, 그러려면 우리 사회가 어떤 절차와 형식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야 하는지 그 방법을 모색한다.

목차

추천사 4
프롤로그: 세금의 주인은 국민이다 11

1. 소득세: 근로자 절반이 세금을 내지 않는 나라
연말정산, ‘유리지갑’의 행복한 시간? 19
근로자의 절반만 세금을 내는 나라 20
소득세란 무엇인가? 23
근로자 연말정산 개편, ‘거위 깃털 뽑기’일까? 26
중산층 근로자의 마음을 저격한 2013년 세법개정안 27
증세 없는 복지? 중산층 세금폭탄론의 발단 30
면세자 비율 급증, 2013 세법개정안의 실패 33
면세자 비율의 급증, 누구의 책임인가? 34
신용카드 소득공제, 무엇이 문제인가? 38
고소득자 증세 vs 보편적 증세 41
자영업자, 과연 탈세의 온상인가? 45
자영업자는 ‘봉’인가? 49

2. 법인세: 갈라진 국론과 절반의 진실
가난한 가계, 살진 기업 55
법인세, 정치적 결정의 산물 59
수익의 잣대, 법인세 60
법인세, 인상이냐 인하냐? 63
양날의 검, 비과세·감면 조세특례 68
재벌대기업이 전체 대기업보다 내는 세금이 적다고? 72
법인세제로 투자와 고용을 늘린다? 76
법인세, 인상해야 하나? 인하해야 하나? 78

3. 종합부동산세: 왜 종부세는 세금폭탄이 되었나
따뜻한 보금자리, 모든 사람의 실현할 수 없는 욕망 83
빈부격차의 확대, ‘이생망’ 85
주택 소유의 양극화, 투기냐 기회냐? 87
문재인 정부, ‘부동산투기와의 전쟁’을 선포하다 90
부동산 규제제도와 보유세가 있는 이유 93
토지공개념, 실패한 역사 95
종합부동산세 도입의 배경 98
토지세보다 높은 자동차세 100
참여정부 세금폭탄론의 시작 102
MB의 대못 빼기, 종부세 반토막 나다 104
종합부동산세제 개편, 어떻게 해야 하는가? 106

4. 상속세 및 증여세: 운동장이 기울어져도 절세는 필수인가
부자의 천국 입성은 낙타가 바늘귀에 들어가는 것보다 어렵다? 113
고개 드는 상속 · 증여세 폐지론 115
10억 이하 재산 소유자는 상속 · 증여세를 내지 않는가? 118
부자들은 왜 상속 · 증여세에 불만을 갖는가? 120
절세는 운명이다- ➊ 가업상속공제 124
절세는 운명이다- ➋ 공익법인제도 126
절세는 운명이다- ➌ 증여세 포괄주의 129
점점 더 기울어져가는 운동장, 상속 · 증여세 개편이 필요한 이유 135

5. 부가가치세: 자영업자의 적? 세금 도둑? 부가가치세의 참모습은 무엇인가
부가가치세로 시작해서 부가가치세로 끝나는 구 사장의 하루 141
아시아에서 최초로 부가세를 도입한 한국 145
부가세는 눈먼 세금인가? 147
자료상, 부과세 ‘먹튀’의 주범 149
내가 낸 세금, 어디로 갔을까? 153
부가세 탈루를 둘러싼 여러 문제점 158
부가세 배달사고, 어떻게 막을 것인가? 161
중산층·서민·자영업자를 따스하게 만드는 부가세? 164
부가세와 일반인의 경제생활, 이제는 해외 ‘직구’까지? 167

6. 주세·담배세: 술과 담배를 즐기는 순간에도 당신은 세금을 납부하고 있다
담배 피우고 술 마시는 게 죄라고? 173
담배세, 과연 서민 세금인가? 174
담배세, 19대 대통령선거의 ‘뜨거운 감자’가 되다 176
담배 한 갑을 태우면서 3,318원을 세금으로 납부하는 현실 177
흡연자에게 직격탄 날린 국가 세수의 위기 179
담배세 인상, 고육지책인가 꼼수 증세인가? 183
소맥은 진정 ‘국민주’인가? 189
근대 산업화와 주류 독과점의 형성 192
한국 맥주는 정말 대동강맥주보다 맛이 없나? 196
중소기업·하우스맥주업계의 구세주가 나타나다 200
발상의 전환, 규제에서 육성으로 202

