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57063093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10-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 ‘돈=금’이라는 고정관념의 역사
2장 작전명 발키리
- ‘돈≠금’이라는 혁명가들의 야심
3장 밀리언 달러 베이비
- 금융 혁신을 향한 촌놈의 좌충우돌
4장 글래디에이터
- 금융개혁을 향한 공직자의 무한도전
5장 바보들의 행진
- 금융시장 능멸이 부른 파멸
6장 건축학 개론
- 금융시장 맹신이 부른 버블
7장 포 유어 아이즈 온리
- 먼지 떨기식 뒷조사가 가져온 비극
8장 잇츠 나우 오어 네버
- 보여주기식 개혁이 가져온 비극
맺음말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숫자와 공식으로 가득 찬 일반 경제학 교과서는 경제 이론을 효율적으로 소개하는 데 지면의 대부분을 할애하는 바람에, 그것이 나오게 된 사회적 배경이나 그 이론을 관철한 사람의 내면세계와 같은 중간 과정을 빠뜨린다. 그 결과 인간의 욕망을 다루는 경제학책에서 사람 냄새가 아닌 기계 냄새가 난다. 체온은 느껴지지 않는다. 그런 아이러니를 극복하려면 경제문제는 경제학 교과서를 뛰어넘어 생각해야 한다.
- 〈들어가는 말〉 중에서
금을 둘러싼 그 기나긴 소동의 결론은 무엇인가? 경제사학자 피터 번스타인은 금본위제도와 영란은행을 비교적 중립적으로 평가한다. 고대부터 내려오던 금에 대한 환상이 이상한 놈이고, 그 환상이 바뀔 때마다 영란은행은 좋은 놈과 나쁜 놈 사이를 오갈 뿐이라고 설명한다. 돌이켜 볼 때 풍자만화가 제임스 길레이는 영란은행을 동정했고, 시인 토머스 무어는 조롱했으며, 언론인 월터 배젓은 찬양했고, 영화배우 찰리 채플린은 비난했다. 전부 영국 출신이다. 그들 모두 어떤 면에서는 옳았고 어떤 면에서는 틀렸다. 그렇다. 문제는 금본위제도를 바라보는 인간의 변덕에 있다. 그런 변덕스러운 피조물을 또 다른 영국 작가 조너선 스위프트는 《걸리버 여행기》의 마지막에서 ‘야후’라고 불렀다. ‘인간 자신(you human)’이라는 뜻이다. 조물주가 땅속에 박아둔 황금은 태초부터 지금까지 그대로 있건만, 그것을 바라보는 인간의 마음은 자주 바뀌었다. 혼란스러운 금융의 역사 속에서 진짜 이상한 놈은 야후, 즉 인간 자신이었던 것이다.
- 1장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