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91157210985
· 쪽수 : 315쪽
· 출판일 : 2019-03-02
책 소개
목차
Ⅰ. 서론- 연구목적 및 연구 범위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B.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C. 연구의 대상 및 방법
Ⅱ. 조선 중기 說 장르 전개의 작가와 작품 배경
A. 사회적 장르 관습으로서 說 장르 창작 배경
B. 文과 道를 중시하는 작가층의 대두(성종에서 인종 연간)
1. 贈與說로 감계하는 작가
2. 學說의 작가
3. 事象說의 작가
C. 사상의 발전에 따른 여러 작가층의 등장(명종에서 인조 연간)
1. 주자적 글쓰기의 변용으로서 說
2. 다양한 작가층의 등장
D. 禮說의 증가와 說 장르의 변화를 보이는 작가층(효종에서 경종 연간)
1. 예송논쟁과 함께 등장하는 禮說의 작가들
2. 사상 융합을 드러내는 작가들
Ⅲ. 조선 중기 설 장르 분류에 따른 주요 경향 및 전개
A. 贈與說 - 字號說을 중심으로
1. 조선시대 字號說의 전개 과정
2. 字號說을 짓게 된 동기
3. 字號說의 미학
B. 學說
1. 성리학의 지역 유포와 확산과 관련된 說 - 노경임을 중심으로
2. 禮說 - 송인의 <예설>
3. 자연현상으로서 東海無潮汐과 관련하여 - 김안로, 송규렴을 중심으로
4. 사상 융합으로서 양명학 관련된 설- 노수신의 <집중설>을 중심으로
C. 事象說
1. 개인적인 깨달음의 작품 중심
2. 사회 규범성 제시의 작품 중심
3. 다양한 인물들 묘사 작품 중심
Ⅳ. 설 장르 전개에 나타난 특징
A. 논쟁으로 나타나는 說 - 이항의 <이기설>과 예송논쟁 시 禮說을 중심으로
B. 대상의 관찰을 통한 사유의 진전
C. 다양한 감정의 노출
D. 내용의 전개 구조
E. 鑑戒의 어조
Ⅴ. 결론 - 설 장르 전개의 문학사회학적 의의
* 참고 문헌
* 부록 1- ‘조선 중기’ 용어에 대한 소고
* 부록 2- 이유태의 <禮辨>에서 보이는 說 변이 고찰