7. 세정기관: 국세청, 국민을 위한 기관인가
세리, 고대부터 존경받지 못한 직업 207
과세관청의 역할 208
과연 국세청은 정의로운가? 211
국세청, 우리 사회의 빅브라더 213
과세정보 비밀 유지, 양날의 검 216
세무조사, 탈세 교정의 수단 219
세무조사, ‘세금공포증Tax Phobia’을 야기할 수밖에 없는가? 222
국세청 불신의 가장 큰 원인, 정치적 불법 세무조사 224
‘권력기관’에서 ‘국세서비스청’으로, 개혁의 갈림길에 선 과세관청 227

8. 탈세: 살아 있는 지하경제, 탈세하는 대한민국
정부의 올바른 조세정책, 국민은 안다 233
개혁 없는 성장은 없다 235
지하경제가 GDP의 25%라고? 237
세금 좀도둑, 자료상 244
역외탈세, 해외금융계좌신고제의 도입 245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 추가 세수확보인가 쥐어짜기인가? 250
탈세, 어떻게 줄일 것인가? 252

9. 복지증세: 과연 증세 없이 복지국가 진입은 가능한가
왜 복지국가를 향해 가야 하는가? 257
우리나라 복지의 현주소는? 259
조세부담률과 국민부담률 266
현실은 저부담·저복지인데 원하는 것은 저부담·고복지? 268
세금을 내려 해도 돈이 없어 낼 수 없는 사회 270
점화된 복지비용 논쟁, ‘공짜 점심’은 없다 273
중부담·중복지국가로 가기 위한 과제 274
파이를 키우는 것과 나누는 것 중 무엇이 우선인가? 277
조앤 K. 롤링, “해리포터는 복지비용의 산물” 280

에필로그: 대한민국 세제개편, 어디로 가야 하는가? 282
용어 설명 288

저자소개

구재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약력> ● 국립세무대학, 방송대 법학사 ● 고려대 대학원 경제학 석사 ● 가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수료) ● 세무법인 굿택스 대표이사(현) ● 서울시 마을세무사, 공익감사단 위원(현) ● 대통령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 저감위원(현) ● 기재부 국세예규심사위원(현) ● 한국조세연구소 운영?연구위원(현) ● 경기도시공사 세무?회계자문위원장(현) ● (사)한국조세연구포럼 고문(현) ● (사)한국납세자연합회 자문위원(현) ● (사)한국조세정책학회 부회장(현) ● 소상공인 중소자영업자 지원대책TF 위원(현) ● 경향신문 경제와세상 칼럼리스트(현) ● 조세일보?국세신문 객원논설위원(현) ● 삼일인포마인 칼럼위원(현) ● 대통령직속 재정개혁특별위원회 조세소위 위원 ● 국세청 국세행정개혁TF 위원 ● (사)한국조세연구포럼 제12대 학회장 ●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경제1분과 전문위원 ● 한국세무사고시회 제22대 회장 ● 참여연대 조세개혁센터 부소장 ● 광주시민주권참여위원회 위원장 ● (사)서담/청소년을 위한 나눔문화재단 감사 ● 서울시 세정개혁위원회 위원 ● 법제처 국민법제관 ● 웅지세무대, 가천대학교 경영학부 겸임교수 ● (사)한국세무학회, 한국회계정보학회 부회장 ● 국민권익위원회 전문위원 및 규제개혁심의위원 ● 행정안전부 지방세과표심의위원회 위원 ● 법무부 중소기업회계기준 자문위원회 위원 ● 한국세무사회 연구이사 ● 한국세무사회 상담위원?조세제도연구위원 ● 국세청 국세심사위원 ● 국세청 공평과세추진 및 평가위원회 위원 ● 국세청 서면질의심의위원회 위원 ● 이천지역세무사회장 ● 이천시의회 결산검사위원 ● 국립세무대학총동문회 수석공보이사?부회장 ● 고려대 법무대학원?경희대 법무대학원 강사 <저서·논문> 단행본 ● 세금, 알아야 바꾼다(공저) (2018) ● 종교단체 세무(2018) ● 성실신고확인 실무(2017) ● 업무용승용차 손금특례 실무(2016) ● 조세절차론(2010) ● 세무실무편람(공저) (2014~2019) ● 우리나라 세무조사제도의 적정성확보방안(2001) 논문 ● 경유차 감축을 위한 수송용 에너지세제 개편방안(2019) ● 납세자기본권 연구(2017) ● 업무용승용차 과세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2016) ● 성실신고확인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2015) ● 가산세제의 합리적 입법 및 행정개선방안(2014) ● 납세자권익보장을 위한 조세입법개선방안(2011) ● 납세자권리의 보장수준에 관한 연구(2007) ● 납세문화 정착을 위한 국세행정 개선방안(2004) ● 우리나라 세무조사제도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2001) ● 납세자 권익보호와 적정절차 보장을 위한 세무조사 법제화방안(2001) 주요 기고문 ● ‘13월의 월급’, 불편한 진실(경향신문) ● 투기 없는 집값안정, 꿈은 아니다(경향신문) ● 일본의 ‘소비세’ 인상이 주는 교훈(경향신문) ● 가업상속공제와 ‘경제살리기’(경향신문) ● 거꾸로 가는 조세개혁(경향신문) ● 경유세 빠진 미세먼지 ‘재난대책’(경향신문) ● 핀셋증세, 그 다음 보편적 증세(경향신문) ● 세금, 이제는 어떻게 내느냐가 중요하다(월간조세) ● 국세청의 위기와 기회(월간조세) ● 세무조사제도 개혁의 가능성과 한계(월간조세) ● 납세자권리 보장수준 연구(월간조세) ● 조세의 블랙홀 간이과세제도 개편되어야한다(한겨레신문) ● 세무조사 기본을 바꿔야 한다(월간조세) ● 신용카드 조세정책의 빛과 그림자(월간조세) ●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긴 국민(한겨레신문) ● 법인세 인하,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한국세정신문) ● 국세행정정보 폭넓게 공개되어야 한다(한국세정신문) ● 법과 시스템에 의한, 납세자와 공평과세를 위한 국세행정(월간국세) ● 세무조사제도의 틀을 바꾸는 작업의 중요성(국회) ● 왜 세무조사 법제화인가(월간조세)
펼치기
박지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법과대학원을 수료했다. 2005년 47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육군법무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사무차장, 더불어민주당 조세전문위원, 문재인 정부의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경제1분과 위원 등을 거쳤다. 현재 기획재정부 경제부총리 정책보좌관으로 재직하고 있다. 포용과 연대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개혁정책에 깊은 관심을 갖고, 힘을 보태려고 노력 중이다. 역서로 《우리가 싫어하는 생각을 위한 자유》(간장, 2010)가 있다.
펼치기
김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서강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간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에 입사해 지금까지 줄곧 조세제도, 세무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다. 국민과 국가에 도움이 되는 실사구시 학문을 추구해왔으며 국내 최초로 매입자납부제도, 자녀장려세제 도입을 이끌어냈다. 복지 분야의 연구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으며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조세·세정 경험을 개발도상국에 전수하는 일에도 참여했다. 국민의정부 대통령비서실 삶의질향상기획단 재정·조세팀장, 참여정부 빈부격차·차별시정기획단 조세팀장 등을 역임했으며, 그동안의 연구와 국민을 위한 정책 기여에 대한 업적을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 대통령비서실장 표창, 기획재정부장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부원장으로 있으며, ‘우리 사회의 조세정의 구현’이라는 난제를 풀기 위해 밤늦게까지 연구실에서 분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세금의 주인은 이를 납부하는 국민이다. 이 책을 집필하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도 국민주권의 하나인 ‘세금주권稅金主權’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이다. 국민이 세금의 주인 노릇을 올바르게 하려면 그 실상과 문제점을 정확히 알아야만 한다. 이 책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자신들의 권한을 위임받은 정부가 그 세금을 올바르게 거두고, 그 세금을 다시 국민의 행복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낭비 없이 사용하는지 감시함으로써 주권자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하자는 작은 소망에서 시작되었다.


과세관청이 방대한 과세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권력기관이 되는 것은 세계 어느 나라나 공통된 현상이다. 하지만 국세청이 스스로 권력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만족한다면 국민 어느 누구로부터도 신뢰받지 못하는 불신의 대상이 되고 말 것이다. 우리 사회가 복지국가로 나아가기 위해서도 국세청의 역할은 중요하다. 증세의 전제조건은 세 부담이 공평하고 세금 납부에 따른 반대급부가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보장되는가, 세무행정의 투명성이 그만큼 보장되는가에 달려 있다. 과세관청이 이만큼 절박한 국민적 요구 수준을 이해하고 정치는 이러한 과세관청의 제 역할을 찾아주는 작업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라고 밝히고 있으며, 제34조 2항은 “국가는 사회보장·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사회보장과 사회복지를 증진하여 구성원인 국민이 행복하도록 노력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경제성장제일주의에 매몰되어 복지제도 확대는 항상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려왔다. 하지만 우리가 아직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복지국가의 길이 결코 경제성장에 장애가 되지 않으며 오히려 국민에게 행복을 주는 길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7067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